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7 Download: 0

대학생의 영성 유형별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소명의식의 차이

Title
대학생의 영성 유형별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소명의식의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and Calling by Type of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Authors
안혜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영적인 추구는 인간 본래의 타고난 욕구로, 인간의 신체와 심리, 영성은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차원이다(Frankl, 1959). 이러한 영성은 삶의 의미와 목표, 사명감, 존재 이유 또는 삶의 궁극적이고 실존적 문제에 대해 답을 제시한다(Steve & Marie., 2009).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과 강점 및 덕성에 대해 강조하는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초월적 덕목을 나타내는 성격 강점(The Values in Action) 중 한 가지로 영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Gallup(2016)의 조사에 따르면, 이전 세대보다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MZ세대가 개인의 풍성한 삶의 목적과 의미를 느끼게 하는 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영성 개발에 더욱 주안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선행연구(황혜리, 서경현, 김지윤, 2011)에서도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 심리적 안녕이 높은 상관을 보여 인간이 영적, 심리적, 신체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가진 존재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따라 국내에서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 차원으로 영성을 주목하였다(한영란, 정영수, 2004). 특히 진로 상담 등 진로 영역에서 영성이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신주연, 김태선, 2017; Duffy & Blustein, 2005).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내 대다수의 대학생이 진로에 관한 고민을 하고 이로 인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김강한, 2020; 김세진, 2020). 이때 영성을 통해 삶의 근원적이고 존재론적인 질문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제시함으로써 잠재적인 해결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Steve et al., 2009). 그러나 영성이 강조되는 현시대에 국내 대학생의 탈종교 현상이 가속화되고, 20대 종교인의 비율이 약 22%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21). 특정 종교에 관한 영성이 아닌 비종교인의 영성 즉, 종교적 차원 이상의 개념으로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의미와 신성함 추구 등에 관한 영성의 탐색이 필요하다(정명숙, 강석임, 김승주, 전혜원, 2017). 또한 영성과 종교성의 수준에 따라 분류된 유형 간에 구별되는 특징, 즉 개인의 성격과 사회적 태도, 행동 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고려할 때(Shahabi et al., 2002; Unterrainer, Ladengauf, Wallner-Liebmann, Fink, 2011; Zinnbauer et al., 1997), 대학생들의 영성 유형과 진로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진로 문제에 관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보다 근본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영성과 종교성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영성과 대학생 시기에 가장 고민되는 주제로 나타난 진로(김강한, 2020)와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연구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영성과 종교성,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소명의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영성은 어떻게 유형화되는가? 이를 위해, 영성을 보편적 영성으로, 종교성을 종교적 영성으로 설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대학생의 영성을 군집으로 유형화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영성 유형에 따라 변수 간의 차이가 나타나는가?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영성 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진로 결정 및 진로 관련 경험, 종교의 차이를 살펴보고, 심리적 변인인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소명의식과 각각의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대학생의 영성 유형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와 구체적으로 어떤 집단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영성과 종교성,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소명의식에 대해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영성 전체 및 하위요인, 종교성, 진로탄력성, 소명의식 전체 및 하위요인은 대부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진로장벽의 경우 영성의 전체 및 하위요인 중 관계성, 통합성과 진로탄력성, 소명의식 전체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종교성, 영성의 하위요인 중 초월성, 소명의식의 하위요인 중 초월적부름-존재는 진로장벽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보편적 영성과 세속적 영성의 수준에 따라 군집유형을 확인한 결과, ‘영성과 종교성 모두 높은 유형(190명, 30.2%)’, ‘영성이 높고 종교성이 낮은 유형(243명, 38.6%)’, ‘영성과 종교성 모두 낮은 유형(196명, 31.2%)’으로 총 3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영성과 종교성 모두 높은 유형’은 영성과 종교성에서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났고, 그중 종교성이 영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 영적인 해석을 통해 도전적 상황을 더욱 잘 적응하며 자기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보다 주도적으로 찾고 추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부정적 대처 양식을 활용할 경우 정서적 스트레스 및 우울이 높게 나타나고 세상을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하며 신과 영적인 대상 등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다음으로 ‘영성이 높고 종교성이 낮은 유형’은 영성과 종교성의 수치가 평균 근처에 위치하면서도 영성이 평균 이상으로 평균 이하인 종교성보다 높게 나타난 유형이다. 군집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Zinnbauer 등(1997)의 연구에서 나타난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은’ 집단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유형은 종교성에서 나타나는 영적 추구보다 상대적으로 초월적 존재 및 여러 대상과의 관계나 영성과 삶의 통합적 관점 추구 등과 같이 보편적 영성의 특징이 잘 나타날 것으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영성과 종교성 모두 낮은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성과 종교성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나면서 영성에 비해 종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영적인 추구와 경험을 중요시하지 않고 삶에서 마주하는 역경과 고난에 대해 영적이고 종교적인 해석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영성이 낮고 종교성이 높은 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영성 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탐색한 결과, 대부분의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먼저 영성 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과 진로 결정, 진로 관련 경험, 본인 종교를 분석하였다. 