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초등학생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프로그램 개발 연구

Title
초등학생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프로그램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Learning Engagement Program for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한정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Keywords
수학학습관여 유형, 학부모 교육, 수학학습관여 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종희
Abstract
미래사회는 변동성(volatilt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의 특징으로 설명된다(Fadel, Bialik & Trilling, 2015). 미래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 학계, 교육부(청). 학부모 그리고 학생이 모두 협력하여 새로운 교육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이보람, 이강이, 2021). Covid-19 팬데믹은 거리두기로 학습의 장(field)이 가정으로 옮겨지며 학부모가 가정에서 자녀의 담임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을 겪으며 학부모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학부모는 자녀의 교육을 위해서 학습을 하고자 하는 열망은 있지만 현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육 체제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서정화 외, 2019). 학부모는 자녀의 교육을 돕기 위해 학습자로서 자녀의 교육에 대한 재학습의 기회를 가지고(곽삼근, 2005) 내 자녀에 맞는 학습관여를 위한 지속적인 학습을 할 필요가 있다. 자녀가 원하는 수학학습관여와 학부모가 하는 수학학습관여 유형이 일치할지라도 그 내용과 만족도에 있어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인다(강미선, 이종희, 2019)는 연구 결과는 학부모가 자녀의 수학학습관여를 하기 위해서 학부모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강미선(2015)은 우리 나라 실정에 맞게 수학학습관여 유형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는데, 각 유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으로 본 연구는 이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하려는 자녀를 돕고자 하는 높은 교육열(이종각, 2014)을 가진 우리 나라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과정에 나타나는 개인변인에 도움을 주어 수학학습관여 과정이 개선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관련 연구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과 목적을 바탕으로 초등학생 자녀의 수학 학습에 관여하려는 학부모를 돕기 위한 수학학습관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을 탐색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에 보완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초등학생 자녀의 분수 학습에 관여하려는 학부모를 돕기 위한 수학학습관여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2. 수학학습관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선호하는 유형 및 선호 유형에 참여한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과정이 보이는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A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5단계 절차로 수학학습관여를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질적연구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보완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A) 단계에서 문헌 고찰을 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내용선정을 위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설계(D) 단계에서는 문헌 연구와 요구도 조사에서 도출된 내용을 근거로 예비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개발(D) 단계에서는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도출한 시사점을 반영하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수정 의견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 실행(I)-평가(E) 단계에서 학부모와 자녀에 대해 수정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선호하는 유형에 대한 분석과 선호 유형에 참여한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과정이 보이는 특징을 탐색하고자 학부모의 심층면담 발화 내용을 코딩 분석하였다. 선호 유형으로 선정된 격려추구형에 참여한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김희정(2018)이 제시한 자녀학습관여 과정 모델의 인식-개입-갈등-조절-성장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선호 유형으로 분석된 격려추구형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들에게서 나타난 격려의 종류를 나미연(2011)이 제시한 격려의 원리로 분석하였다. Hoover-Dempsey & Sandler(2005)의 학습관여 과정의 이론적 모델 1단계를 참고하여 선행연구로부터 도출한 수학학습관여에 영향을 주는 학부모의 개인변인에 대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참여로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특징 분석 결과로부터 개발된 프로그램의 보완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1의 주요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수학 4학년 2학기 1단원 분수 단원을 주제로 직접지도형, 관리추구형, 학습방법연구형, 체험학습추구형, 격려추구형의 5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선정을 위해 실시한 요구도 조사인 설문조사로부터 프로그램에 반영할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5개의 유형 각각에 대해 하위요소를 3개씩 추출하였고, 학부모 면담을 통해 각 프로그램에 공통으로 반영할 3개의 하위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초등학교 수학 4학년 1학기 분수 단원을 주제로 5가지 수학학습관여 유형으로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예비 프로그램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수정된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2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8명의 학부모는 프로그램 참여 후 7명의 학부모가 격려추구형, 1명의 학부모가 체험학습추구형을 실행한 것으로 나타나 격려추구형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높은 선호도를 보인 격려추구형 프로그램에 참여한 4개의 사례에 대해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 후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과정이 보이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격려추구형을 선택한 학부모에게서 고학년이 된 자녀의 수학학습에 대해 직접적인 관여의 정도를 낮추고 자녀의 정의적인 측면을 지원하는 것이 수학 전문성이 부족한 학부모들에게 더 유리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학학습관여 과정에서 인식(R)-개입(I)-갈등(C)-조절(A)의 단계(김희정, 2018)의 관점에서 보이는 특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조절(A)-성장(G)의 단계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영향이 발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격려추구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격려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례에서 다양한 격려의 원리가 나타났다. 따라서 사례로부터 도출한 예시 상황과 그때 사용된 격려의 종류를 재구성하여 격려추구형 프로그램에 추가할 수 있는 예시 자료(<표Ⅳ-3>)를 도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부모의 개인변인에 도움을 주어 수학학습관여 과정의 긍정적인 변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1, 3, 4은 내용지식(K)-효능감(E)-태도(A)-시간에너지(T)에, 사례2는 내용지식(K)-효능감(E)-시간에너지(T)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원하는 수학학습관여 유형에 대해 알고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자녀의 수학학습에 관여하는 과정에서 학부모에게는 자녀가 원하는 유형으로 도움을 주었다는 만족감과 자녀는 학부모로부터 원하는 내용의 관여를 받았다는 인식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참여 학부모들이 4-5학년이 되며 자녀의 수학을 직접 지도를 하며 겪은 갈등 관계 개선을 위해 격려추구형 관여로 관계를 개선해보고자 하는 의도가 관찰되기도 하였다. 둘째, 수학학습관여 과정에서 조절-성장의 단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조절-성장에서 본 프로그램(격려추구형)의 효과가 공통되게 발현된 현상은 시기적으로 초등학교 5학년 자녀와 수학학습관여로 갈등을 겪고 해결 방안을 찾는 시기에 전문가의 프로그램 지원이 도움이 된 것으로 해석된다.