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5 Download: 0

The Impact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on Early Literacy and Vocabulary Skills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Title
The Impact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on Early Literacy and Vocabulary Skills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Other Titles
가정 문해 환경이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초기 문해 능력과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위지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Keywords
Bilingualism, Home literacy environment, Early literac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Literacy skills, which are closely tied to language competence, play a pivotal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personal development, and successful social adaptation in the modern society. Children acquire these language abilities through both implicit and explicit means,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immersed. Among these skills, vocabulary and early literacy skills hold a fundamental position in literacy development as they directly impact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y are acquired through environmental stimuli (Kim, 2023). The acquisition of spelling patterns, which is vital for proficient writing, also occurs through implicit learning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Kemp & Treiman, 2023) Home literacy environment encompasses multiple factors, involving a range of home literacy practices. Formal literacy practices concentrate on the letters themselves, while informal practices focus on the content of words.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e practice of parent-child shared book reading, which allows for the simultaneous engagement in both formal and informal literacy practices and facilitates interactive experiences.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vocabulary and early literacy skills. However, despit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ome literacy environments for bilingual children, there remains limited knowledge about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within Korean-English bilingual families, where Korean serves as their heritage language and English is used as their dominant social language, and to assess the vocabulary and early literacy skills of these bilingual children. Furthermore, the research aimed to reveal the connections among the factors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early literacy and vocabulary skills, both in Korean and English, within each language and across languages. A total of 36 typic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t the age of 4 to 5, and their parents residing in Austral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al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measure the Korean and English home literacy environments, including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books, print and media exposure, formal and informal literacy practice. Video recordings of ten-minute sessions were taken during parent-child shared book reading, with parents reading one Korean book and one English book with their children. the analysi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included examining the text read ratio, Korean interactive utterance ratio, formal and informal literacy practices, and parental sensitivity, based on the parents’ utterances during the book reading sessions. Additionally, the study assessed the children’s early literacy skills, including phonological awareness (syllable and phoneme awareness), letter name knowledge, and orthographic knowledge in both Korean and English.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skills were also evaluated in Korean, English, and conceptually.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early literacy skills based on language and the language of the book. There was a disparity in the quantity of Korean books compared to English books, with a higher number of Korean books than English books, and parents engaged in formal literacy in English more frequently in Korean. Additionally, during book reading sessions, the Korean interactive utterance ratio was higher when reading Korean books compared to English books. Furthermore, children exhibited greater letter name knowledge in English than in Korean. In terms of correlations, positive within-language correlations were found for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factors measured by parental questionnaires. Similarly, positive cross-linguistic correlations were observed for formal and informal literacy practices. The correlation patterns between Korean book reading and English book reading were largely similar, except for the presence of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orean interactive utterance ratio and informal literacy practices specifically in English book reading. Children’s early literacy and vocabulary skills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s both within and across languages, with a few exceptions noted for English letter name knowledge and Korean vocabulary skills.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early literacy and vocabulary skills, positive cross-linguistic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in phoneme awareness. When it comes to vocabulary, this relationship was primarily language-specific, but the Korean home literacy environ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English vocabulary skills. Nevertheless, its correlation with conceptual vocabulary skills was mostly positive. The regression analyses, controlling for children’s age,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Korean early literacy skills were Korean formal literacy practice at home and parental sensitivity during Korean book reading. However, no significant predictors were found for English early literacy skills, despite including several factors in the model. Korean vocabulary skills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Korean print and media exposure, Korean interactive utterance ratio during Korean book reading, and parental sensitivity during English book reading. In contrast, English print and media exposure had a negative effect on Korean vocabulary skills. English vocabulary skills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English print and media exposure, the number of Korean books, while they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Korean print and media exposure, Korean interactive utterance ratio and parental sensitivity during English book reading. Finally, in conceptual vocabulary skills, the number of Korean books and English print and media