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0 Download: 0

초등학교 담임교사 상담활동 경험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담임교사 상담활동 경험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ounsel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uthors
JIN, CHUN LAN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초등학교 담임교사, 상담활동, 현상학적 연구, 상담활동의 특징, 상담활동의 의미, 담임교사 상담활동 전문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nd determine their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the study was designed as phenomenological research that considers the unique essence of experiences in certain patterns observed among groups with shared experien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purposively selected, consisting of nine homeroom teachers. These teachers held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had direct or indirect counseling experience with lower, middle, and upper grade students. Based on the three-stage interview structure proposed by Seidman(2016), an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process proposed by Kim Young-cheon (2013). Meaning unit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were selected and encoded, and through repetitive reflection on theme extraction, 17 sub-themes and seven main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final 230 meaning units. In summar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uncovered by the counsel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go as follows. When a new semester begins, the research participants prioritize classroom management goals. Additionally, the process of classroom management lead to counseling activities which support the individual growth of students as members of the classroom. The research participants set classroom counseling goals through a "educational philosophy lens" and focused on ensuring stable classroom participation from all members throughout the process of running the classroom. These research participants are in a favorable position to closely perceive students' problems within the classroom management process. By creating counseling relationships when required in the classroom,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able to assist in solving student’s problems and prevent further issues from aris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the task of conceptualizing cases, in which they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 about students within the classroom context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situations of students. This is because the focus is on assessing whether the students are doing well in their classroom life, therefore all classroom students are included as subjects of case conceptualiz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case conceptualization skills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teachers' intuition in the classroom context and personal, unique formats of counseling tools were utilized. Through this process, information related to classroom life was gathered, and the collected student information was able to serve as evidence for the collaboration process with families and the specialized guidance counselor. The research participants focused more on counseling activities that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Additionally, since individual problems also affect other members of the classroom, the research participants always took into consideration both the individual students and the entire class, and counseling activities hel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alization of students. Research participants felt the need for preventive measures that manage seriou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self-harm, interference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infliction of harm to other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parents and the specialized guidance counselor. The counseling intervent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and group educational aspects. Counsel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individual can be categorized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approaches. The cognitive approach aimed to enhance students' decision-making skills by helping them gain self-awareness, understanding of others, and knowledge on appropriate behavioral alternatives. The emotional approach aimed to help students to form a positive self-concept within a safe relationship. This was accomplished through positive acceptance and respect. Since the language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not fully developed, the research participants utilized their own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to assist them. On the aspect of group educational activities, there were also strategies that connected counseling topics to the lessons and demonstrated desirable actions within the educational activity process. Through these approaches, they aimed to promote all students' development as "creative problems solvers" in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regarding the termina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indicated that the activities naturally came to an end when the academic year concluded. However, they acknowledged that counseling activities continued throughout the one-year duration of their role as the homeroom teacher.