성별의 경우, ‘영성과 종교성 모두 높은 유형’은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영성이 높고 종교성이 낮은 유형’과 ‘영성과 종교성 모두 낮은 유형’은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영성 유형에 따라 성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로 결정의 경우, 영성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유형에서 진로 결정을 한 학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영성이 높고 종교성이 낮은 유형’과 ‘영성과 종교성 모두 낮은 유형’은 진로 결정 학생과 진로 미결정 학생의 비율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영성과 종교성 모두 높은 유형’은 진로 결정 학생의 비율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약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영성 유형에 따라 진로 결정 여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로 관련 경험의 경우, ‘영성과 종교성 모두 높은 유형’은 진로관련 유경험 학생의 비율이 무경험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성이 높고 종교성이 낮은 유형’과 ‘영성과 종교성 모두 낮은 유형’은 진로 관련 무경험 학생의 비율이 유경험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성과 종교성 모두 낮은 유형’의 경우, 진로 관련 무경험 학생의 비율이 유경험 학생의 비율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 종교의 경우, ‘영성과 종교성 모두 높은 유형’은 개신교(기독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성이 높고 종교성이 낮은 유형’과 ‘영성과 종교성 모두 낮은 유형’은 무교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영성 유형에 따른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 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로장벽의 경우 영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진로장벽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진로탄력성 또한 높게 나타났는데, 앞선 결과와 함께 살펴보면 영성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이 높음과 동시에 진로탄력성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소명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영성 유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대학생의 종교 비율에 근거한 표본을 모집하고 종교적 영성과 보편적 영성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과 대학생의 영성, 종교성,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소명의식 간의 관계에서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와 다른 발견을 통해 영성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대학생의 영성 유형을 3가지로 밝히고 ‘영성이 낮고 종교성이 높은 유형’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한 점과 대학생의 영성이 높을수록 진로탄력성과 소명의식뿐만 아니라 진로장벽 또한 높게 지각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점이다.;The Spiritual pursuit is a natural human need, and the human body, psychology, and spirituality are one dimension that cannot be separated(Frankl, 1959). This spirituality answers the meaning and goals of life, a sense of mission, the reason for existence, or the ultimate and existential problem of life(Steve et al., 2009). And Positive psychology, which emphasizes positive human aspects, strengths, and virtues, presents spirituality as one of the personality strengths (The Values in Action) that represent transcendent human virtues. In addition, Gallup(2016) found that the MZ generation, born from the early 1980s to the mid-2000s, is more focused on developing spirituality as they are more interested in making individuals feel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ir affluent lives. Previous studies in Korea(Hwang et al., 2011) also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firming that humans have integrated spiritu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aspects. Following this trend, in Korea, spirituality was noted as a change in a new paradigm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Han, Jung, 2004). In particular, it argued that the impact of spirituality in career areas such as career counseling should be considered necessary(Duffy et al., 2005; Shin & Kim, 2017).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most college students in Korea worry about their careers and are under much stress from it(Kim, K. H., 2020; Kim, S. J., 2020). At this time, spirituality can provide potential solutions by presenting the essential meaning of life's fundamental and ontological questions(Steve et al., 2009). However, in this era when spirituality is emphasized, domestic college students' de-religion phenomenon is accelerating, and the proportion of religious people in their 20s is less than 22%(Korean Gallup Research Center, 2021).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spirituality of non-religious people, not the spirituality of a specific religion, that is, the meaning of life and the pursuit of divinity that are common to everyone as a concept above the spiritual level(Jeong et al., 2017).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individual personality, social attitude, and behavior between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Shahabi et al., 2002; Unterrainer, Ladengauf, Wallner-Liebmann, Fink, 2011; Zinnbauer et al., 1997), a more fundamental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in college students by type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career path(Kim, 2020), which appeared as the most agonizing topic among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primarily set in three ways based on these research purpose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and calling? To this e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Second, how is the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categorized? To this end, college students' spirituality is classified into clusters by conducting cluster analysis by setting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as spirituality. Third,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depending on the category of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through the Chi-square tes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career decision and career-related experience, and religion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One-way ANOVA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ach sub-factor from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and calling. Then, expressly, it was confirmed in which group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appe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focusing on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career barrier, career resilience, and calling, most of them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ut, in the case of career barrie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career resilience, calling, and sub-factors of spirituality that was relationship, and integrity. And religiosity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transcendence, transcendent summons-presence.