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3 Download: 0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과보호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과보호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Overprotection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Authors
심현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부모의 심리적 통제, 과보호, 자아탄력성, 주관적행복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과보호가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태도를 독립 변인으로 청소년의 내적 요인을 매개 변인으로 삼았다. 부모의 양육태도 중에서는 부정적 양육태도에 초점을 뒀는데, 사랑을 기반으로 한다고 할지라도 부모가 자식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초점이 잘못 맞춰져있거나 방향이 잘못되었거나 혹은 건강하지 않은 형태의 애정을 보이는 경우들이 있는데, 한국적 양육태도에서 특히 자주 보이는 과보호 양육과 심리적 통제를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변인인 심리적 통제 및 과보호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종속 변인인 개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서는 통합이론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개인의 행복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유전적 기질 및 정서적 성향, 성격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내적 요인을 모두 살피는 모형을 설정하였다. 자녀의 내적 요인의 경우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달리 발달될 수 있는 요인이고, 부모의 양육태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내적 요인을 매개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요인이다.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한 이유는 동일한 조건에도 누구는 불안과 우울을 느끼지만, 누구는 행복감을 느낀다. 그것이 바로 개인 내적 특성의 차이인데,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내적 특성인 자기애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심리를 다루는 연구들의 특징 중 하나는 복합적인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인데, 이러한 이유를 바탕으로 해당 논문에서는 병렬적 이중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우리는 모두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간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의 목표 역시 첫 시작은 ‘건강’과 ‘행복’이다. 하지만 건강하고 행복한 아이로 자녀를 키워내겠다는 부모의 목표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청소년의 불안과 우울, 자살, 비자살적 자해와 같은 소재의 무거운 뉴스를 꽤나 자주 접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고 또 개선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시금 처음의 목표를 생각해야 한다. 청소년들을 행복한 개인으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하며,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실제로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청소년의 행복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어떤 변인들이 청소년이 느끼는 우울이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보다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된다. ‘왜 우울한지’에 대해서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행복해지는지’, ‘어떤 것이 행복에 방해가 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개인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기 위한 더 나은 해결책이 되기 때문이다. 행복감이라는 것은 긍정 정서를 부정 정서보다 더 자주 경험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요인이 긍정 정서 즉, 주관적 행복감을 더 자주 느끼며 살아가는 한 개인을 만드는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개인의 행복감을 높이는 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청소년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본 연구의 매개 변인을 자아탄력성과 내현적 자기애로 설정한 이유는 자아탄력적인 개인은 어떠한 상황에도 자신의 감정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고 긍정적 사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삶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긍정 정서를 더 자주 경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하여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스스로 극복해나가는 경험이 필요하며, 신뢰를 기반으로 긍정적인 부모의 지지가 탄력성의 발달을 돕는다.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과 동시에 부모의 양육태도로 인하여 발달 여부가 결정되기도 하는 변인이다. 따라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자기애의 경우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청소년기 특성상 적당한 수준의 자기애가 필요한 시기이지만,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과하게 발달 될 가능성이 있는 변인이며, 특히 내현적 자기애의 경우 주로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여러 연구에서 다루어진 바 있기 때문에 해당 모형에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사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가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과보호가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내 고등학교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과보호 양육태도와 내현적 자기애, 자아탄력성,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는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550개의 자료 중 불성실 응답 12개와 주 양육자가 부모님이 아닌 응답 32개를 제외하고 총 506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SPSS 26.0, 경로분석을 위해 AMOS 26.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각 변수 간 Pearson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종속변수인 ‘주관적 행복감’과 가장 정적상관이 높았던 변인은 ‘자아탄력성(r=.390, p<.01)’이며,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r=-.213, p<.01)’, ‘부모의 과보호(r=-.169, p<.01)’ 및 ‘내현적 자기애(r=-.121, p<.01)’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가장 상관이 높았던 변인은 ‘부모의 과보호(r=.594, p<.01)’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가장 상관이 높았던 변인은 ‘부모의 과보호(r=.417, p<.01)’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행복감’을 제외한 모든 변인인 ‘부모의 심리적 통제(r=-.236, p<.01)’, ‘부모의 과보호(r=-.210, p<.01)’, ‘내현적 자기애(r=-.281, p<.01)’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통제가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내현적 자기애, 자아탄력성의 전체 매개효과가 유의확률 p<.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통제는 내현적 자기애를 높이지만 내현적 자기애는 행복감을 예측하지 못해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자아탄력성을 낮추고, 낮아진 자아 탄력성은 주관적 행복감을 낮추었으며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심리적 통제는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과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과보호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탄력성을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과보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자아탄력성의 전체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개별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과보호는 내현적 자기애를 높이지만 내현적 자기애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해 내현적 자기애는 매개하지 않았다. 반면, 부모의 과보호는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니었으나, 부모의 과보호는 자녀의 자아탄력성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고, 자녀의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경우 주관적 행복감을 높게 보고하였고, 자아탄력성이 낮은 청소년의 경우 주관적 행복감을 낮게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과보호를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고 청소년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으로 가는 경로에 대한 각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과보호보다 심리적 통제가 주관적 행복감에 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자아탄력성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과 관련된 핵심 변인임을 파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청소년들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인식할수록 주관적 행복감을 낮게 보고하였다. 즉, 애정을 무기로 상황에 따라 달리 주며 자녀에게 불안과 공포 때로는 죄책감을 야기하기도 하는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과보호보다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핵심 변인은 ‘자아탄력성’이었다. 즉, 자녀를 행복한 개인으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자녀가 긍정적 내적 특성인 자아탄력성을 기를 수 있는 양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과보호의 관계에서 개인 내적 특성인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고 핵심 변인을 도출해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적절한 양육태도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고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과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과정을 위한 실증적인 자료로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overprotection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by intrinsic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subjective well-being, the study considers parental parenting styl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dolescents' internal factors as mediating variables.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negative parenting styles within parental parenting, as there are cases where the focus is misaligned or the direction is incorrect, or unhealthy forms of affection are displayed, despite the unquestionable presence of love-based parenting. Overprotection and psychological control, which are commonly observed in Korean parenting styles, a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It is believed that these negative parenting styles, represented by psychological control and overprotection, will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study adopts an integrated theoretical perspective to establish a model for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is an individual's subjective well-being. Individual happiness can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genetic predisposition and emotional tendencies, and personality traits. Therefore, a model that examines both parental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s' internal factors is established. Adolescents' internal factors are influenced by parental parenting styles and can serve as mediating factors. Parental parenting styles can directly influ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can also have an indirect impact through internal factors. The reason for establishing a mediation model is that even under the same conditions, some individuals experience anxiety and depression, while others experience happiness. This difference is attributed to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ntrinsic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which are aspects of individuals' internal characteristics, are set as mediating variables. One characteristic of studies involving psychological aspects is the interaction between complex variables.