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8 Download: 0

국내 입원환자 초기 영양선별도구의 비교평가 및 개선방안 도출에 대한 예비연구

Title
국내 입원환자 초기 영양선별도구의 비교평가 및 개선방안 도출에 대한 예비연구
Other Titles
A pilot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early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for inpatients in South Korea and the method exploration to improve its prediction accuracy
Authors
신지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승연
Abstract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은 재원일수의 증가, 상처회복의 지연, 면역능력 저하, 사망률 및 합병증의 증가를 야기시키며, 따라서 입원초기 정확한 예측을 통한 영양불량의 조기 선별은 입원환자의 예후관리에 중요하나, 국내에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영양선별도구는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영양불량 선별 도구들간의 영양불량 선별력을 비교 분석하고, 예측력을 개선할 수 있는 수정보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종합병원 입원환자 120명의 임상, 생화학 자료 및 식이 섭취 자료는 의무기록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PG-SGA로 정의된 영양불량을 기준으로 하여, 국내외 6개 (NRS-2002, NRI, GLIM, NRST, NSI, SNSI)의 영양 선별 도구들의 영양 불량 유병율, 민감도, 특이도를 측정하고, 영양불량 선별 도구의 예측력을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양지표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대표적인 영양선별 선별도구 들은 영양불량 유병율이 4%-41%로 선별도구마다 상이하게 다름이 관찰되었다. 또한, 각 영양 불량 선별도구들의 타당도를 PG-SGA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시, 각 도구들의 타당도는 64.75%-87.83%의 민감도,67.26%-100%의 특이도, 0.12-0.72의 카파 상관 계수를 보이는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 중 NRST의 타당도가 가 87.83% 민감도, 89.69% 특이도, 0.72 카파 상관계수로 가장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NRST의 타당도의 개선 여부를 탐색하여 보았을 시, 특히 간단하게 수집할 수 있는 2주간의 체중감소와 영양관련증상점수를 NRST에 추가하였을 시, AUC및 모델 적합도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영양불량 선별력을 보이는 영양 선별 도구들간에 PG-SGA를 기준으로 NRST가 가장 타당하며, 영양 지표의 개선을 통해,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양선별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추후 대규모의 연구에서 재현현이 필요하나, 선제적으로 영양불량 환자를 식별하는 도구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함의를 가진다. ;Malnutri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is a well-known risk factor for poor prognosis and mortality. Nonetheless, many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are either foreign instruments or developed under specific hospital settings. There are lack of consensus on the standardized form of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 that can be widely applicable to Korea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ive, simple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nutritional risk index [NRI], global leadership initiative on malnutrition [GLIM], nutrition risk screening tool [NRST], nutrition screening index [NSI], severance nutrition screening index [SNSI]) and explored risk factors to improve discriminability of the instrument. This study analyzed cross-sectional data of 120 in-hospital patients collected within 48 hours upon admission. Clinical and biochemical data were collected via medical records. Interviewer assessed anthropometrics and dietary intak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kappa coefficients of each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 was calculated, compared to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Change in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estimated to assess improvement in discriminability of the instrument by adding new risk factors. In our study, prevalence of malnutrition varied across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ranging from 4.2% by NSI to 40.8% by PG-SGA. Among five malnutrition screening instruments, NRST had the highest agreement with PG-SGA (k =0.72), followed by GLIM and SNSI.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NRST was high, showing 87.83% and 89.69%, respectively. For NRST score, the AUC significantly improved from 0.90 to 0.95 by adding two-weeks weight loss and nutrition-related symptom (change of AUC and 95% confidence interval: 0.05 (0.005, 0.10)). In this study, we observed significant variability diagnosing malnutrition among malnutrition screening tools and NRST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accuracy with potential of improvement by adding simple nutrition indicators. Further large studies are warranted to replicate our find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