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0 Download: 0

2030 세대의 다차원적인 노화불안 내면화

Title
2030 세대의 다차원적인 노화불안 내면화
Other Titles
Multidimensional internalization of aging anxiety among 2030 generations: Through Instagram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uthors
LI, LIN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2030 세대, 인스타그램, 텍스트 마이닝, 토픽모델링, 의미연결망, 노화 불안, 내면화, 노화예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순태
Abstract
본 논문의 주 목적은 2030 세대가 구체적으로 어떤 차원에서 노화불안을 느끼고 있는지, 핵심적으로 노화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주제는 무엇이며, 그리고 노화불안을 내면화한 후에 어떤 노화 예방 행위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2030 세대가 주 사용자인 인스타그램 소셜미디어에서 ‘늙음’ 이란 해시태그 키워드가 달린 게시글 10,000개를 크롤링하였다. 단어 빈도수(TF) 및 빈도 가중치 점수(TF-IDF)분석, LDA 토픽모델링,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다음과 4가지 연구 결과를 발견하였다. 첫째, 젊은 세대의 노화불안감은 주로 정신적 영역, 신체적 영역, 직장 영역, 지인 영역, 가정 영역, 육아 영역과 같은 총 6개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젊은 세대가 광범위적으로 외모에 대한 노화불안을 가지고 있지만 가장 심층적인 노화불안은 정신적 영역에 있는 노화에 대한 두려움이다. 구체적으로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는데 중년의 사회 관계에 대한 두려움, 변화를 직면해야 하는 두려움, 그리고 돌봄 노동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셋째, 노화불안을 내면화하여 나타난 행동 방식에서, 외모적 노화불안 차원에 있어서 외모관리와 정신적 자유에 대한 추구를 취한다; 신체적 노화불안 차원에서 노화 지연에 대한 욕망으로 건강 관리와 영양보충을 한다; 제일 핵심적인 주제인 생활변화에 대한 노화불안 차원에서 지속적인 공부와 노력을 한다. 넷째, 2030 세대의 노화불안은 두 가지 유형이 있는 것으로 발견했다. 하나는 노화를 예상함으로 생기는 불안 감정(AyEs)이고, 또 하나는 예측된 노화 불안 감정(AdEs)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2030 세대의 노화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수단과 가능성을 제시하고 세대갈등 완화에 새로운 측면을 제안한 바로, 한국 2030 세대의 노화불안 척도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2030 generation experiences aging anxiety,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topic of aging anxiety and the subsequent anti-aging behaviors that manifest as a result. To conduct this analysis, the study collected 10,000 Instagram posts using the hashtag "old," as this social media platform is predominantly used by young individuals. By employing techniques such as word frequency (TF) and frequency weight score (TF-IDF) analysis,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ur key research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l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2030 generation experiences aging anxiety across six main areas, including mental well-being, physical appearance, the workplace, relationships with acquaintances, home life, and childcare. Secondly, while the 2030 generation exhibits a wide range of concerns regarding their physical appearance as they age, the most profound anxiety lies within the mental realm. More specifically, this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three subthemes: the fear of social relationships during middle age, apprehension towards facing life changes, and the worry of assuming caregiving responsibilities. Thirdly, after internalizing age anxiety, young people will engage in the following behaviors to relieve anxiety and prevent aging. In the area of external aging anxiety, young people in the 2030s seek outward appearance management and mental freedom to relieve anxiety; in the area of physical aging anxiety, they have an overwhelming desire to delay aging and seek health care and nutritional supplements; and in the core of aging anxiety, life changes, they cope with new challenges through continuous learning and effort. Fourth, there are two types of aging anxiety emotions in the 2030 generation. One is anticipatory anxiety that caused by anticipation of aging, and the other is the anticipated anxiety about ag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strategies and possibilities for mitigating the aging anxiety experienced by the 2030 generation and suggests a new perspective to address generational conflicts. Additionally, it argu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nxiety about Aging Scale’ specifically tailored to assess aging anxiety among young individual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