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5 Download: 0

대학생 영어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열정이 학습자의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 영어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열정이 학습자의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Instructor’s Enthusiasm Perceived by College Student English Learners on Enjoyment, Boredom, and Learning Engagement
Authors
오선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Keywords
교양영어교육, 교수열정, 학업정서,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 college English, teaching enthusiasm, academic emotions, enjoyment, bordom, engagemen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영어학습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학이 표명하는 글로벌 역량강화라는 교양영어교육의 목표를 고려해 볼 때,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교양영어수업 경험을 연구하는 것은 대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대학 영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수열정과 학업정서인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국내 대학 교양영어교육 맥락에서 교수열정이 대학생의 영어학습에 기여하는 바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교수열정과 학업정서인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는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학업정서인 즐거움, 지루함이 교수열정과 학습참여를 어느 정도로 매개하는가? 셋째, 대학생 영어 학습자가 체험한 교수열정 현상은 무엇이고 그들의 영어학습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답을 얻고자 혼합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적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현재 학기 또는 직전 학기에 교양영어교과를 대면으로만 수강한 적이 있는 남녀 대학생 316명이다. 대학생 영어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교수열정과 학습자의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성별과 학습자 스스로 평가한 영어 능력을 통제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질적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현재 학기 또는 직전 학기에 교양영어교과를 대면으로만 수강한 적이 있는 남녀 대학생 17명이다. 온라인 면담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또는 직전 학기 이전에는 비대면으로 수업이 이루어져, 대면수업과는 양상이 크게 다를 수 있어 대면 수업 상황에서의 자료로 한정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영어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열정, 학습자의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의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변인 간 구조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영어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열정과 학습자의 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 간 직접적 영향 관계에 대하여 교수열정이 학습자의 즐거움과 지루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자의 즐거움과 지루함은 학습참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수열정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학습자의 즐거움과 지루함은 지각된 교수열정과 학습참여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즐거움과 지루함의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이 체험한 교수열정은 교수자의 성격, 노력, 목표 의식이라는 세 개의 차원에서 인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수열정의 성격적 속성은 에너지, 유머러스함, 개방성으로 나타났다. 교수열정의 또 다른 차원은 더 나은 수업을 위한 노력이었다. 노력은 수업자료 고도화, 학생 중심의 참여형 수업을 추구, 수업내용의 효과적 전달, 상세한 학습 피드백, 관계 증진을 위한 소통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교수열정의 세 번째 차원은 뚜렷한 목표였다. 학업의 고유한 가치를 전달하고, 학생을 동기 부여하려는 목표, 영어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해 학습 결과를 성취하려는 목표를 표현하는 것이 학습자에게 열정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둘째, 교수열정은 대학생의 영어학습의 세 개의 하위 측면(행동, 정서, 인지)에서 여러 모습으로 기여하고 있었다. 행동 측면에서 볼 때, 교수열정은 학습자 개인이 학습에 노력을 기울이고 동료와 협력적 학습활동에 참여하게 하였다. 정서측면에서 볼 때, 교수열정은 학생 자신과 교수자, 수업 전반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갖게 하고 우호적인 학습 분위기가 생겨나게 하였다. 인지 측면에서 볼 때, 교수열정은 학습자의 부족한 점에 대해 자각하게 하고 자연스럽게 수업활동과 수업자료의 가치를 발견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자의 학습 과정 중, 교수자가 발휘하는 교수열정의 특정한 속성들이 과하게 인식될 때(예: 수업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교수자가 너무 많은 말을 한다고 생각함), 학습자의 행동참여, 정서 참여, 인지 참여에 부정적이거나 덜 바람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교수열정과 학업정서(즐거움, 지루함), 학습참여와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여 국내 영어교육 분야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교수열정에 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교수열정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정서(즐거움, 지루함)의 매개적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교수열정 및 학습참여와 관련하여 즐거움 및 지루함 외의 다양한 학업정서가 활발히 연구될 필요를 강조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혼합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수열정의 차원과 속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전의 연구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던 교수열정에 대한 상세한 차원과 속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새로운 발견은 교수열정을 다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교수열정의 학습참여에 대한 영향 관계를 견인하는 학습자 측면의 변인을 다각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관은 학생들에게 열정을 전달하고, 학습태도와 성취를 향상하는 교수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연수를 교수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둘째, 교수자는 학습자가 인지하는 교수자의 열정에 대해 이해하고, 긍정적 학습참여를 유도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수자의 열정이 직접적으로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즐거움, 지루함이 학습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볼 때, 학습자는 학습하는 즐거움을 다각적으로 적극 찾아 스스로 학습참여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참여를 측정하는 데 있어 인지 참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 서울지역 4년제 12개 대학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학습참여에 대한 응답을 동일한 시점에서만 받았기 때문에 추후 종단적 설계를 포함한 연구로 인과관계를 명확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Considering the social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educational goals emphasized by universities, it is important to conduct multidimensional research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English liberal arts cours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wo main objectives. First, it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academic emotions such as enjoyment and boredom, and learning participa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such as enjoyment and boredom. Second, it aimed to describe structurally how teacher enthusiasm contributes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learning in the context of