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2 Download: 0

한국인의 식품 유래 비스페놀 A 섭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Title
한국인의 식품 유래 비스페놀 A 섭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Other Titles
Development of food-derived bisphenol A database in Korea
Authors
이윤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영주
Abstract
식품산업에서는 식품 및 음료의 캔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플라스틱의 내구성 및 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비스페놀 A (bisphenol A, BPA)를 사용한다. BPA는 이러한 식품 포장재로부터 식품으로 이행되어 섭취되며 감열지 영수증, 치과용 실란트 등의 식품 외 공산품이나 환경에서도 검출되지만 주요 노출 급원은 식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BPA에 대한 안전성 및 위해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어 왔고 최근 EFSA에서 BPA의 일일섭취한계량(Tolerable Daily Intake, TDI)를 기존 4 μg/kg bw/day에서 20,000배 낮추어 0.2 ng/kg bw/day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제적 기준 변화에 따른 국내 기준의 재평가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BPA의 주요 급원이 식품임을 감안한다면 BPA의 식품에 의한 섭취량 산출 데이터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는 대부분 단일 식품군만을 고려하였거나 해당 연구에서 진행한 일부 결과만을 가지고 평가를 진행했으며 이는 종합적인 섭취량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데이터셋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한국인이 하루에 섭취하는 BPA의 양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첫번째로 문헌자료 수집을 통해 식품군별 BPA 함량 데이터셋(BPA content dataset)을 생성하여 각 식품군별 BPA 함량의 평균을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데이터셋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수산가공품류의 캔에 들어있는 대형어류의 경우 14.129 ng/g이었고, 그 다음으로 즉석식품류의 캔에 담긴 수프가 12.582 ng/g이었다. 두번째로 질병관리청에서 매년 시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17-2021)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전체 모집단을 대표하는 결과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에서 조사된 모든 식품을 검토하여 앞서 생성한 데이터셋과 연계하기 위한 식품 섭취 데이터셋(food consumption dataset)을 구축하였다. 최종적으로 문헌조사로 생성한 BPA 함량 데이터셋과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구축한 식품 섭취 데이터셋을 연계하여 식품군별 비스페놀 A 함량 데이터베이스(database of food-derived bisphenol A consumption in Korea)를 구축하여 실제 한국인이 하루에 섭취하는 다양한 식품 섭취 양상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평균적인 한국의 BPA 섭취량을 693.6 ng/kg, 체중 당 섭취량을 12 ng/kg bw/day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이 식품을 통해 하루에 섭취하는 BPA의 양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했으며 식품군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 좀 더 구체적이고 정교한 식이노출평가를 가능케 하는 후속 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Bisphenol A (BPA) is ubiquitou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EDC) which is exposed to humans in various pathways such as oral diet, inhalation and dermal contact. Among these,diet-based intake route is considered as the major contributor in human BPA exposure. In food industry, BPA is used as monomer in production of polycarbonates and epoxy resins which are used in can protective linings and plastic containers. BPA can be migrated from package to food prior to human consumption. Controversy has continued over the safety and risk of BPA and recently, EFSA established tolerable daily intake (TDI) of BPA 0.2 ng/kg bw/day from temporary tolerable daily intake (tTDI) 4 µg/kg bw/day which is approximately 20,000 times lower. Korea domestic standards also has probability of ongoing changes due to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Considering BPA’s main source being food, it can be said that dietary BPA intake data is necessary. However, most of the studies conducted so far have only considered a single food group or made evaluation out of limited results of study, which highlights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consider the overall intake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two datasets and one database were construct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BPA consumed per day per person, especially in case of Korean. First, we tried to find out the average BPA content of each food group by creating a BPA content dataset through literature data collec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highest value was large fish in cans (processed seafood followed by soups in cans (ready-to-eat foods) which were 14.129 ng/g and 12.582 ng/g respectively. Second, 24 hour recall study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7-2021) conducted annually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to generate food consumption dataset. Upon constructing food consumption dataset, classification of responded food names in accordance with BPA content dataset constructed were done. Lastly, database of food-derived BPA consumption in Korea was calculated by estimating the mean intake as 693.6 ng/kg and mean TDI as 12 ng/kg bw/day. Conclusively, this study sought to comprehensively find out the amount of BPA Koreans consume per day through food, and settled the foundation for follow-up studies that enable more specific and sophisticated dietary exposure evaluation by generating datasets for each food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