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 Download: 0

공포소구와 효능감이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포소구와 효능감이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Fear Appeal and Efficacy on waste separation and recycling activ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 Controlling Effect of Ecological guilt Guilt
Authors
Du, Lingmeng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설득 효과, 공포소구, 자기 효능감, 환경 죄책감, 환경 의식,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산업과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오늘날 환경 문제는 전 세계의 초점이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경제 발전이 놀랍게 이루어졌지만 이러한 급속한 경제 발전은 자연환경과 생태 환경의 파괴를 수반한다. 폐기물 분리수거 측면에서 중국은 여전히 불완전한 관련 법률 시스템, 감독 및 관리 시스템의 부족과 같은 문제가 있다. 중국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지만 14억 인구에 대한 구체적이고 운영이 가능한 관리제도를 마련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은 일상적인 친환경 행동이다. 정부가 완전한 폐기물 분리수거 관리 시스템을 내놓기를 기다리기보다는 근원적인 처리부터 해야 한다. 생활 속에서 폐기물 분리수거를 단호히 하도록 권유해 환경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을 권유할 때 어떤 정보를 대중에게 전파하는지가 연구의 초점이다. 먼저 본 연구는 공포소구 도구에 주목하여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을 권유하는 데 활용하였다. 공포소구는 손실 회피 심리를 이용하며, 메시지 속 위협이 공포를 높인 후 사람들은 위협을 피하기 위해 행동할 것이다. 공포소구의 수준에 따라 설득 효과도 달라진다.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공포소구의 설득 효과는 불확실하다. 따라서 효과 평가의 측면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에 대한 다른 공포소구 강도의 영향의 차이를 조사했다. 둘째, 구체적인 행동 실행은 특정 임무를 처리하는 개인의 신념 및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기 효능감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다. 그리고 자기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인지,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본 연구는 자기 효능감의 수준이 다르다면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도 조사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포소구의 프레임을 확대할 측면에서 환경 의식의 매개효과와 환경 죄책감의 조절효과가 검토되었다. 독립변수인 공포소구 강도를 두 집단(공포소구 강도 고, 공포소구 강도 저)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206명의 중국 사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두 실험물이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또 다른 독립변수인 자기 효능감을 평균점으로 고/저 집단으로 나눠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기도 했다. 가설 검증에는 주로 분산분석과 회귀 분석이 사용되었다. 공포소구 강도가 높을수록 설득 효과가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한 자기 효능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환경 의식을 높이고 폐기물 분리수거 행동을 진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의식의 보완적 매개효과와 자기 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발견됐다. 하지만 변수 간 상호작용 효과, 환경 죄책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정부가 향후 폐기물 분리수거에 대해 선전할 때 사태의 심각성을 최대한 부각시켜야 할 것을 시사한다.;A study Today, with the highly developed industry and technology,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the focus of the world. In recent years, China's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amazing, but such rapid economic developmen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terms of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China still has problems such as the imperfection of the relevant legal system and the lack of supervision and management system. Although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a specific and operable management system for the 1.4 billion population. Secondly,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is a daily pro-environment action. Instead of waiting for the government to introduce a formal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management system, it is better to deal with the problem at the root. In other words, people can be persuaded to carry out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activities resolutely in their daily lives. The focus of the research is on what information to disseminate to the public when persuading people to carry out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actions. First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ool of fear appeal and applies it to persuade people to participate in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activities. Fear appeal uses people's psychology of avoiding loss, and the threat in the message increases fear. People will take action to avoid the threat. The effectiveness of persuas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fear appeal. According to other researchers' studies, the persuasive effect of fear appeal is uncertain. Therefore, in terms of effect evalu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different levels of fear appeal on waste sorting and recycling activities. Secondly, specific action implementation is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s' beliefs in their ability to handle specific tasks.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action. Different levels of self-efficacy have different effects on cognition, attitude, and ac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different levels of self-efficacy on waste sorting and recycling activities.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expanding the framework of fear appeal, this study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cological guilt.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intensity of fear appeal was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intensity of fear appeal and low intensity of fear appeal). 206 Chinese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The self-efficacy of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was also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high and low groups according to the average. Hypothesis testing was primarily conducted using analysis of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intensity of the appeal for fear, the better the persuasive effect. In addition, compared with people with low self-efficacy, people with high self-efficacy are more likely to improve thei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arry out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complementary media effect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moderating media effects of self-efficacy.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media effect of ecological guilt were not f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highlight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when promoting waste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