English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Are teacher enthusiasm, academic emotions such as enjoyment and boredom, and learning participation related to each other? (2) Do academic emotions such as enjoyment and boredom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and learning participation? (3) What is the teacher enthusiasm experienc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English learning, and how does it contribute to English learn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quantitative study targeted 316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aken English liberal arts courses face-to-face in the current or previous semester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perceived by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their academic emotions such as enjoyment, boredom, and learning participation, with gender and subjective English proficiency controlled as covariates. The qualitative study involved 1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aken English liberal arts courses face-to-face in the current or previous semester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Data collected through onlin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showed that (1)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eacher enthusiasm perceived by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their academic emotions such as enjoyment, boredom, and learning participation was 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2) teacher enthusiasm had a direct effect on learners' enjoyment and boredom, which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participation, but the direct effect of teacher enthusiasm on learning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Learners' academic emotions such as enjoyment and boredo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and learning participation.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college English learners' experience of teaching enthusiasm was perceived in three dimensions: the professor's personality, effort, and goal orientation. The property of teaching enthusiasm was characterized by energy, humor, and openness. Another dimension of teaching enthusiasm was effort, which manifested in the pursuit of high-quality teaching materials, student-centered participatory teaching, effective delivery of class content, detailed learning feedback, and communication to enhance relationships. The third dimension of teaching enthusiasm was clear goals, which were recognized by learners as a passion to convey the unique value of academic learning, motivate students, and enhance their confidence in English communication to achieve learning outcomes. Second, teaching enthusiasm contributes to college students' English learning in three aspects. Behaviorally, teaching enthusiasm contributes by encouraging learners to invest effort in learning and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with peers. On the other hand, when learners perceive the enthusiasm of the instructor as one-sided, their behavior may lack sincerity. Emotionally, teaching enthusiasm contributes by creating positive emotions towards themselves, the instructor, and the class, fostering a friendly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when learners perceive the enthusiasm of the instructor as one-sided, negative emotions may arise. Finally, cognitively, teaching enthusiasm contributes by helping learners to recognize their shortcomings and discover the value of class activities and materials naturally, leading to learning. However, when learners perceive the enthusiasm of the instructor as one-sided, it may hinder their understanding. The study has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include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eacher enthusiasm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academic emotions (enjoyment, boredom), and student engagement. It finds that academic emotion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and student engagement,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different academic emotions. The study also uncovers new aspects of teacher enthusiasm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hich can be used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factors other than emotions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and student engagement, calling for exploration of additional variabl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incorporate a curriculum that enhances teachers' ability to convey enthusiasm, improve learning attitudes, and enhance student achievement. Professors should continuously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show interest in student participation and feedback, and adopt student-centered, participatory approaches. It is important for professors to be aware of students' academic emotions and carefully observe their situations, as excessive emphasis on teacher enthusiasm in certain areas may negatively affect learner participation. Learners should have an accepting attitude toward the teacher's enthusiasm and positive emotions and actively engage in classroom activities.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properly reflect cognitive participation in measuring student participation.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study did no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liberal arts English curriculum, so there is a need to develop items that can better measure cognitive participation in future research. Also, since the study only targeted 12 4-year universities in the Seoul area,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similar studies targeting English learner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outside of Seoul. Finally, since responses regarding student participation were only collected at the same time point, future studies, including longitudinal designs, are needed to clearly verify caus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