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 Download: 0

The Effect of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Program on Perception upon AAC and AAC Teaching Efficacy among Myanmar Special Education Personnel

Title
The Effect of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Program on Perception upon AAC and AAC Teaching Efficacy among Myanmar Special Education Personnel
Other Titles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연수 프로그램이 미얀마 특수교육 종사자들의 AAC에 대한 인식과 AAC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uthors
TU HNINE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Program, Perception upon AAC, AAC Teaching Efficacy, Myanmar Special Educ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Providing educa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Myanmar, a developing country, is a challenging task due to various difficulties. The country's special education system is still in its primary stages, and there is a shortage of trained professionals who can deliver quality service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ren who are unable to communicate verbally fac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daily activities, social interactions, and education. Therefore, expanding the current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se children in Myanmar is important. Additionally, teachers need more confidence in their guidanc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various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Myanmar,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vides little to no support or assistance, and mainly loc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under the care of the Ministry of Social Welfare advocate for special education. Therefore, it is crucial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staff working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ncluding thos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in such organiz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on the knowledge, percep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nineteen staff working at an NGO-based special education center in City A, Myanmar. The participants includ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hysiotherapists, paraprofessionals, and school administrators who work with stud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The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the dependent variable being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AAC and teaching efficacy. Pre and post-test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nd processed by the 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hypothesis that the AAC training program affects the perception of AAC and teaching efficacy of the Myanmar special education personnel.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knowledge of AAC had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Since all of the participants had been working with students with limited communication skills, the content of the training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e students they had been working with. The training program also significantly impacted the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Despite most of the participants' long experience working with students lacking communication skills, the role of communication in education was often overlooked throughout their careers. However, the train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rticipants' confidence in teaching communication using AAC interventions. Qualitative data consisting of research notes and post-interviews were also collected throughout and after the research period, aligning with the positive outcomes discovered within the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AAC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personnel positively affected their knowledge of AAC and teaching efficacy. The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AAC training for people working in Myanmar's special education field. The study's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AAC and special education,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in Myanmar.;미얀마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장애 아동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다양한 어려움으로 인해 도전적이다. 미얀마의 특수 교육 체계는 여전히 기초 단계에 있으며, 장애 아동에게 질 높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이다.의사소통 지원이 필요한 아동들은 일상에서 구어 발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교육, 사회적 상호작용 및 활동에 참여하는 능력에서 상당한 제약을 경험한다. 따라서 미얀마의 이러한 아동들을 위한 현재의 학습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르치는 교사들은 또한 다양한 교육적 중재에 대한 지식과 활용에 더 많은 자신감이 필요하다. 미얀마에서 교육부에서 체계적인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으며, 주로 사회복지부 밑에서 현지 비정부기구들이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특수교육에 대한 활동을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다. 즉, 이러한 기관에서 복잡한 의사소통 요구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있는 교사 및 교육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얀마 A도시에 위치한 NGO 기반의 특수교육 센터에서 근무하는 19명의 특수교육 종사자에 대한 보완 및 대체 의사소통(AAC) 교육이 그들의 AAC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로는 센터에서 복잡한 의사소통 요구를 가진 학생들을 가르치는 특수교사, 물리치료사, 보조교사 및 학교 관리자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AAC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미얀마 특수교육 종사자의 AAC에 대한 인식 및 교수효능감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 및 사전-사후 비교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참여자의 AAC에 대한 인식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의사소통 기술이 제한된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AAC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이 그들이 지금까지 가르친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할 수 있게 설정한 것이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둘째, AAC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참여자의 AAC 교수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대부분의 참여자가 의사소통 기술이 부족한 학생들과 오랜 일해온 경력을 가졌지만 교육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간과되어왔다. 그러나 AAC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룬AAC 중재 방법들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이 학생에게 의사소통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증가시켰다. 연구 기간 동안 수집된 연구 일지 및 현장 노트로, 사후 면담으로 구성된 질적인 자료가 양적 데이터 분석에서 발견된 긍정적인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미얀마 특수교육 종사자에 대한 AAC 교육이 AAC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미얀마의 특수교육 분야에서 AAC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력과 미얀마의 AAC 및 특수교육 분야에 대한 기초연구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