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students were still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ir problems persisted in various situations. Even when student issues were resolved, the participants felt the need for ongoing attention and management for preventive purposes. As the homeroom teachers,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ear the following meanings. Counseling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socializ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observed that through counseling activities, students formed positive emotional connections with the teacher, their peers, and the school, fostering a sense of class unity. Furthermore, by providing support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growing pains' in the process of growth, counseling activities play a crucial role in leading the classroom community harmoniously. Counseling activities also served as opportunities for the homeroom teacher to enhance their personal qualities and traits as a professional. Through counseling, the participants reaffirmed their existential purpose as a "meaningful person" to the students. They aime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as teachers who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lives through empathy, understanding, acceptance, and patience. Moreover, their perspectives transformed from trying to be an all-knowing teacher who bears the sole responsibility for the classroom, to fostering a collaborative classroom atmosphere with the studen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find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nseling activit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ake place within the classroom context and are based on the personal practical theories formed through the teach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eaching experience in the classroom management process.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ir personal aspects acts as a crucial factor in connecting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more so than their specialized knowledge and strategies in counseling. They develop their own expertise in counseling based on their personal practical theories as teachers within the classroom context. Such expertise in counseling by homeroom teachers should be respected and reevaluated from a new perspective an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classroom context and goes beyond a prescriptive view. Second, the counseling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s focuses on a part of classroom management that aims to maintain a harmonious classroom environment for all students, rather than solely addressing individual problems. The ability to conduct preventive counseling activities for all students in the classroom is both an advantage and a key characteristic of the homeroom teacher. In order to enhance such classroom counsel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for the school system t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the homeroom teacher and provide systematic support, thereby strengthening common preventive interventions. Third, the counseling activit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go beyond simply solving students' problems. They provide an opportunity for positive growth for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themselves in the classroom. Therefore, the counseling activities of the homeroom teacher require a shift in perception at a macro level, which clarifies the role of the counselor and the direc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to enhance and strengthen the counsel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counseling activities of homeroom teachers, there is a need for training that highlights professional competence in two aspects. This includes a philosophical aspec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hildren, as well as a moral aspect based on interaction with students. Second, the counseling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hibits different aspects compared to those of the specialized guidance counselor.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homeroom teacher in counseling is developed through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and teaching experience in the classroom context.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and recognize the teacher's personal practical theories in this aspec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search and support various tools, supplementary strategies, theoretical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activity strategies for counseling, taking into accoun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through diverse case studies. Third, the stage of elementary school requires an approach that focuses on both development and preventive aspects. Counseling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not only provide support through post-intervention measures but also move towards a direction of general and preventive support that assists homeroom teachers in their counseling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aning of support within the systems that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can utilize. Fourth, based on this study,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homeroom teachers in counseling within the classroom context. As a follow-up study, it is proposed to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classroom counseling activities based on the homeroom teachers' personal practical theories.;본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활동 경험에서 드러나는 고유한 특성을 살피고, 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험을 공유한 집단들이 보이는 일정한 패턴들에서 그 경험의 고유한 본질이 있다고 보는 현상학적 연구로 설계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초등학교 담임 경력 5년 이상인 교사들과 직·간접적으로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의 상담활동 경험이 있는 담임교사 9명을 목적적 표집을 통해 선정하였다. Seidman(2016)이 제시한 3단계 면담구조에 근거하여 심층 면담 질문지를 구성하였으며 1:1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김영천(2013)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과정 절차를 따라 처리하였다. 