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프로그램을 연구할 때 자녀의 연령에 따른 성장 시기별로 나타나는 수학학습관여 과정의 특징을 탐색하고 선호 유형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여 관여 유형과 내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셋째, 격려추구형에 참여한 5학년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 과정에 나타나는 특징을 탐색함으로써 격려추구형 프로그램에 보완할 사항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양한 격려의 예시 자료가 학부모에게 제공된다면 격려추구형 프로그램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례로부터 얻은 예시 상황과 격려의 종류를 재구성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에 추가하는 자료를 도출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격려추구형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다양한 격려의 예시는 수학학습관여 과정에 도움이 되는 교육 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에서 단계별로 제시한 내용선정이 학부모의 개인변인에 긍정의 영향을 주어 수학학습관여 과정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다는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질적연구에 참여한 사례에서 나타난 결과에 대해 일반화를 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에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5학년 자녀의 수학 학습 지도에 관여하려는 학부모를 도울 수학학습관여를 위한 내용선정의 중요성만큼 자녀의 성장 시기에 따른 가정에서 학부모-자녀의 관계가 관여 유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수학교육 분야에서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었지만 주로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요즘 학부모들은 자녀의 학습에 관여하는 방식이 예전보다 적극적이고 전문적이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욕구는 학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로 이어지는데 비해서, 연구와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시점에 본 연구가 개발한 프로그램이 향후 관련 연구에 의미있는 기초 자료가 되어 평생학습 시대에 학부모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수학교육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The future society is expla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volatiltity, uncertainty, complexity, and ambiguity(Fadel, Bialik & Trilling, 2015). The government, academia, the Ministry of Education(Agency), parents, and students should all work together to build a new education model in order to nurture talents who can flexibly respond to and adapt to the future society(Boram Lee and Kangi Lee, 20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help Korean parents with a high educational zeal(Lee Jong-gak, 2014) to help their children prepare for the changing future society, evaluate the program after application, and It is to analyze the effect and serve as a priming water for related research. Parents, as lifelong learners, ne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relearn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learners(Kwak Sam-geun, 2005) to help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o learn for a learning experience suitable for their children. Even if the types of mathematics learning activities desired by children and the types of mathematics learning activities performed by parents are identic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different responses in terms of content and satisfaction(Kang Mi-sun and Lee Jong-hee, 2019). This indicates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he Covid-19 pandemic moved the field of learning to the home due to distancing, and the need to strengthen parents' capabilities emerged as parents may become their children's homeroom teachers at home. Parents who were not prepared for these social changes in recent years have become more dependent on private tutoring according to their family's economic lev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gram to help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in learning to help strengthen parents' capacity to be involved in their children's learning. For th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we apply the program to the subjects of qualitative research, analyze the evaluation opinions of the developed program, and conduct case studies for effect analysis. To this e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Math Learning Involvement Program to help parents who want to be involved in fractional learning for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parent's preferred type for the mathematics learning involvement program and the parent's participation in the preferred type?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research with these research problems and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five-step proces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 program to help students learn mathematics was developed, and the developed program was evaluated by participants in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In order to solve research question 1,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t the stage of analysis(A)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and a survey of 75 elementary school parents and an interview with 2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tent demand for the program. investigated. In the design(D) stage, a preliminary program draf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tents derived from literature research and demand survey. In the development(D) stage,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program for three elementary school par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and reflect them in the final draft, and the final program was deriv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For case study analysis,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nalyzed in the progress stage of recognition–intervention– conflict-regulation-growth, the fifth stage of the learning-intervention process proposed by Kim Hee-jung(2018). The types of encouragement shown by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couragement and Trust Program were analyzed as the types of teacher encouragement in the classroom suggested by Na Mi-sun(2011). Based on the first stage of the theoretical model of learning involvement process by Hoover-Dempsey & Sandler(2005),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math learning involvement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is to develop programs into 5 types of mathematics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research of Kang Mi-seon(2015), and 3 sub-content elements for each type were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for content selection. To materialize each sub-content, it was implemen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lass design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plann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participation method, parents preferred a method in which they could participate individually at the available time, and based on the high response rate that it would