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 Download: 0

가상소셜에서 자기불일치가 아바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상소셜에서 자기불일치가 아바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lf-Inconsistency on Avatar Identification in Virtual Socia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vatar Customization
Authors
Zhan, Songmin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가상 소셜, 자기 불일치, 아바타 동일시, 아바타 커스터마이제이션, Virtual social interaction, Ideal-real self-discrepancy, Avatar identification, Avatar customiz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소혜
Abstract
현재 인터넷 기술의 발전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며 VR, AR, 3D 및 기타 기술과 인터넷의 심층 융합이 점점 더 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가상 소셜이 점차 등장하고 있다. 가상 소셜은 기술에 의해 뒷받침되며 가상 의인 이미지를 통해 개체를 표현하고 다른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며, 이는 네트워크 소셜 위에서 보다 철저한 가상화 정도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소셜이다. 가상 소셜은 인터넷 기술과 문화의 발전에 중점을 둔 가상 세계의 응용 형태이며 그 영향은 점점 더 깊어지고 잠재 가치는 점점 더 두드러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가상 소셜에서 이상-현실의 자기불일치가 아바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아바타 커스터마이제이션의 매개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아바타 동일시가 사용자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시에, 사용자와 가상 소셜 애플리케이션의 상호 작용성을 조절 변수로 사용하여 아바타 동일시와 사용자의 즐거움 사이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가상 소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적 지원과 실질적인 제안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총 308부 유의미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데이터 분석을 진행했다. 본 논문은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SPSS 24.0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인자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SPSS Macro Process Model 4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했고 SPSS Macro Process Model 1을 이용해 조절효과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상 소셜에서 사용자의 이상-현실 자기불일치는 아바타 동일시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며, 이상-현실적 자기불일치가 클수록 아바타 동일시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 소셜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자기불일치를 구체적으로 용모와 외형, 생활 환경, 인간관계, 총체적 평가 네 가지 차원으로 분류했다. 이 중 총체적 평가 차원이 아바타 동일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현실적 자기불일치는 아바타 커스터마이제이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차이가 큰 사용자는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최대한 이상적 자아에 가까워지려는 경향이 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아바타 커스터마이제이션은 아바타 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상-현실적 자기불일치와 아바타 동일시의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 효과도 확인했다. 아바타 동일시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즐거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아바타 동일시와 사용자 즐거움 사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아바타 동일시가 사용자 즐거움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 효과가 증가하며, 아바타 동일시와 즐거움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상호 작용성의 조절 역할을 검증했다. 본 논문에서 가상 소셜에 대한 관심과 분석, 그리고 실증 연구를 통해 얻은 아바타 동일시의 영향 요인에 관련 결과는 가상 소셜 분야의 연구 성과를 풍부하게 하고, 아바타 동일시에 대한 연구 범위를 확장하며, 후속 관련 연구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The current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is advancing rapidly, and the deep integration of technologies like VR, AR, 3D, among others, with the Interne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this context, virtual social interaction is gradually gaining prominence. Supported by technology, virtual social interaction utilizes virtual anthropomorphic representations to portray individuals and engage in interactions with other users. It represents a more profoundly virtualized form of social interaction built upon the foundation of online social connectivity. Virtual social interaction stands as an application form of the virtual world, embodying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culture. Its influence is becoming more deeply entrenched, while its latent value is increasingly promine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ideal-real self-discrepancy on avatar identification within virtual social interaction. It particularly focuses on the mediating role of avatar customization and analyzes the influence of avatar identification on user enjoyment. Simultaneously, this paper considers the application interactivity between users and virtual social software as a moderating variable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identification and user enjoyment, offering theoretical support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of virtual social software. This study conducted data analysis on 308 valid questionnaires collected through a survey. SPSS 24.0 was utilized to perform validity testing,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SPSS Macro Process Model 4 was employ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while SPSS Macro Process Model 1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deal-real self-discrepancy of users within virtual social interaction significantly impacts avatar identification; the greater the disparity between Ideal-Real selves, the stronger the avatar identification. Considering the practicalities of virtual social interaction, individual ideal-real self-discrepancy is specifically categorized into differences in appearance, liv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verall evaluation. Among these, the overall evaluation dimension exhibit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avatar identification. The ideal-real self-discrepancy also positively influences avatar customization; users with larger differences between their Ideal and Real selves may tend to customize their avatars to resemble their Ideal selves as closely as possible. Additionally, this paper confirms the positive impact of avatar customization on avatar identific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vatar customization between ideal-real self-discrepancy and avatar identification is significant. Higher levels of avatar identification correlate with increased user enjoyment, affi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identification and user enjoyment. As application interactivity of social software intensifies, the positive predictive effect of avatar identification on user enjoyment strengthens, confirming the moderating role of software inter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identification and user enjoyment. This article's focus on virtual social interaction and analysis, along with the empirical results detailing factors influencing avatar identification, enriches the research landscape in the field of virtual social interaction. It expands the scope of avatar identification studies and serves as a reference for subsequent related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