연구 주제와 관련된 의미 단위들을 선별하여 부호화하고, 주제추출의 반복적 성찰 과정을 통해 최종 230개의 의미 단위에서 17개 소주제와 7개 대주제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활동 양상에서 드러난 특징과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새 학기가 시작되면 연구참여자들은 학급경영 목표를 우선순위에 두고 학급 구성원으로서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돕는 상담활동은 학급경영과정에서 시작된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육철학 렌즈’로 학급 상담활동 목표를 세우고 있었으며 학급을 운영해 가는 과정에서 전체 구성원의 안정적 학급 참여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급 경영과정에서 학생들의 문제를 가장 가까이에서 인지하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학급에서 필요할 때마다 상담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해결을 돕고 예방할 수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급 맥락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정보들을 모아 학생의 상태나 상황을 파악하는 사례개념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학급 생활을 잘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학급 모든 학생이 사례개념화 대상에 포함된다. 연구참여자들의 사례개념화 기술은 학급 맥락에서 교사의 직감에 근거한 방법으로 실천되고 있었으며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의 상담활동 소도구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학급 생활 중심의 정보들을 얻을 수 있으며 수집된 학생들의 정보는 가정과 전문상담교사와의 협력 과정에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급에서 학생들의‘성장’을 지원하는 상담활동에 더 초점을 두고 있었다. 또한, 개인의 문제는 학급 다른 구성원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구참여자들은 학생 개인과 학급 전체 집단을 항상 함께 고려하고 있었으며 상담활동은 학생들의 사회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신의 신체에 상처를 입히거나 학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심각한 ‘정서·행동’의 문제는 더욱 악화하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조치가 필요함을 느꼈으며 그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학부모와 전문상담교사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연구참여자들의 상담활동 개입은 개인과 집단 교육활동 측면으로 나뉠 수 있다. 개인에 초점을 둔 상담활동은 인지적 접근과 정서적 접근으로 나뉠 수 있다. 인지적 접근은 학생들이 자기이해, 타인이해, 바람직한 행동방안을 알게 됨으로써 의사 결정 능력을 길러 주는 데 초점이 있었다. 정서적 접근은 학생들로 하여금 긍정적 수용과 존중을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관계 속에서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도록 돕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은 아직 언어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담 개입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자신만의 상담활동 보조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집단 교육활동의 측면에서 수업과 연결하여 교육활동 과정에 상담주제를 다루거나 바람직한 행동을 보여주는 전략도 있었다. 이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인지적·정서적·사회적 측면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사’가 되도록 촉진하고자 하였다. 상담활동 종결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은 학년이 마치면 자동으로 종결을 맞이하게 되지만 학급을 맡은 1년 동안은 상담활동이 지속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아직 발달과정에 있으므로 학생들의 문제가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되고, 문제가 해결될지라도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함을 느끼고 있었다. 담임교사로서 연구참여자들의 상담활동 경험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학생과 관련하여 상담활동은 학생들의 사회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연구참여자들은 상담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교사와 학급 또래관계, 학교에 긍정적 정서를 느끼는 학급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을 느꼈다. 또한, 성장 과정에서의 ‘성장통’을 온전히 극복하도록 도움으로써 학급 공동체를 화목으로 이끄는 의미가 있다. 상담활동은 담임교사로서 자신의 인격적 자질을 증진하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상담활동을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 자신의 존재론적 의미를 재확인하였고 공감, 이해, 수용, 인내 등의 노력을 통해 학생들의 삶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사로서의 소명에 충실히 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급에서 전지전능한 교사, 모든 것을 오로지 교사의 책임으로만 이끌어 가고자 했던 관점에서 학생들과 함께 협력적인 학급 분위기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관점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상담활동은 학급 맥락에서 이루어지며 학급경영 과정에서 교사 나름의 교육철학과 교직 경험을 통해 형성된 개인적 실제적 이론에 근거한다. 연구참여자들의 인격적 측면으로서의 전문성은 상담에 대한 전문지식과 전략보다 학급 학생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학급 맥락에서 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에 근거하여 자신의 상담활동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담임교사의 상담활동 전문성은 존중돼야 하며 그동안 처방적 관점에서 벗어나 학급 맥락을 고려한 새로운 관점과 방법으로 재조명 되어져야 한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상담활동은 개인의 문제해결 보다 학급경영의 일환으로 학급 전체 학생들의 원한만 학급 생활 유지에 초점을 둔다. 학급 모든 학생들 대상으로 예방적 차원의 상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담임교사의 장점이자 주요 특징이다. 이와 같은 학급 상담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 제도적 차원에서 담임교사의 책임을 분담하고 체계적 지원을 통해 보편적 예방적 개입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상담활동은 단순히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학급에서 학생과 교사 자신에게 긍정적 성장의 기회가 되므로 담임교사의 상담활동은 거시적 관점에서 상담자 자신의 역할과 상담활동 방향을 구체화하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론을 통해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활동을 활성화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담임교사의 상담활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아동 이해를 기반으로 한 철학적 측면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인성적 측면으로서의 전문성이 강조되는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활동 전문성은 학교 전문상담교사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담임교사의 상담활동 전문성은 교사의 교육철학과 교직의 경험을 통해 개발되므로 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 측면에서 격려되고 인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급이라는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상담활동 소도구, 상담활동 보조전략, 상담 이론적 개입, 교육활동 전략들이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연구되어 지원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교 시기는 성장과 예방적 측면으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의 상담은 사후 개입을 통한 지원뿐만 아니라 담임교사의 학급 상담활동을 지원하는 보편적이고 예방적 지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지원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를 토대로 학급 맥락에서의 담임교사 상담활동 전문성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담임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에 근거한 학급 상담활동 모형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