be better to participate in only the classes of interest among the programs, individual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preferred program for this program were selected. After determining the operation method and making a PPT video about the common educational content for the homogeneity of education for the participants, sending it online, individual training was conducted by phone and zoom. The main research result of research question 2 wa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and utterance analysis of 8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preference for encouragement and trust type was high. It was analyzed that conflicts appeared due to lack of expertise in mathematics subject content, lack of confidence in teaching ability, and children's growth. It was found that the cre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environment felt burdensome in terms of how to utilize it and the need to spend tim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7 out of 8 participants said that they were involved in the type of encouragement and trust in the time they were involved with their children. Among them,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nalyzed for 4 cases.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the course of learning engagement in mathematics was analyzed as being expressed at the stage of conflict(C)-control(A) among the five stages of recognition(R)-intervention(I)-conflict(C)-control(A). In all four cases, the types of encouragement and trust were applied in activities involving children,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couragement used in the process(Na Mi-yeon, 2011), various types of encouragement were found in each case. The first stage of Hoover-Dempsey & Sandler's(2005) theoretical model of learning involvement process is explained by the parent's individual variables. In this study, these individual variables were derived a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K),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E), mathematical attitude(A), time and energy(T) elements based on the literature in accordance with mathematical learning participation.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four variables in the case of three parent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ree variables in the case of one parent. The positive effect on these individual variables led to an improvement in the results of the children's follow-up activity sheet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rogram to help children participate in math learning.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for content selection was very high(9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for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help parents in teaching their children mathematics.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mand survey showed interest in learning method research, management and conversation, encouragement and trust, experiential learning environment creation, and direct guidance as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for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ed program showed a high participation rate for encouragement and trust during engagement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This may be the result of the variable that referred to the type desired by the child after knowing the results of the test on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of the child and the parent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study. Second,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opinion that it would be nice if parents could efficiently relearn the core concept of the mathematics unit proposed in the interview survey for program content selection as common content to all types,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ed program Re-learning of the core concepts of the subject was recognized as strengthening knowledge of mathematics content(K), and this led to an improvement in parent teaching efficacy, which was analyzed by utterance. Third, participants in this study chose an encouragement and trust program when they were actually involved. In this process, parents said that they were able to get closer to the encouragement and trust that their children wanted by participating in the developed program. Encouragement appeared in various forms in each case, which indicates that the method of support and encouragement can vary depending on the child's disposi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Four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ought they could engage in learning with some past experience in elementary mathematics, but they tended to be angry rather than discovering and acknowledging themselves for not understanding mathematics subjects with systematic and continuous conceptual characteristics.In the end, it was said that this phenomenon had a bad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it was during the 4th and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at they felt the limitations of direct guidance in mathematics and depended on private tutoring. Fifth,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cess of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the increase in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led to parents' belief in teaching ability,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who had been relatively negligent while concentrating mainly on research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although they had been acutely aware of the need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Nowadays, parents tend to be more active and professional in their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learning than before. This desire led to the demand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were insufficient. At this point,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programs and effects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serve as meaningful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and research on math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as adult learners will continu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for par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