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2 Download: 0

코로나19 공교육 실태 분석 및 미래 교육 방향 모색

Title
코로나19 공교육 실태 분석 및 미래 교육 방향 모색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zing the state of public education COVID-19 and exploring the future of education : Focusing on learning platform design
Authors
홍지혜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소프트웨어교육전공
Keywords
코로나19, 공교육, 학력격차, 디지털격차, 학습 플랫폼, 융합수업, PBL, 미래교육, 교육데이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명국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public education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We conducted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by analyzing Seoul education data, collecting expert opinions, analyzing literature, and participating in government projects. The conten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parts as follows. First, we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 educational attainment gap has deepened since the pandemic. There have been concerns in the Korean education community about learning deficits and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fter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educational attainment gaps after the pandemic, focusing on education data from Seodaemun-gu, Seoul. Second, we developed an R&D-based learning platform system. Since remote learning was implemented in public education due to COVID-19, students have experienced learning by utilizing various platforms. In this process, the need for a learner-customized platform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analysis has emerged, and this study captures the process of designing a math learning platform through data analysis of youth interview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study, the researcher applied for and was selected for the I-Corps projec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n May 2022, and completed basic and advanced training courses under the I-Corps of the US NSF. By May 2023, the system structure of the mathematics conceptual system was designed through the analysis of oral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ees classified as youth, professionals, and parents. Third, we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the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determines how schools teach and what students learn. Therefore, we analyzed the revised curriculum, proposed policy directions, and presented teaching-learning guidelines for convergence classes. Through this, we hope to raise teachers' awareness of future education and change the public education scene.;본 연구는 공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미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시 교육데이터 분석, 전문가 의견 수집, 문헌 분석, 정부 사업 참여를 통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학력 격차가 심화되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계에서는 코로나-19 이후 학습 결손이나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부정적 영향이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서대문구 교육데이터를 중심으로 코로나 이후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 및 학력 격차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둘째, R&D 기반 학습 플랫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공교육에서 원격수업이 실시된 이후, 학생들은 각종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습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습자 맞춤형 플랫폼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인터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학 학습 플랫폼을 설계하는 과정을 담았다. 연구 수행 과정에서 연구자 본인은 2022년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이코어 사업에 지원하여 선정되었으며, 미국 NSF의 I-Corps에 따라 기초교육과 심화교육 과정을 이수하였다. 2023년 5월까지 청소년, 전문가, 학부모 그룹으로 분류한 인터뷰 대상자로부터 수집한 구술 인터뷰 자료 분석을 통해 수학 개념 체계에 관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래 교육 방향을 모색하였다.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 수업 방식과 학생들의 학습 내용이 결정된다. 이에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 융합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환기하고 공교육 현장의 변화를 꾀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소프트웨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