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8 Download: 0

언박싱 브이로그(Unboxing Vlog) 시청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언박싱 브이로그(Unboxing Vlog) 시청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unboxing vlog viewing on life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social comparison and materialism
Authors
Hong, Yanjia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언박싱, 브이로그, 문화계발이론, 사회비교, 물질주의, 생활만족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고 공유하는 것이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니다. 브이로그는 일상을 동영상으로 기록하는 뉴미디어로 전 세계에서 제작과 시청의 열풍이 불고 있고 큰 주목을 받았다. 인기가 높아지면서 브이로그는 일상을 기록하는 역할에만 국한하지 않고 마케팅과 사회생활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유형이 다양해지고 영향력이 커지는 경우 브이로그의 연구 범위를 넓히고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언박싱 브이로그를 주로 연구 유형으로 선정하고 문화계발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을 참고하여 사회비교와 물질주의를 중심으로 언박싱 브이로그 시청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언박싱 브이로그 시청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619건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회귀분석으로 분석하고 정리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박싱 브이로그 시청은 사회비교 및 물질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언박싱 브이로그 시청빈도가 높을수록 상향 비교행위가 많아지고 물질주의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이다. 둘째, 언박싱 브이로그로 인한 상향 사회 비교는 물질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하자면, 언박싱 브이로그를 통한 상향 비교 행위가 많을수록 물질주의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이다. 셋째, 언박싱 브이로그 시청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상향 비교와 물질주의가 순차적으로 매개한다. 구체적으로 언박싱 브이로그 시청이 물질주의 경향을 높이거나 언박싱 브이로그 시청이 상향 비교 행위를 증가하고 이렇게 증가한 상향 비교 행위가 물질주의 경향을 강화해서 이로 인해 생활만족도를 떨어뜨린다. 이 결과는 문화계발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의 결합은 브이로그와 같은 뉴미디어 사용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뉴미디어 사용이 일상화되는 오늘날, 사람들은 여론, 광고, 소셜미디어 등에 둘러싸여 정서적으로 쉽게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브이로그 시청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연구해서 브이로그의 연구 범위를 확장하여 뉴미디어 사용이 가져오는 심리 변화를 더 잘 알아보고 파악하는 데에 학술적, 실무적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 현대사회에서 주목하는 뉴미디어 산업 발전, 건강한 미디어 사용방식, 1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 등의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it is no longer difficult to shoot and upload and share videos. As a new media to record daily life with video, vlog is gaining high popularity around the world, setting off a wave of making and watching vlog. With the increase of attention, vlog is no longer limited to recording daily life,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social life, is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active development. With its content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and its influence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of vlog and carry out more in-depth discussion. This study takes unboxing vlog as the representative type of vlog, refers to cultivation theory and social comparison theory, and focuses on social comparison and materialism to study the impact of viewing frequency of unboxing vlog on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619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and collat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viewing frequency of unboxing vlog has a positive impact on social comparison and materialism.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viewing the unboxing vlog, the more upward social comparison behavior and the stronger the materialistic tendency. Second, upward social comparison due to unboxing vlog viewing has a positive effect on materialism. In other words, upward social comparison behaviors on material level and lifestyle after watching unboxing vlog increases the materialistic tendencies. Third,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materialism sequentially mediate in the process that unboxing vlog viewing affects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unboxing vlog watching increases the materialism trend, or unboxing vlog watching increases upward comparison behavior, and this increased upward comparison behavior strengthens the materialism trend, which reduces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combination of the cultivation theory and social comparison theory can be applied to the use of new media such as vlog. Nowadays, when the use of new media becomes routine, people are easily influenced emotionally by being surrounded by public opinion, advertising, social media, etc. This study studies the process in which vlog viewing affects life satisfaction, which is of academic and practical help to expand the scope of vlog's research to better recognize and grasp the psychological changes brought by new media use.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new media industry, healthy media use, and the production of one-person media contents, which are noted in moder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