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 Download: 0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Title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Latent Growth Model on Academic Achievement Changes According to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 Focused on the Opportunity Balanced Admission System.
Authors
정은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대학입학전형, 기회균형, 형평성, 수월성, 대학생, 학업성취도, GPA, 잠재성장모형,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Opportunity Balanced Admission, Equity, Accessibility,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GPA, LGM(Latent Growth Model)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GPA)의 종단적 변화를 대학입학전형 제도와 환경 및 개인특성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기회균형선발제의 효과성을 검토하고, 학업성취도(GPA)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의 영향력을 탐색하여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흐름에 따라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GPA)는 어떻게 변화되는가? 둘째, 대학입학전형(유형, 모집시기)은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GPA)의 초기값(절편)과 성장 궤적(기울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 소재지와 개인특성(성별, 고등학교 3학년 1학기 수학 내신등급)은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GPA)의 초기값(절편)과 성장 궤적(기울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Ⅱ)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회균형선발제 학생 집단은 일반전형 학생 집단에 비해 첫 학기의 GPA가 낮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GPA의 성장이 빠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 모집시기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 소재지는 서울 외 지역 대학생들이 서울 지역 대학생들에 비해 첫 학기 GPA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GPA 성장 궤적에 있어서는 대학 소재지의 영향력이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첫 학기 GPA가 높으면서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GPA성장 또한 빠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고등학교 3학년 1학기 내신성적은 ‘중, 하’ 등급 학생들이 ‘상’ 등급의 학생들에 비해 첫 학기 GPA가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GPA 성장 궤적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자료의 한계로 분석에 포함된 기회균형선발제 학생 집단의 학생 수가 매우 적고, 1학년부터 2학년까지의 학업성취도(GPA)만을 분석하여 대학 졸업 시점까지의 성장 궤적을 추정하기에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기회균형선발제의 교육적, 정책적 효과를 종단적 자료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보다 장기적인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기회균형선발제 학생 집단의 학업성취도(GPA)을 실증 분석하여, 그 성장 궤적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GPA) of university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college admissions system,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opportunity balance selection system and explore the impact of key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GPA) to derive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GPA of university students change over time? Second, how does the college admissions system (type, recruitment timing) influence the initial value (intercept) and growth trajectory (slope) of university students' GPA? Third, how do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high school 3rd-grade 1st-semester math grades) affect the initial value (intercept) and growth trajectory (slope) of university students' GPA? To achieve these objectives,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nd, 3rd, and 4th year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KEEP II).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under the opportunity balance selection system exhibit lower GPA in the first semester compared to general admission students, but their GPA shows faster growth over time. Second, the college recruitment timing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Third,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showed that students from outside Seoul have a lower GPA in the first semester compared to students in Seoul. However, the influence of university location on GPA growth trajectory over time was not confirmed. Fourth, female students have a higher GPA in the first semester and show faster GPA growth over time compared to male students. Fifth, high school 3rd-grade 1st-semester grades were found to be lower for students with 'middle' or 'low' grades compared to students with 'high' grades in the first semester. However, these grad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PA growth trajectory over time. The study has limitation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of the opportunity balance selection system student group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the analysis covering only GPA from the 1st to 2nd year. However, the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empirically proving the educational and policy effects of the opportunity balance selection system through longitudinal data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 using more extended longitudinal data will provide a 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GPA) and its growth trajectory for the opportunity balance selection system student group up to grad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