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성*
dc.contributor.author이연주*
dc.creator이연주*
dc.date.accessioned2024-01-22T16:31:08Z-
dc.date.available2024-01-22T16:31:08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1218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218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6746-
dc.description.abstractIn the dynamic context of emerging new innovative food products, efficient and precise measurement of consumer sensory perception and acceptance is essential for product development with differentiation. This necessitates a consumer testing method tailored to evaluate consumers’ usage experience at each stage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iding in efficient business decision-making. Recently, a two-step rating-based DFA (double-faced applicability) test with the novel measure of affect magnitude named d-prime affect magnitudes (d'A) was developed under SDT (signal detection theory). The quantitative nature of the d'A measure allows for integration with satisfaction measures to uncover drivers of satisfaction. Sensory testing of novel unfamiliar innovative products often involves naïve consumers for products, whose lack of experience can hinde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criteria, reducing the efficacy of product characteriz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nhance the flexibility of the DFA test to efficiently measure consumers’ product usage experience across all stages of product development, thereby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that accurately gauges consumer satisfaction with innovative food products. To achieve this goal, the DFA test methodology needs to be optimized for broader applications in various business contexts of the stages of opportunity identification, development, and launch. Chapter II of this study extends the DFA test to the opportunity identification stage of product development, introducing a DFA expectation evaluation. Measuring consumer expectations can be key as they are benchmarks for evaluating sensory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products, reflecting consumers’ fundamental needs. By applying it to mayonnaise products, in line with trends of value-oriented consumption and innovative formulations, the DFA expectation evaluation successfully quantifies consumer expectations as d'A without affecting subsequent satisfaction and sensory assessments. It also offers insights into the criteria consumers use to evaluate product attributes, yielding a relevant and meaningful diagnosis for application. Chapter III further investigates the d'A expectation profiles to efficiently identify key satisfaction drivers and guide the direction for product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It posits that consumers’ expectations shape their sensory experience and satisfaction judgments of a product. The d'A expectation profiles effectively identified key attributes significantly impacting overall satisfaction, correlating with PLS regression and LSA results, commonly used to link consum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sensory attributes. The advantage of d'A expectation profiles is in quantifying expected sensory attributes, thus providing insights for product optimization beyond actual product evaluations. Chapter IV develops two comparative test designs for different business objectives in the stages of development and launch for innovative products. Study 1 optimized the DFA test for the early development stage with multiple similar prototypes, adopting a Repertory Grid Method. Study 2 developed a method for comparing existing market products, particularly focusing on a specific competitor across a wide range of products, by modifying the DFA test for paired product presentation and the comparative approach extends to the satisfaction test. Protein drinks are chosen as stimuli due to their novelty and growing market inter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arative approach stabilizes evaluative criteria and enhances sensitivity in distinguishing products compared to the original DFA test presenting products in sequential monadic. It also shows potential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consum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product optimization and building a consumer satisfaction predictive model.;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혁신적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혁신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각 지각과 수용도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제품 차별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제품 개발 과정의 각 단계에서 소비자의 사용 경험을 평가할 수 있는 맞춤형 소비자 감각 평가법이 필요하며, 이는 효율적인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최근, 제품의 특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 정도를 더욱 예민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소비자 감각 평가법인 2단계 평점 기반 ‘양면 적용 가능성’ 평가법 (two-step rating-based ‘double-faced applicability (DFA)’)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으로 수집된 응답은 신호 탐지 이론을 기반으로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개별 지표 (d-prime affect magnitude (d'A))로 계산될 수 있으며, 만족도 평가와 함께 사용하면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동인을 밝혀낼 수 있다. 소비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혁신적 제품의 감각평가는, 제품에 대한 사전 정보가 부족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평가하는 기준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하여, 감각 평가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혁신적 제품 개발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소비자의 제품 사용 경험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DFA평가법의 활용 가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혁신적 제품의 개발 초기 단계인 기회 식별, 개발, 출시 등의 다양한 비즈니스 맥락에서 DFA평가법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식품 제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연구 2에서는 DFA평가법을 기대 평가에 도입하여, 혁신적 제품 개발의 기회식별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적화하였다. 소비자의 기대는 제품에 대한 감각적 경험과 만족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며, 이는 소비자의 근본적인 요구를 반영하기 때문에 혁신적 제품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최근 가치 중심의 소비 추세에 부합하여 혁신적인 마요네즈 제품이 개발됨에 따라 DFA 기대 평가를 마요네즈 제품 군에 적용한 결과, 소비자의 기대가 감각적 품질 특성의 지각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d'A 기대프로파일을 통해 소비자가 제품 평가 시 사용하는 기준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주요 특성을 규명하고, 제품 품질 디자인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3에서는 d'A 기대 프로파일이 만족도 동인을 효과적으로 도출하고 제품 최적화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만족도 동인을 파악하기 위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인 PLS회귀와 LSA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d'A 기대 프로파일이 제품 최적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기대되는 감각 속성을 정량화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실제 평가된 제품 범위를 넘어서는 통찰력을 제공하며, 제품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4에서는 혁신적 제품의 개발 및 출시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DFA평가법에 상대적 비교 접근법을 적용한 두가지 다른 소비자 평가법을 개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여러 유사한 시제품 평가에 적용할 수 있도록 DFA평가법에 레퍼토리 그리드 발전수법 (repertory grid method; RGM)을 접목하여 최적화하였고, 실험 2에서는 특정 경쟁 제품과의 비교에 적용할 수 있도록 DFA평가법에 쌍 비교 접근법을 접목하여 최적화하였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상대적 비교 접근법을 만족도 평가에까지 확장 적용하였다. 