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 Download: 0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Title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moderated by parent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in multicultural students
Authors
Ono, Rina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사회적 역량,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생활, 부모의 지지, 다문화 학생,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2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태섭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역량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따라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적절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다문화 학생의 사회적 역량과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는 조절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역량은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확인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2기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국내 다문화 학생 2,245명의 자료를 SPSS 29.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데이터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변인들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Cronbach’s α)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후, 주요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문화 학생의 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기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또 사회적 역량과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가 조절효과를 지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이때 부모의 지지의 수준에 따른 사회적 역량에 대한 학교생활의 유의성 검증을 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해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역량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14를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해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주요변인인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생활, 사회적 역량, 부모의 지지는 모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이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역량과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가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역량과 부모의 지지는 상호작용하여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지만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에 의해 조절된 사회적 역량은 매개효과를 지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다문화 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많았으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 역량을 매개변인으로 둔 선행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관계성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조절변인인 부모의 지지가 다문화 학생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부모의 지지는 다문화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부모가 한국어를 못하거나 유창하지 않은 경우, 자녀에게 충분한 지원을 주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다문화학생이 모국에서 지내는 것처럼 편하고 즐겁게 한국에서 학교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다문화 학생 지원제도에 대해 재고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며, 앞으로 부모의 지지와 관련된 다문화 제도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 점 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competence, moderated by parental suppor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students. The aim i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First,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in 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is there a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in multicultural students? Third,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moderated by parent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in multicultural student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1st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tudy (MAPS) 2nd year,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and analyzed data from 2,245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The study method is as follows: First, a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reliability of the main variables. Then,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was conducted,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students, a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In addition,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To test the significance of social competence on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al support, the SPSS Process Macro was utilized. Finall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moderated by parent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14, and the significance was confi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variables in this study, acculturative stress, school life, social competence, and parent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social compet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in multicultural students.Third, parent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Fourth, social competence and parental support interact to influence school life, but social competence moderated by parental support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student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nalyzing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which focus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life with social competence as the mediating effect. Second, the study is significant for discovering that parental support, treat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fluences multicultural students. Parental support,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students, may not provide sufficient support for their children if their parents do not speak Korean or are not fluent. Considering these aspec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o help multicultural students spend their school life in Korea comfortably and happily as they do in their home country. Through this study, there was an opportunity to rethink this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system, and it is significan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ulticultural systems in relation to parental support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