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 Download: 0

대학 진학 및 전공 선택의 영향 요인 분석

Title
대학 진학 및 전공 선택의 영향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 Entrance and Major Selection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2008 and 2018
Authors
임서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고등교육, 대학진학, 전공선택, 카이제곱 검정,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항로짓 분석, higher education, college entrance, major selection, chi-square test,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ltinomial logit analysi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고등교육 기회의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고등교육 진학 결과는 사회 계층화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또한 고등교육 진학 시점의 전공선택 결과가 대학생활 만족도뿐만 아니라 졸업 이후 진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진학은 물론 전공선택의 결과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한국에서의 대학진학 및 전공선택 현상을 조망하고자 본 연구는 대학진학 및 전공선택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10년의 시점 차이가 있는 자료를 통해 대학진학 및 전공선택 양상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핀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요인(예: 대학의 사회적 평판)에 따라 대학진학 결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진학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전공선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별로 지난 10년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I, II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카이제곱 검정, 이항 로지스틱 분석, 다항로짓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및 요인과 4년제 및 상위권 대학의 진학 결과 간 연관성이 2008년 대비 2018년에는 가구소득 수준 집단별로 지속 또는 확대되었다. 대학진학 동기에서는 학문 추구 동기를 비롯하여 고등교육 진학에 대한 사회적 대접의 동기가 두드러졌다. 상위권 대학 진학 학생들은 미진학 학생 대비 2018년에 여전히 대학에 학문적 기능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은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 모두에서 2018년에 ‘본인’으로 두드러졌다. 상위권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2018년에 ‘부모님(보호자)’의 응답 비율이 낮게 나타나 보호자보다는 본인 의사를 중시하였다.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요인은 2008년부터 대학진학 결과와의 유의한 관계가 2018년까지 지속되었다. 4년제 대학 진학 학생들은 ‘대학의 사회적 평판’과 ‘성적’을 중시하였는데 2018년에는 ‘본인의 적성과 희망’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권 대학 진학 학생들은 두 시점 공통 ‘대학의 사회적 평판’을, 미진학 학생들은 ‘취업전망’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및 요인이 위계 서열에 따른 대학의 진학 결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보여준다. 특히 이는 세 변인과 대학진학 결과 간 관계를 가구소득 수준 집단에 따라 계층별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대학진학 결과에 대한 영향 요인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를 개인 요인, 가정 요인, 학교 요인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개인 요인에서는 대학진학 동기,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 및 요인의 결과를 먼저 살펴보겠다. 둘째, 대학진학 동기는 두 시점 공통 4년제 대학 진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2018년에는 학문 추구 동기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의 상위권 대학 진학 학생들이 대학교육의 의미를 학문적인 기능에서 찾고 있다는 결과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학이 소위 취업 기관으로 전락하고 있음이 지속적으로 우려되는 실정을 고려하여 이러한 결과의 뜻을 주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2018년에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은 4년제 대학 진학자에게 ‘학교 선생님’, 상위권 대학 진학자에게는 ‘부모님(보호자)’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 진학에 대한 이러한 결과는 4년제 대학의 입시로 초점화된 진로 지도, 또는 4년제 진학자가 선생님과 맺는 우호적인 관계를 시사할 수 있다. 한편 ‘본인’ 대비 ‘부모님(보호자)’를 대학선택 시 우선시할수록 상위권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낮았다. 이는 보호자에게 휘둘리지 않는 능동성이 상위권 대학 진학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요인의 분석 결과, 취업이나 적성 같은 진로 관련 관심도를 대학선택 시 중시할수록 낮은 위계 서열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선택 시 2008년에는 취업전망을, 2018년에는 이와 함께 적성과 희망, 성적을 중시할수록 전문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더불어 2008년에는 대학선택 시 적성과 희망, 취업전망을, 2018년에는 이와 함께 성적, 가정형편을 중시할수록 상위권 대학의 진학 가능성이 낮아졌다. 4년제 대학 대비 전문대학 진학자의 결과는 취업 성격의 학과를 갖춘 전문대학의 특성에 비추어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 진학의 분석 결과는 이전의 첫 번째 논의와 연결하면 우려스럽다. ‘대학의 사회적 평판’을 중시하는 한편 진로 측면 관심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은 대학교육에 대한 학문 추구 동기를 가졌기 때문에, 대학 재학 동안 이들이 적성과 희망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학 내 제도가 요구된다. 한편 2018년에는 대학선택 시 가정형편을 중시할수록 상위권 대학 진학 가능성이 낮아졌는데, 가정배경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 장학금 같은 대학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외의 개인 요인의 분석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에는 성별, 교육포부, 성적, 2018년에는 이에 더하여 공부 시간이 4년제 대학 진학 영향 요인으로, 2008년에는 교육포부, 성적, 2018년에는 이와 함께 공부 시간이 상위권 대학 진학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선 고등교육 보편화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고 있는 4년제 대학 진학의 성 불평등 양상을 드러낸다. 성적과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대학위계 서열과 무관하게 진학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이와 동일 결과를 보고한 선행연구와 일맥을 이룬다. 한편 2018년에는 2008년과 다르게 공부 시간이 길수록 4년제, 나아가 상위권 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았는데, 최근 대입에서는 명망 있는 학교로 진학하려면 과거 대비 더 많은 공부 시간이 투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정 요인을 살펴보면,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에서 가정배경 영향력이 지속되었고, 4년제 대학의 결과에서는 영향력이 다소 위축되었다. 4년제 대학 진학에서는 2008년에 사교육비 지출과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진학 가능성이 높았으나 2018년에는 부모 학력만이 영향 요인으로 남았기 때문이다. 부모 학력은 두 시점 공통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여 여전히 한국의 고등교육 진학은 가정배경 영향력에서 자유롭다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부모 학력에 따라 가정 내 진로 지도 수준, 문화자본 획득 양상이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이는 가정배경의 상당한 영향력을 시사할 수 있다. 