새로 개발된 평가법들은 최근 혁신성과 시장 관심이 증가하는 단백질 음료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기본 DFA평가법에 비해, 상대적 비교 접근법을 적용한 새로운 평가법은 소비자들의 평가 기준을 안정화시키고 제품 차별화에 대한 민감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 및 만족도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제품 최적화 및 소비자 만족도 예측 모델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주도형 혁신적 제품 개발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서 DFA평가법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적화되었다. 마요네즈와 단백질 음료와 같은 혁신적 제품에 대한 연구 결과는 DFA평가법이 혁신적 제품의 성공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전략적이고 효율적인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성공적인 제품 혁신을 위한 의미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DFA평가법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향후 연구의 방향은 다양한 혁신적 식품 및 음료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속성 목록을 개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속성 목록은 DFA평가법의 유용성을 확장 시켜 혁신적 제품에 대한 신속하고 포괄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해줄 것으로 사료된다. DFA평가법의 이러한 발전은 소비자 만족도 측면에서 제품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소비자 주도형 제품 개발 과정에서 더욱 명확하고 체계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즈니스 전략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Chapter I: Introduction 1 A. Literature review 1 B. Overview of the thesis 16 Chapter II: Investigating effects of cognitively evoked situational context on consumer expectations and subsequent consumer satisfaction and sensory evaluation 21 A. Introduction 22 B. Material and methods 28 1. Subjects 28 2. Samples 28 3. Experimental design 30 4. Experimental environment and test procedures 34 5. Data analysis 46 C. Results 49 1. Consumer expectation ratings (Experiment I) 49 2. Consumer overall satisfaction ratings (Session 1 in Experiment II) 53 3. Consumer sensory experience ratings (Session 2 in Experiment II) 55 D. Discussion 59 1. Effects of methodological intervention of including expectation evaluation with the CWU procedure of cognitively evoking situational contexts 60 2. Effects of situational contexts on consumer expectations (Experiment I) 62 3. Effects of situational contex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sensory experience evaluation (Experiment II) 64 4. Effects of situational context on high-end(+) and low-end(‒) ratings 68 5.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70 E. Conclusion 73 Chapter III: The signal detection expectation profiling method can effectively identify the specific product attributes that consumers need for satisfaction 75 A. Introduction 76 B. Material and methods 81 1. Scope and dataset 81 2. Data analysis 85 C. Results 92 1. Identifying hedonic valence and correlation of descriptor pairs in the DFA test 92 2. Comparing the d′A expectation profile with the d′A sensory profiles of the most and least satisfied products 96 3. Comparing the d′A expectation profile with variable importance for the projection (VIP) from the PLS regression and the d′A optimal product profile predicted from consumers’ LSA ideal points 99 D. Discussion 104 1. The d′A expectation profiling method can effectively derive the key product attributes required for consumer satisfaction 104 2. Customized attributes in terms of hedonic valence for target consumers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d′A expectation profile 107 3.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109 E. Conclusion 111 Chapter IV: Development of a new comparative sensory profiling test to build a predictive model for consumer satisfaction with innovative food product 112 A. Introduction 113 B. Study 1 117 1. Materials and method 117 1.1. Consumers 117 1.2. Samples 117 1.3. Overall experimental design 118 1.4. Test procedure 121 1.5. Data analysis 124 2. Results 128 2.1. Relationships between each descriptor and overall satisfaction scores 128 2.2. Comparison of sample discriminability between the two-step rating-based DFA test and the three-step rating-based DFA test 130 2.3. Comparing sample configurations obtained from a three-step rating-based DFA test and two-step rating-based DFA test 132 2.4. Comparing sensory profiles of d′A values obtained from three-step rating-based DFA test and two-step rating-based DFA test 136 2.5. The reproducibility of d′A value from the two-step rating-based DFA test with three times in repetition 138 2.6. Consumer overall satisfaction score 140 2.7. Comparing key attributes regarding overall satisfaction derived from three-step rating-based DFA test and two-step rating-based DFA test 142 C. Study 2 144 1. Materials and method 144 1.1. Consumers 144 1.2. Samples 144 1.3. Overall experimental design 145 1.4. Test procedure 147 2. Results 149 2.1. Comparison of sample discriminability between the pair-wise comparison design and sequential monadic design 149 2.2. Comparing sample configurations obtained from the pair-wise comparison design and sequential monadic design 152 2.3. Comparing sensory profiles of d′A values obtained from comparative test design and sequential monadic design 156 2.4. Comparing d′A values for overall satisfaction obtained from comparative test design and sequential monadic design 158 2.5. Comparing drivers of satisfaction derived from pairwise comparison test and sequential monadic test 160 D. Discussion 162 1. Higher sensitivity in sample discrimination of sensory attributes using a new comparative consumer test method 162 2. Identifying drivers of satisfaction with the consumers’ conceptual structures derived from the Repertory grid method 164 E. Conclusion 167 Chapter V: Summary and Conclusion 168 A. Summary and Conclusion 168 B.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171 References 172 Abstract in Korean (국문초록) 1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22953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onsumer sensory profiling test method for predictive modeling of satisfaction in innovative food products*
dc.typeDoctoral Thesis*
dc.creator.othernameLee, YeonJoo*
dc.format.pagexi, 19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공학과*
dc.date.awarded202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