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the study applies a parallel dual-mediation model. We all live pursuing happiness. The initial goal of parents raising children is also "health" and "happiness." However, despite parents' goals and efforts to raise their children as healthy and happy individuals, for some reason, in modern society, we frequently encounter heavy news involving adolescents' anxiety, depression, suicide, and non-suicidal self-harm. In order to prevent and improve such situations, we need to reconsider our initial goals. To raise adolescents as happy individual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and understa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fact, from a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rather than focusing on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ir feelings of depression or anxiety. Instead of asking "why they are depressed," it is more beneficial to explore "how they can become happy" and "what hinders their happiness." This approach provides better solutions for individuals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ince happiness entails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more frequently than negative emotions, accuratel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positive emotions, namely subjective well-being, and providing directions to strengthen them, becomes crucial in enhancing individuals' happiness. This applies equally to adolescents. The reason for setting self-efficacy and internal self-esteem as the mediating variables in this study is that individuals with self-efficacy can control their emotions and engage in positive thinking in any situation, which allows them to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life and more frequent positive emotions. However, to achieve this, individuals need to have experiences of overcoming challenges to some extent, and the support of positive and trustworthy parents helps in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It is a variable that not only influences subjective well-being but also determines the developmental outcome based on parental parenting styles.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ould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Furthermore,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and adolescence is a period where an appropriate level of self-esteem is necessary. However, it is a variable that can be excessively developed depending on parental parenting styles, an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nternal self-esteem, it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studies as a variable that mainly influences anxiety and depressi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ental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in relation to self-esteem in this model.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overprotect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through internal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n online/off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st and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The questionnaire measured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verprotection, internal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Out of the 550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12 incomplete responses and 32 responses from primary caregivers who were not the parents were excluded, resulting in a total of 506 data poin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was used for path analysis. The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pendent variable, "subjective well-being," was "self-efficacy (r=.390, p<.01)." Self-efficac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213, p<.01)," "parental overprotection (r=-.169, p<.01)," and "internal self-esteem (r=-.121, p<.01)."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parental overprotection (r=.594, p<.01),"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self-esteem" was "parental overprotection (r=.417, p<.01),"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Self-efficac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variables except "subjective well-being," includ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236, p<.01)," "parental overprotection (r=-.210, p<.01)," and "internal self-esteem (r=-.281, p<.01)." Second, when analyz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mediated by internal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 overal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p<.05 level. Looking at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d internal self-esteem, but internal self-esteem did not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so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self-esteem was not confirmed.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confirm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duced children's self-efficacy, and decreased self-efficacy lowered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psychological control was found to directly influ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also influence it through self-efficacy. Third, when analyz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overprotect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mediated by internal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 overal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oking at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verprotection increased internal self-esteem, but internal self-esteem did no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so i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although parental overprotection did not directly affect subjective well-being, it was found to decrease children's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influence subjective well-being. Adolescents with higher self-efficacy reported higher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ose with lower self-efficacy reported lower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overprote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path to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The study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control has a more direct impact on subjective happiness than overprotection.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internal self-esteem and resilience was examined, revealing that resilience is a key variable related to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ported lower levels of subjective happiness.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control, which can alternately bring love, anxiety, fear, and even guilt to children, directly influenced their happiness and also had an impact through resilience.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s a direct factor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surpassing the influence of overprotection, and the key variable identified is "resilience." This implies that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allows children to cultivate positive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resilience is crucial for fostering them into happy individual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self-esteem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verprote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adolescents, this study confirms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among variables and identifies the key factors. The study provides insights that, in order to enhance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parents must adopt positive and 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resilience.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resilience-enhancing programs for adolescents can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 this study serving as empirical evidence for the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