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 Download: 0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인식 및 실태

Title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인식 및 실태
Other Titles
A study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fringements
Authors
전휘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 변인(연수경험, 교육경력, 기관유형, 담임학급 유아연령)에 따른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 변인(연수경험, 교육경력, 기관유형, 담임학급 유아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 경험 및 대응 실태는 어떠하며, 교사 변인(연수경험, 교육경력, 기관유형, 담임학급 유아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 유치원에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교사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인식과 교육활동 침해 경험 및 대응 실태를 묻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 관련 법과 제도에 대한 인식, 교육활동 침해 현황에 대한 인식,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교육활동 침해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김소현 외(2022), 송재숙(2019), 조준오(2022), 최선옥 외(2016)의 연구와 관련법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보호조치에 대한 인식과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대응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김소현 외(2022)의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보호조치 요구 척도와 송재숙(2019)의 교권침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유치원 교권침해 실태에 관한 설문지의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및 케이스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Duncan)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유치원교사들은 교육활동 침해 관련 법과 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인식하면서도 법과 제도의 내용에 대해서는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 중 연수경험과 기관유형 변인에서 법과 제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수경험이 있는 경우 법과 제도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고 사립유치원 교사는 일부 제도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보호조치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실행되지는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행요구가 높았다. 그 중에서도 국가 및 교육청의 교육활동 보호 노력과 홍보, 아동학대처벌법 등 다른 법률과의 명확한 관계 설정 조치에 대한 실행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 중에서는 교육경력과 기관 유형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경력이 높은 교사들이 예방 및 보호조치에 대한 요구가 높고,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에 비해 요구가 높았다. 교육활동 침해현황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들은 전반적인 유치원 현장에서의 교육활동 침해는 심각한 수준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재직 중인 유치원에서는 보통보다 약간 심각한 수준, 담당하고 있는 학급에서는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 중에서는 기관유형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립 병설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전반적인 유치원 현장의 침해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며, 사립유치원 교사가 공립 단설유치원 교사보다 현재 담당 학급에서 침해 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활동 침해 경험 실태에서는 많은 유치원 교사들이 스스로 최근 1년간 교육활동 침해를 경험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유치원 현장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교육활동 침해 유형에 대한 인식과 최근 1년간 직접 경험했다고 응답한 교육활동 침해의 유형이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에 따른 보호자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경험 여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대응 실태에서는 유치원 교사들은 보호자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를 경험하였을 때 동료교원의 조언과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대처하고 있으나, 부당한 대우와 보호자와의 신뢰관계에 대한 우려로 대처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교육활동 침해행위를 한 보호자와 경험한 교사에게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보호를 위해 점차 마련되고 있는 제도들은 유치원 교육 현장의 교육활동 보호에 바람직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고 개정된 내용을 반영한 연수, 교육자료 등을 통해 유치원 현장에 안내될 필요가 있다. 정부와 교육청 차원에서는 유치원 현장의 교육활동 침해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유치원 현장의 교육활동 침해 주요 주체인 보호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예방 교육이 실시되어야하며, 유치원 교사들의 간접적인 교육활동 침해 경험과 사기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자극적인 언론 보도 자제 등 추가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교육 주체들의 권리 존중과 질 높은 유아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 스스로도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법률적 근거와 관련 제도에 대한 이해수준을 제고하고 유치원 현장의 교육활동 침해에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fringements and to illuminate differences based on teacher variables (relevant training experience, teaching career, type of institution,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fringements, and are there differences based on teacher variables (relevant training experience, teaching career, type of institution,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2. What are the experiences and responses of kindergarten teachers to educational activities infringements, and are there differences based on teacher variables (relevant training experience, teaching career, type of institution,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96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laws and regulations,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experience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the researcher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relevant law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prevention and protection policies, the responses to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the questionnaire which developed by Kim So-hyun et al. (2022), Song Jae-sook (2019)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align wit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s, case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lso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and post-hoc tests (Duncan) were performed in cases of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are aware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b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is generally at an average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were found based on relevant training experience and type of institution variables. Teachers with relevant training experience had higher levels of perception,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 for certain regulations. Regarding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policies for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teachers recognized their importance but perceived that they were not effectively implemented. Notably,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related to the efforts and promotion of educational activity protection by the government and education authorities, as well as establishing a clear relationship with other laws such as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ception based on teaching career and type of institution variables, with teachers with higher teaching career and those in public kindergartens expressing higher dem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on and protection policies.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at such infringements are serious in the overall kindergarten environment, slightly more serious than usual within their current kindergarten, and at an average level within their assigned classroom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were found based on type of institution variables, with public attached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as having a more serious level of infringements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ing a more serious level of infringements in their current assigned classrooms than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In terms of experience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many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ey have experienced such infringements in the past year. Their recognition of the types of infringements aligns with their reported direct experienc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teacher variables regarding whether the infringement experiences were by parents or not. Regarding responses to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follow the advice of colleagues and the instructions of administrators when dealing with infringements by parents. However, some teachers do not address infringements due to concerns about unfair treatment and trust issues with parent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actions were not taken against either parents or teachers in cases where teachers experienced infringements by par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gradually established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 prevention and protection policies can bring positive changes in the prot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kindergarten settings. Continuous attention, as well as the informing of updated content through training and educational materials reflecting revised regulations, is necessary. At the government and education authority levels,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in kindergarten settings is crucial and appropriate preventive education targeting parents should be implemented. Moreover, additional measures, such as refraining from sensationalized media coverage, should be put in place to prevent indirect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and the undermining of teacher morale. To ensure the respect for the righ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tities and the pro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themselves ne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legal basis and related regulations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They should also make more proactive efforts to address educational activity infringements in kindergarten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