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1 Download: 0

치매 환자의 재가 돌봄을 끝낸 배우자의 자기탐색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치매 환자의 재가 돌봄을 끝낸 배우자의 자기탐색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rt Therapy with a Spouse who Concluded In-home Care for a Partner with Dementia: A Qualitative Case Study
Authors
임지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 환자의 재가 돌봄을 끝낸 배우자를 대상으로 자기탐색을 위한 미술 치료를 진행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는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구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67 세 남성으로 2014 년 치매를 진단받은 배우자를 지난 9 년간 가정에서 돌보았으며, 2023 년 1월에 배우자는 요양원에 입원하게 되면서, 연구 참여자 또한 새로운 과도기를 맞이하는 시기에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3월 7일부터 시작하여 2023 년 4월 20일까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평균 주 1회씩 90분간 총 10 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와의 전체 미술치료 회기 녹음을 전사 한 축어록, 미술작업 및 작품사진자료, 연구자의 관찰일지, 사전 및 사후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심층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치매 환자의 재가 돌봄을 끝낸 배우자의 자기탐색을 위한 미술 치료에서의 경험과 의미는 6 개의 상위 주제와 16 개의 하위 주제로 분류되었다. 분석 된 경험의 상위 범주는 <미술작업을 통해 지나온 세월을 돌아봄>, <치매 환자를 돌보 면서 느끼는 고립감을 표현함>, <나의 가족 그리고 삶의 균형을 돌아봄>, <주 돌봄을 끝내고 난 뒤에도 편치 못한 마음을 표현함>, <주 돌봄자가 아닌 ‘나’를 바라보게 되는 경험을 함>, <미술작업을 통해 내 안의 지혜를 발견함> 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의 재가 돌봄을 끝낸 배우자의 자기탐색 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치매 환자 주 돌봄자 경험을 통해 경험했던 스트레스, 화, 아픔, 단절감과 같은 감정들을 미술작품을 통해 표현해내고, 돌봄 기간 동안의 경험을 재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경험이 부정적이지만은 않다는 것을 새롭게 인식하고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활동을 접목한 회상작업을 통해 지나온 삶을 정리해보며 주변 관계에 대한 통찰을 얻고, 그 과정에서 미처 몰랐던 자신의 표현능력을 발견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의 삶의 긍정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계기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돌봄 경험에서 치매 환자 돌봄 가족의 특수성으로 인해 고립 감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고립감을 해결할 수 있는 중재 프로 그램이 필요하고, 치매 환자 가족들이 겪는 특수성을 교류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장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재가 치매 환자의 주 돌봄을 끝내고 장기요양보호시설에 입소 하게 되는 돌봄 전환과정에서 시설 돌봄 종사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겪는 어려움이 존재하며, 변화한 돌봄 역할에 대한 적응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참여자는 67 세로 치과의사라는 본인의 직업을 함께 병행하고 있으며, 치매 환자인 배우자가 조기발현 치매라는 점과 보편적인 노년기퇴직 시기가 유연 하게 적용 가능한 전문직을 가진 연구 참여자를 고려할 때, 일반적인 사례로 보기 어려운 특수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고, 노년 후기의 치매 환자 돌봄 가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후속 연구가 더 축적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총 10 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사례 연구로, 치매 환자의 재가 돌봄을 끝낸 배우자의 노년기 자기탐색 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다른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art therapy for self-exploration for a spouse who has concluded in-home care for a dementia patient.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was a 67-year-old male dentist who had been providing in-home care for his spouse diagnosed with dementia since 2014. Following the admission of his spouse to a nursing home in January 2023, the participant engaged in the study. The art 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ten sessions, took place from March 7th to April 20th, 2023, with sessions occurring once a week and lasting 90 minutes each. Data collection methods encompassed the transcription of art therapy sessions, documentation of the participant's artwork through photographs,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pre- and post-interviews, and in-depth analysis. Thematic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yielded six overarching themes and seventeen sub- themes, which served to categoriz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associated with art therapy for self-exploration among spouses who have concluded in-home care for a dementia patient. These identified themes were as follows: , , , , , and . Drawing upon the research findings, several conclusions can be inferred regarding the experiences of self-exploration through art therapy among spouses who have concluded in- home care for a dementia patient: Firstly, the participant demonstrated the ability to convey emotions such as stress, anger, pain, and disconnection through artwork, thereby obtaining an opportunity to reframe their caregiving experience and acknowledge that caring for a dementia patient encompass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Secondly, art activities incorporating reminiscence work enabled the participant to reflect on their past life, gain insights into their relationships, unearth previously unrecognized expressive abilities, and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Thirdly, the participant's caregiving experience accentuated the sense of isolation arising from the distinct nature of caregiving for a dementia patient. As a result,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 programs addressing this isol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platforms for mutual exchange, shared experiences,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 among 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became evident. Lastly, the transition from in-home caregiving to the placement of the dementia patient in a long-term care facility presented challenges in terms of adjusting to altered caregiving roles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the facility's staff. This transition phase also underscored the need for adaptability. Several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study should be acknowledged. These include the participant's professional occupation as a dentist and the unique circumstances surrounding an early-onset dementia patient. Consequently, generalizing the research findings becomes intricate,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research to comprehend the experiences of families providing late-stage dementia care. Furthermore, due to the utilization of a qualitative case study design encompassing only ten art therapy sessions, the depth of understanding regarding the self-exploration process for spouses who have concluded in-home care for a dementia patient is constrained. Thus, employing diver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future art therapy studies is advised to augment the breadth and depth of knowledge in this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