View : 129 Download: 0

교실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Title
교실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Authors
주지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교실수준교육과정, 교육과정재구성, 유아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는 교실수준 교육과정 및 운영 실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실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3, 4, 5세 학급 담임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실수준 교육과정 및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재구성 실태를 조사한 타 학교급 선행연구(박윤경, 정종성, 김병수, 2015, 이대식, 임건순, 2020)의 범주와 문항 내용을 참고하여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실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교실수준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부분 동의하였다. 그러나 교실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재구성함에 있어 교육과정 요소별로 재구성의 필요성과 재구성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방법의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교육평가, 교육내용, 교육목표 순으로 높았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 요소별 재구성 정도에 대한 인식은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교육평가의 경우 따르되 약간 수정하는 정도가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은 반면, 교육방법은 해석하여 적극적으로 수정하는 정도가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여, 요소별로 적절한 재구성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현재 교실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었으며, 운영 주체를 교사 자신과 유아라고 보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 및 자료를 참고한다는 경우가 과반 이상이었으며, 주된 이유는 교육과정의 요소를 참고하기 위해서였다. 놀이실행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었으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요소는 주로 교육과정을 시작할 때 참고하였다. 교실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교사가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요소별로 재구성하고 있는 정도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모두 따르되 약간 수정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교실수준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비해, 실제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교실수준으로 재구성하는 정도는 높지 않음을 의미한다. 교실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유아의 흥미와 관심이었으며, 교육내용 재구성 방법으로는 교육내용을 해석하여 구체화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교실수준 교육과정의 평가 시기는 놀이 주제가 마무리된 후 평가하는 경우가 절반 이상이었고 주로 사용하는 기록 양식은 일일/주간교육(보육)계획안이었다. 기록하는 내용은 놀이 지원 방법이 가장 많았고 교실수준 교육과정의 효과성은 주로 주제에 대한 관심 및 이해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전반에서 교육과정 요소를 고려하는 비율이 낮았다.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시 주요하게 참고하는 자원은 다른 교사들의 놀이 사례였다.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먼저 기관요인은 교육과정에 대한 동료교사와의 협의였으며, 교사요인은 경력에 따른 풍부한 교육 경험, 유아요인은 유아의 흥미와 관심이었다. 마지막으로 교사 스스로의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역량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시 겪는 어려움과 요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물리적 시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생각했으며, 다음으로는 흥미와 교육과정의 연계, 교육내용의 재구성 방법에 대한 이해 및 실행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인식했다.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를 위한 요구로는 근무 여건 개선을 통한 교육과정 집중 업무 시간 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했으며, 다음으로는 행정적인 지원, 학급별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을 격려, 존중해주는 조직문화 형성, 교실수준 교육과정 관련 국가수준 자료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교실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재구성의 범위, 정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교사의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자료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사를 위한 지원도 필요하나, 무엇보다도 교사 스스로 교실수준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2.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gards to actual implementation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The study was conducted on 214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a teacher questionnaire formulated for this research was u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data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are as follows. Most teachers agreed on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ng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to the classroom level, modifying it according to specific classroom situations. However, the need for restructuring was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curriculum elements such as educational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Teachers believed that it was more necessary to modify teaching methods than the educational goals, content, and evalu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perception of the degree of reconstruction by curriculum element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curriculum element. Teachers believed that the most appropriate degree of reorganization was to follow the educational goals, content, and evaluation while slightly modifying them. On the other hand, they responded that interpreting and actively modifying educational methods is the most appropriate level of reconstruction.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reorganization that teachers consider appropriate is different for each curriculum element.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are as follows.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currently implementing a classroom-level curriculum and thought that both teachers and children are engaged in its reconstruction.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were using national-level curriculum documents and materials, referring to them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implement a classroom-level curriculum, teachers followed the educational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but reorganized it with some modifications. This means that, in comparison to the perception that a classroom-level curriculum is necessary, the degree to which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is actually reorganized to the classroom level is passive. Teachers considered children's interes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implementing classroom-level curriculum.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was most often reconstructed through interpretation and specification. Teachers evaluated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mainly after the play topic was completed, and recorded play support methods the most.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as mainly judged based on children'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he topic, the rate at which teachers considered curriculum elements was low. The main resource that teachers used when implementing classroom-level curriculum was other teachers' play examples. Factors believed to have an impact on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were consultation among fellow teachers, the teacher's extensive teaching experience, and children's interests. Many teachers believed that their classroom-level curriculum implement capabilities were average. Teachers were having trouble with securing time to implement classroom-level curriculum, connecting interests with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how to reconstruct the educational content. As solutions for these difficulties, teachers preferred time to focus on curriculum, administrative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that respects the classroom curriculum, and national-level materials related to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meaning, scope, and degree of reconstruction of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in detail.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national level curriculum materials to support teachers in implementing classroom-level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Support for teachers is necessary, but above all, it is crucial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 need for classroom-level curriculum and to form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