가정배경의 영향력을 최소화하려면 부모 학력과 무관하게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추구하고 그 실현을 위하여 적합한 고등교육을 받게 하는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학교 요인을 살피면, 고등학교 소재지 및 유형은 4년제 및 상위권 대학 진학의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4년제 대학 진학에서는 수도권 고등학교 재학생일수록 4년제 대학 진학의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반대로 상위권 대학에서는 2018년에만 수도권 고등학교에 다닐수록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수도권 지역 학생들이 전문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는 비수도권 학생들이 4년제 대학 진학을 더 열망함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데, 이는 지역 격차와 고등교육 계층화 측면에서는 일견 바람직한 결과이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 분석 결과, 수도권 고등학교에 다닐수록 2018년에는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위계 서열이 높은 대학의 진학에서 최근 두드러진 지역 격차를 드러내어 고등교육 계층화의 일면을 보여준다. 한편 두 시점 공통 외국어고, 국제고, 과학고, 자율고는 일반고 대비 4년제, 나아가 상위권 대학 진학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공학 계열을 준거 집단으로 설정하여 분석된 전공선택 결과의 영향 요인에 대한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논의하도록 하겠다. 다섯째, 전공선택 결과에 대한 성차가 시점 공통 확인되었다. 고등교육 기회가 여학생에게도 과거에 비하여 보편화되었음에도 여전히 고등교육의 성별 불평등이 확인되었다. 학문 공동체의 다양성을 위해서라도 이공계 적성의 여학생들이 공학 계열에 진학하도록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공학 계열에 진학한 학생들의 취업, 특히 높은 소득 직업을 중시하는 직업적 가치관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2008년에는 인문, 예체능 계열과의 대비에서, 2018년에는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 계열과의 대비에서 공학 계열 학생들은 직업선택 시 ‘높은 소득을 기대할 수 있어서’를 1순위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8년에는 인문, 사회, 자연 계열과의 대비에서 공학 계열 진학 학생들은 전공선택 시 ‘취업전망’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성적이 높을수록 공학 계열 대비 교육 계열 진학 가능성이 높았으나, 전공선택 시 성적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수록 공학 계열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즉, 교육 계열 진학한 학생들이 두 시점 공통 공학 계열 학생 대비 성적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교육 계열 학생들은 전공선택 시 진로와 적성을 더욱 고려하였다. 여덟째, 2018년에는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다니는 학생일수록 인문, 사회, 교육, 의약 계열 대비 공학 계열 진학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취업 또는 기술인 양성 같은 뚜렷한 목적하에 설립된 해당 고교 유형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아홉째, 공학 계열 진학 학생들은 사교육비, 문화생활비 지출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에는 인문, 사회, 교육 계열 대비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할수록 공학 계열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연, 의약 계열에서는 사교육비의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공학 계열 진학에 최근 더 많은 사교육비가 요구됨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공학 계열의 학생들은 예체능, 자연 계열 대비 문화생활비 지출이 더 높았다. 이 결과의 함의는 후속 연구로 살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의약 계열 대비 공학 계열의 분석 결과에서, 유일한 영향 요인으로 성별이 확인된 2008년과 달리 2018년에는 이와 함께 대학선택 시 의미있는 사람과 요인, 대학진학 동기, 교육포부, 부모 학력, 고등학교 소재지와 유형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2018년에는 대학선택 시 부모님(보호자)의 영향이 가장 클수록, 대학선택 시 취업전망을 최우선시할수록 의약 계열을 선택하였다. 이는 최근의 의약 계열 광풍 현상과 일맥을 이룬다. 반면 이러한 실정에서도 공학 계열을 택한 학생들은 2018년에 학문 추구의 대학진학 동기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높은 교육포부를 보였다. 의약 계열 쏠림 현상에 따른 이공계 인재 유출을 고려하면, 공학 계열에 대한 학문적 동기와 교육포부가 높은 학생들을 지원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대학의 위계 서열에 따른, 즉 질적 차별화를 통한 고등교육의 교육계층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구명하였다. 대학진학은 물론 전공선택 결과까지 분석하여 두 시점의 비교를 통한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고등교육 현상을 보다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조망하였다.;Despite the univers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result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n society still works as a social stratification mechanism. Considering that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can affect not only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but also the career pat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as well as college entrance.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of college entrance and major selection in South Korea and derived implications.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deepen this understanding by analyzing differences in college entrance and major selection patterns by comparing 2008 and 2018. This study address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llege entrance results and the following variables—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s for college entrance, meaningful people, and factors (e.g., the social reputation of a university) when choosing a college?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sult of college entrance? Thir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sult of major selection? Differences between 2008 and 2018 were examined for each question.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 and II were used, and the chi-square test, binomial logistic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t analysis were employ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variables—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s for college entrance, meaningful people, and meaningful factors when choosing a college—and the results of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ies. The differences persisted or expanded by household income level group in 2018 compared to 2008. The motivation for social recognition for higher education results along with the one for pursuing academics was remarkable. Students who went to top-tier universities had academic expectations for college in 2018. The meaningful people when choosing college stood out as the self in 2018 in both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y entrance. Students who went to top-tier universities showed a low response rate of guardians in 2018, putting more emphasis on their own will than on their guardians. Also, students who went to four-year universities regarded the social reputation of a university and grades as important when choosing a college, but in 2018, they also regarded aptitude and hope as important. Students who went to top-tier universities emphasized the social reputation of a university in both times. Second, the motivation for going to college did not affect the admission to a four-year university