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universal and secular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a total of three clusters were formed: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n=190, 30.2%)’,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low religiosity(n=243, 38.6%)’, and ‘types of low spirituality and religiosity(n=196, 31.2%)’. The ‘type of hig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among them, religiosity was higher than spirituality. This type is more likely to adapt to challenging situations through spiritual interpretation of situations beyond its control and to seek and pursue more initiative in the meaning and purpose of one's life. However, using negative coping patterns may lead to high emotional stress and depression, recognizing the world as a threat, and negatively judging God and spiritual objects. The‘type of high spirituality and low religiosity’ is one in whic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are located near the average. However, spirituality is above the average and higher than religiosity below the average. It accounted for the most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clusters and is similar to the ‘spiritual but non-religious’ group shown in Zinnbauer et al(1997) study. This type is expected to show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spirituality, such as relatively transcendent beings and relationships with various objects and the pursuit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spirituality and life rather than a spiritual pursuit in religion. Finally, the ‘types of low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showed the lowest level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compared to other types, showing higher religiosity than spirituality. Compared to other types, this type is likely not to value spiritual pursuit and experience and to have a spiritual and religious interpretation of the adversity and hardships encountered in life. On the other hand, unlike previous studies, there was no 'type of low spirituality and high religiosity' in this study. Thir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 of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most of the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gender and career decisions, career experiences, and one's religion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pirituality. Regarding gender, in The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while the other two types were the opposite. Regarding career decisions, it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made career decisions of all types was high regardless of the type of spirituality.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students who have decided on a career and those who have not decided on a career i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low religiosity’ and the ‘types of low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whereas the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has a very high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students with a career decision or not. In other words, in the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was found to be about 2.6 times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decided on a career and those who did not, confirm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type of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career-related experiences, in the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the highest ratio is students with career-related experiences, whereas, in the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low religiosity’ and ‘types of low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no career-related experie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ith career-related experie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ypes of low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the ratio of students without career-related experience wa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students with experience.Regarding one's religion, in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the highest proportion is Christian, and in ‘types of high spirituality and low religiosity’ and ‘types of low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the highest proportion is non-religious people who appeared to be very high.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and calling according to the type of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spirituality,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 Also, the higher the spirituality, the higher the career resilience. As a result, the higher the spirituality,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 and the higher the career resilience. Finally, it found that the higher the spirituality, the higher the calling. By synthesizing the previous discussion,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type of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samples based on the religious ratio of domestic college students recruited and religious spirituality and universal spirituality were examined together, and various aspects of spirituality were confirmed through findings different from previous domestic stud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the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 higher the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sense of career resilience and calling, as well as career barri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