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 Download: 0

숏폼 속성이 몰입 및 장시간 시청에 미치는 영향

Title
숏폼 속성이 몰입 및 장시간 시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hort-Form Attributes on Flow and Prolonged Watching: Focus on Mediated Role of Flow and Moderator effects of Recommendation System
Authors
김성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소셜미디어, 숏폼 콘텐츠, 몰입(Flow), 장시간 시청, 추천시스템, social media, short-form content, Flow, Prolonged Watching, Recommended system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숏폼 콘텐츠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스마트폰으로 쉽고 간단하게 콘텐츠를 시청하는 문화가 자리잡게 되었고, 콘텐츠의 양이 방대해지면서 짧고 핵심적인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이다. 이처럼 짧은 시간 안에 콘텐츠 시청을 즐기는 스낵컬쳐(snack culture) 현상이 나타나면서 숏폼 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지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이 바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콘텐츠를 시청하는 이용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며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슈머로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숏폼 콘텐츠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숏폼 콘텐츠를 제작, 편집, 공유할 수 있는 SNS 플랫폼들이 주목받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 ‘릴스’와 유튜브 ‘쇼츠’의 이용률이 높다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 ‘릴스’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숏폼 콘텐츠의 주 사용 연령층이 10~30대이며 MZ 세대의 새로운 놀이 문화로 자리잡은 배경으로 본 연구는 MZ 세대를 기반을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아가 숏폼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점도 있지만 과다시청이라는 역기능도 외면할 수 없다. 기존 미디어와 차별되는 플랫폼의 알고리즘 추천시스템방식은 시청자가 몰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는 콘텐츠 중독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숏폼 콘텐츠 시청의 중독을 소셜 미디어 중독의 6가지 하위 차원 중 ‘지나친 사용’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숏폼 콘텐츠 시청을 습관적인 행태로 보고 시청 시간이 점점 길어지는 ‘장시간 시청’의 현상으로 분석하였다. 숏폼 콘텐츠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시청자들이 능동적인 수용자로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가 어떠한 콘텐츠를 선택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지 파악하는 것은 숏폼 콘텐츠 연구와 발전에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숏폼의 속성이 시청자의 몰입과 장시간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숏폼 플랫폼의 주요 특성인 추천시스템의 조절효과까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콘텐츠의 유희성, 창의성과 플랫폼의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시청자의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콘텐츠의 창의성, 단시성과 플랫폼의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숏폼 콘텐츠의 장시간 시청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이 높을수록 장시간 시청에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콘텐츠의 창의성과 플랫폼의 상호작용성이 장시간 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몰입이 부분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시스템의 경우 본 연구에서 예측한 바와 반대로 몰입과 장시간 시청 사이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숏폼 콘텐츠를 제작할 때 콘텐츠의 재미와 오락성의 요소 그리고 창의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을 넘어서 콘텐츠를 제작, 업로드하고, 공유하고, 댓글을 읽는 등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콘텐츠의 새롭고 창의적인 요소와 길이가 짧은 특성이 숏폼 콘텐츠의 장시간 시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따라 시청자들은 짧으면서 창의적인 콘텐츠를 선호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을 넘어서 콘텐츠를 공유하고, 댓글을 읽는 등의 행위 또한 장시간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플랫폼 내에서의 사회적인 교류가 여전히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청자가 더 큰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Due to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environment of consuming media content is rapidly changing to short-from contents. Such circumstance has brought “Snack Culture”. With the emergence of a snack culture that enjoys viewing content in such a short time, the influence of short-form content has increased, and the way in which the younger generation consumes content has changed. Furthermore, individuals who view content can be active users, as ‘prosumer’ who create, share, and play an active role. Even though there are some positive aspects to the daily life of viewers watching short-from contents, the negative features of over-audience cannot be overlooked. The algorithm recommendation system of the platform, which is distinct from the existing media,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viewer can be flowed. Such flow might be an indicator of content addiction.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addition of short-form content viewing as a habit of continuing to watch short-form content, which focuses on ‘prolonged watching’. With thes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SNS platforms that can create, edit, and share shortform content have gained attention. These include TikTok, Instagram Reels, and YouTube Shorts. Based on the resent studies, such SNS users are generally young generations, such as MZ generations which is between 10 and 30 years old. For the reason, this study has focused only age of twenties. As short-form content becomes more influential, and viewers become more active recipients, understanding what content users choose and consume repeatedly is important for short-form content research and development.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whether the attributes of the short-form affect the flow and prolonged watching, and analyzed the mediator of flow. This study has also analyzed the moderated effect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which is the main feature of the short form platfor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content's entertainment,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of the platform, the more influence on the audience's flow. In addition, the more creative the content, its short-term and the platform's interactivity, the longer the viewing of shortform content. Flow has partially mediated effects between creativity, interactivity and prolonged watching. Interestingly, recommend systems don’t have moderated effects between flow and prolonged watching. Overall,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when creating short form content, contents makers should consider the elements of entertainment and creativity of the content. Furthermore, viewers might prefer short and creative contents. Moreover, sharing content, reading comments, and other behaviors beyond viewing content on the platform also affect prolonged watching, and social interchange within the platform is still an important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study has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