at both times, but in 2018, the motivation for pursuing academics affected the admission to a top-tier university. In 2018, meaningful people when choosing a college were teachers for 4-year college students and guardians for top-tier university students. However, the more prioritized guardians, the less likely students were to go to a top-tier university. Also, the more important career-related interests are, the higher the likelihood for a lower-tier university. The more important aptitude and employment outlook were when choosing a college in 2008, and the more important grade and family circumstances were in 2018, the lower the likelihood of a top-tier university. Meanwhile, in 2008, gender, educational aspirations, grades, and in addition to this, study time was found to be a factor for four-year university entrance, and in 2008, educational aspirations and grades were found to be factors for a top-tier university entrance. However, in 2018, unlike 2008, the longer the study tim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entering a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y. Third, regarding family factors,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continued in the admission of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ies, and the influence was relatively reduced in the results of four-year universities. For a four-year university, the higher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its admission, but in 2018, only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remained a factor. Fourth, regarding the school factors, the location and type of high school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four-year and top-tier university entrance. For a four-year university, the likelihood of entrance was lower as students enrolled in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contrast, for top universities,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metropolitan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be admitted in 2018. Meanwhile, students fro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ternational high schools, scienc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high schools had higher likelihood for a top-tier university than general high schools in 2008 and 2018.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influencing factors of major selection results are as follow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an engineering major as a reference group. Fifth, gender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were confirmed in both times. Although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have expanded for female students, gender inequality in higher education has still been confirmed. For the diversity of the academic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with engineering aptitude to enter the major. Sixth, professional values such as emphasizing employment and a high income, of engineering students were consistent. In contrast to humanities and arts and sports in 2008, engineering students considered ‘expect a high income’ as the top priority when choosing a job. In addition, in contrast to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s in 2018, it was confirmed that engineering students were most affected by the employment outlook when choosing a major. Seventh,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going to education compared to engineering. On the other hand, the more important the grades were when choosing a major,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going to engineering. In other words, students who have chosen education majors have superior grades compared to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at both time points. In addition, students in education further considered their aptitude when choosing a major. Eighth, in 2018,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select engineering majors compared to humanities,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medicine. It seems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established with a certain purpose, such as training technicians. Ninth, engineering students had higher expenditures for shadow education and cultural life. In 2018, the mor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were spent compared to the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education, the more engineering departments were selected, but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was not confirmed in the natural and medical fields. Meanwhile, engineering students spent more on cultural life than on the ones from arts and sports and natural sciences majors. Lastly, unlike in 2008, when gender was identified as the only factor in the results of engineering compared to medicine majors, in 2018, meaningful people and factors, motivation for college entrance, educational aspirations, parental education, and high school location and types appeared when choosing a university. In 2018,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guardians and the more important the job prospects when choosing a university, the more they chose medicine.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chose engineering showed high educational aspirations as well as academic motivation in 2018. This study found that despite the univers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ts stratification is still occurring in South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major selection as well as college entrance and delving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2008 and 2018, the author explored the phenomenon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comprehens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