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8 Download: 0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가 읽기 부진 아동의 영어 단어 재인 및 음운 인식에 미치는 효과

Title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가 읽기 부진 아동의 영어 단어 재인 및 음운 인식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Online Book Reading Intervention with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on English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oor Reading Skill
Authors
최소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가 읽기 부진 아동 초등학교 저학년의 영어 단어 재인과 음운 인식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에 관한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어 초등학교 1, 2학년 읽기 부진 아동들을 위한 음운 인식을 활용한 책 읽기 중재를 계획하고 이를 토대로 음운 인식과 결합된 온라인 책 읽기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 초등학교 1, 2학년 읽기 부진 아동들을 위한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가 읽기 부진 아동의 영어 단어 재인 및 음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1, 2학년 읽기 부진 아동들을 위한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로 인하여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하고 향후 임상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 부진으로 선별된 아동 27명을 중재 집단 14명과 통제 집단 13명으로 구분하였다. 선별 검사로는 수용 어휘 및 표현 어휘(REVT), 비언어성 지능(KBIT-2), KOLRA 읽기 지수, 영어 수용 어휘 검사(PPVT 5th edition), DIBELS-8th의 하위 검사인 문자 이름대기(Letter Naming Fluency)를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평가로는 미국의 읽기 선별 표준화 검사인 DIBELS-8th와 음운 처리 검사 도구 CTOPP-2(Comprehensive Test of Phonological Processing-2nd Edition)를 이용하였다. 영어 단어 재인(음소 분절 읽기, 비단어 음소 읽기, 비단어 읽기, 단어 읽기)과 음운 인식(생략, 단어 합성, 소리 연결) 수행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14명의 중재 집단은 주 2회 6주간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통제 집단은 그 기간 내 중재에 참여하지 않았다. 중재 프로그램은 책 읽기와 음운 인식 활동을 결합하여 진행하였다. 도입, 본론, 마무리로 구성하였으며 도입에서는 알파벳 자소-음소 읽기 활동 및 이전 회기에 대한 복습을 진행하였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회기에서 다루게 될 목표 모음 및 단어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책 읽기와 함께 목표 단어가 들어간 음운 인식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어 게임 형태의 단어 재인 활동을 추가하였으며 아동이 음운 인식 활동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지 점검하였다. 모든 활동이 끝난 후 함께 읽기(Choral Reading)를 통해 전체적인 책 읽기를 실시하였다. 마무리 시간에는 책 읽기에 대한 간략한 질문으로 상호작용을 함과 동시에 음운 인식 활동을 간략하게 요약 및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6회, 12회기에서 리뷰를 통해 대상 아동들이 이전 회기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하고자 하였다. 회기가 끝날 때마다 부모님을 통해 과제를 송부하였으며 과제는 다음 회기가 진행되기 전까지 기한 내에 수행하도록 요청하였다. 음운 인식을 활용한 책 읽기 중재가 읽기 부진 아동의 영어 단어 재인과 음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DIBEL-8th 그리고 CTOPP-2 평가 도구를 활용해 중재 집단과 통제 집단의 중재 전후 점수를 삼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Mixed ANOVA), 이원분산분석(Two-way within ANOVA), 일원분산분석(One-way within ANOVA)를 통해 비교하였다. 즉, 두 집단 간 중재 전‧후 영어 단어 재인 및 음운인식 하위 검사를 비교하고 중재 집단 내의 중재 전후 각 하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단어 재인의 경우 삼차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는 음소 분절 읽기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집단은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를 통해 단어 재인의 모든 하위 검사인 음소 분절, 비단어 음소 읽기, 비단어 읽기 및 단어 읽기에서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여주었다. 음운 인식의 경우 집단에 따라 음운 인식의 중재 전 점수보다 중재 후 점수가 유의미하게 더 나은 결과를 얻었다. 음운 인식 하위 검사, 중재 전후 그리고 집단 간 삼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검사와 중재 전후 간 이차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재 집단은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를 통해 음운 인식의 모든 하위 검사인 생략, 단어 합성 및 소리 연결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여주었다. 종합해보자면, 음운 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책 읽기 중재를 통해 읽기 부진 아동의 영어 단어 재인 및 음운 인식 전반적인 수행력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 부진 아동을 위한 영어 단어 재인 및 음운 인식 향상을 위하여 고안되었다. 중재를 통해 읽기 부진 아동의 영어 단어 재인 및 음운 인식에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음운인식과 책 읽기를 통합한 중재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book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with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regarding of English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for first and second grad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oor Korean reading skills. All participants are native Korean speakers from public primary elementary school. Also all participants are reported not to have limits in their intelligence, sensory and motor abilitie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IQ, ag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and word decoding skills. In this study, 27 first and second graders with poor Korean reading skills from the primary schools in Korea a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a control group who does not participate in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a treatment group who is assigned to participate in the book reading with PAA(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group who participates in the BIP(book reading intervention with PAA) makes significantly better progress than the group who does not participate in BIP. In word recognition, The scores of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scored better than control group in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It clearly asserted to find the efficiency of book reading with PAA regarding of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sum,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s on all tasks in word recognition and subte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gram for this thesis can be a protocol for Korean English learners with poor reading skill in their efforts to increase the literacy achievements. In this study, 27 children with poor Korean reading skill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 treatment and a control group. An online book reading intervention with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was conducted with 4 aims as below. Firs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book reading and phonological interventions. It also has clinical implications that the book reading program with PAA was devis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oor reading skills. Second, several previous studies were referred to and modified in constructing the program. The researcher cited the intervention process of Tse & Nicholson(2014) for the flow of the overall program. It consists of a necessary vocabulary list which was specifically planned and modified from the previous studies(Blevins, 2017; Lindamood, 1998; Kang, 2017). Thir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ook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with PAA, DIBEL-8th for the word recognition and CTOPP-2 for the phonological awareness were used to evaluate the pre and post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sum up, the book reading intervention with PAA made participants to get better English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such as phoneme segmentation, word reading, non word reading and blending words. Fourth,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can be in balance with the book reading and combined with rather than the post reading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