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 Download: 0

SNS이용과 SNS 피로감에 관한 연구: 위챗 중심으로

Title
SNS이용과 SNS 피로감에 관한 연구: 위챗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 media use and social media fatigue: A focus on WeChat
Authors
Guan, Yunzhe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위챗 SNS 피로감, 정보 과부하, 사교 과부하, 소외에 대한 두려움, 프라이버시 침해우려, SNS 강박적 사용, SNS 소극적 사용 행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소혜
Abstract
소셜미디어(social media)가 오늘날 가장 주목받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양식으로 두 가지 주요 특징이 있는데 하나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콘텐츠 생산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고 하나는 소셜미디어의 주인공이 운영자가 아닌 사용자라는 것이다. 또한 소셜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은 일방적으로 진행한 것은 아니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바꿔서 모든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콘텐츠를 만들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콘텐츠 전수 쌍방의 지위 평등을 실현한다. 이런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사용자들이 소통할 수 있어서 사회 관계망 서비스인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큰 주목이 받고 있다. 그런데 SNS는 취미와 관심사를 공유하거나 일상을 기록하는 데에도 편리하다는 것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SNS를 업무 용도로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SNS에 대한 피로감 혹은 SNS를 회피하는 사용자 수가 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 피로감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여 중국 대표적인 인스턴트 메시지 플랫폼-위챗을 연구 대상으로 사용자가 위챗을 사용할 때 생기는 피로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며 이들 영향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인지 부하이론, 인지 부조화이론을 바탕으로 외부요인은 정보 과부하, 사교 과부하로 선정하였고, 내부요인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선정하였다. 위챗의 SNS 피로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다음에 위챗 사용자들 나타날 수 있는 SNS 무시, SNS 회피, SNS 탈퇴 의도 등 소극적 사용 행위를 제시하고 연구 진행하였다. 또한 위챗이 사용자의 생활과 업무에서 점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 따라, 위챗의 강박적 사용은 위챗 사용자의 SNS 피로감과 소극적 사용행위 중에 조절 효과를 구체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정보 과부하, 사교 과부하, 소외에 대한 두려움, 프라이버시 침해우려, 이 네 가지 영향요인은 모두 SNS 피로감과 긍정적이고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며, SNS 피로감은 사용자의 SNS 무시 행위, SNS 회피 행위, SNS 탈퇴 의도, 이 세 가지 소극적 사용 행위에 모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위챗 사용자에게 다른 SNS 강박적 사용 정도에서 SNS 피로감이 소극적 사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고 보인다. 즉 SNS 강박적 사용은 위챗 사용자의 SNS 피로감과 SNS 소극적 사용 행위 사이에서 조절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SNS 피로감이라는 현상에 대한 관찰을 기반으로 또한 이론적인 차원에서 중국 SNS의 피로감을 연구했다. 이런 현상을 분석하면 이미 SNS 피로감을 느끼는 사용자들의 부정적인 사용행위의 원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또 위챗의 SNS 피로감에 대한 연구를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SNS fatigue among WeChat user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se influences.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fatigue and information overload, social overload, concerns about privacy, and Fear of missing ou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4 participants, and the study also include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fatigue and negative SNS use behavior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ulsive SNS u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formation overload, social overload, concerns about privacy, and Fear of missing out were all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SNS fatigue, and that SNS fatig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of the users' negative use behaviors. Finally, the effect of SNS fatigue on negative use behaviors was different among WeChat users with different levels of SNS compulsive use, i.e., SNS compulsive use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SNS fatigue and negative use behaviors of WeChat us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