exposure had positive impacts, whereas the number of English books and Korean formal literacy practice had negative effects. The comparis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s and children’s early literacy skills by language and the language of the book revealed that Korean literacy practices are predominantly conducted indirectly through books, while in the case of English, they are more explicit. Language transfer among early literacy skills across languages was observed, and cross-linguistic effects were found i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early literacy skills. However, the correl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subtractive bilingualism, where potentially Korean vocabulary development was compromised. The predictive models for children’s early literacy and vocabulary skills suggested that Korean formal literacy practice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arly literacy practice. Additionally, the effect of rich literacy environment appeared to be language-specific in terms of vocabulary, with more exposure to Korean exposure resulting in higher Korean vocabulary skills, and more exposure to English resulting in higher English vocabulary skills, which aligns with the time-on-task hypothesis (Rossell & Baker, 1986). Nonetheless, the availability of abundant literacy resources in the mother tongue, Korean, i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English and conceptual vocabulary developmen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 adequate home literacy environment in the mother tongue for bilingual families.;언어 능력 발달에 기반을 둔 문해력은 현대 사회에서 학업적 성취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 성공적인 사회 적응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아동은 주변을 둘러싼 환경 속에서 암묵적, 명시적으로 이러한 언어 능력을 습득해 나간다. 이 중, 어휘와 초기 문해 능력은 읽기 이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문해 발달의 토대가 되는데, 이들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된다(Kim, 2023). 성공적인 쓰기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철자 패턴에 대한 지식 발달 또한 주변 환경을 통한 암묵적 학습을 토대로 이루어진다(Kemp & Trieman, 2023). 가정 문해 환경은 다양한 가정 내 문해 활동을 포함한 다각적 요소를 지닌 특성이 있는데, 이는 크게 공식적 문해 활동과 비공식적 문해 활동으로 나뉜다. 공식적 문해 활동은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활동을 의미하며, 비공식적 문해 활동에서는 철자보다는 전체 맥락과 상호작용에 더 중점을 둔다. 부모-아동 상호작용적 책읽기는 공식적, 비공식적 문해 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책의 맥락이 상호작용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띈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가정 문해 환경과 아동의 어휘, 초기 문해 능력 간의 관계를 밝혀왔으나,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 단일언어 아동과 구별되는 가정 문해 환경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중언어 가정에서의 이러한 관계를 살핀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모국어이자 가정 언어로, 영어를 사회적 언어로 하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문해 환경과 이들의 어휘 및 초기 문해력을 살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및 영어 문해 환경, 한국어 및 영어 초기 문해력, 한국어, 영어, 및 개념 어휘(conceptual vocabulary) 사이의 언어 내, 언어 간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호주에 거주하는 4-5세 정상발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 36명과 이들의 부모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부모 설문지를 통해 전반적인 한국어 및 영어 문해 환경을 측정하였는데, 가정 내 소장 책의 개수, 인쇄물 및 미디어 노출, 공식적, 비공식적 문해 활동 등이 이에 포함되었다. 또한 10분 간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적 책읽기를 녹화하여 책읽기 중 관찰된 문해 활동의 양상을 관찰하였고, 책읽기 활동에는 한국어 책 한 권, 영어 책 한 권이 제공되었다. 이때, 부모의 발화를 바탕으로 읽은 텍스트 비율, 한국어 상호작용 발화 비율, 공식적 문해 활동, 비공식적 문해 활동, 부모 상호작용 민감도(parental sensitivity)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아동의 초기 문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음운 인식(음절, 음소 인식), 철자 이름 지식, 철자 인식 과제 등이 모두 한국어 및 영어로 실시되었고, 한국어, 영어, 및 개념에 대한 표현 및 수용 어휘 능력이 측정되었다. 언어 및 책의 언어에 따른 가정 문해 환경과 아동의 초기 문해 능력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참여자들은 한국어 책을 영어 책보다 더 많이 소장하고 있었고, 영어에 대한 공식적 문해 활동에 한국어보다 더 자주 참여하였다. 한국어 책을 읽을 때 부모의 한국어 상호작용 발화 비율은 영어 책을 읽을 때보다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아동은 철자 이름 지식에 있어 영어에서 한국어보다 더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상관 분석을 통해 부모 설문지로 측정된 가정 문해 환경 요소 간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언어 내 정적 상관 관계가 관찰되었다. 공식적, 비공식적 문해 활동에 있어서는 언어 간 정적 상관 관계 또한 나타났다. 한국어 책읽기와 영어 책읽기 간의 상관 관계 패턴은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영어 책을 읽을 때에만 한국어 상호작용 발화 비율과 비공식적 문해 활동 간의 정적 상관이 있었다. 아동의 초기 문해 능력과 어휘 능력은 전반적으로 언어 내, 언어 간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한국어 어휘 능력과 영어 철자 이름 지식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 문해 환경과 아동의 초기 문해 능력 간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음소 인식에서 언어 간 정적 상관이 관찰되었다. 가정 문해 환경과 어휘 능력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로 언어 내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한국어 가정 문해 환경이 영어 어휘 능력과 부적 상관을 띄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한국어 가정 문해 환경이 개념 어휘 능력에 있어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아동의 연령을 통제하고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어 초기 문해 능력을 예측하는 변수는 한국어 공식적 문해 활동과 한국어 책을 읽을 때의 부모 상호작용 민감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문해 능력을 예측하는 유의한 요인은 없었으나, 비공식적 문해 활동 관련 요인이 모델에 포함되었다. 한국어 어휘 능력은 한국어 인쇄물 및 미디어 노출, 한국어 책읽기에서 부모의 한국어 상호작용 발화 비율, 영어 책읽기에서 부모 상호작용 민감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영어 인쇄물 및 미디어 노출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영어 어휘 능력은 영어 인쇄물 및 미디어 노출, 소장 한국어 책의 개수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어 인쇄물 및 미디어 노출, 영어 책읽기에서의 부모의 한국어 상호작용 발화 비율 및 부모 상호작용 민감도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념 어휘 능력에 있어서는 소장 한국어 책의 개수, 영어 인쇄물 및 미디어 노출이 긍정적인 영향을, 소장 영어 책의 개수와 한국어 공식적 문해 활동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언어와 책의 언어에 따른 가정 문해 환경과 아동의 초기 문해 능력 비교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한국어 문해 활동은 대체로 책을 통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어의 경우 보다 명시적으로 문해 활동이 실시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동의 초기 문해력에 있어 언어 전이(language transfer)가 관찰되었으며, 가정 문해 환경과 초기 문해력에서 언어 간 상호작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상관 관계 분석 결과에서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이 한국어 어휘 발달이 희생될 가능성이 있는 감가적 이중언어(subtractive bilingualism)를 경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아동의 초기 문해 능력과 어휘 능력 예측 모델은 한국어 초기 문해 능력 발달에 한국어 공식적 문해 활동이 필수적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어휘 발달에 있어서는 풍부한 한국어 노출이 높은 한국어 능력을, 풍부한 영어 노출이 높은 영어 능력을 예측하는 언어 특정적인(language-specific) 양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과제지속시간 가설(time-on-task hypothesis; Rossell & Baker, 1986)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그럼에도, 모국어인 한국어의 풍부한 문해 자료의 가용성이 영어와 개념 어휘 발달에 있어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이는 영어권 국가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가정 내 적절한 한국어 문해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