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5 Download: 0

ADHD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경향성에 대한 자기 조절력 향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ADHD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경향성에 대한 자기 조절력 향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Enhancing Self-Regulation in Adolescent with ADHD and Smartphone Dependency Tendency
Authors
김지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ADHD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경향에 대한 자기조절 향상 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학령기 무렵 ADHD를 진단받았으며 중학교 입학 이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 경향을 보이는 만 14살 중학교 2학년 여아의 사례로 2023년 3월 10일부터 4월 11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ADHD 청소년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로 스마트폰이 필수품이 된 현대사회에서 스마트폰 활용에 긍정적 경험과 자기조절의 자원을 획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은 참여자가 삶 속에서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되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이미지로 촬영된 미술작품과 임상 일지, 축어록, 연구 참여자 어머니와의 심층 면담 자료, 치료사의 고찰을 임상 일지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초기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단계로 자료의 범주를 발견하고 특성을 이해해 발견된 핵심 경험과 유사한 속성을 반복적으로 분류해나가며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활용의 자기조절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나타난 참여자의 경험과 의미는 <아직은 쉽지않지만, 천천히 마주하는 내 마음>, <미술 활동을 통해 내면에 존재하던 나의 욕구를 알아차림>, <미술은 대체 활동의 동기를 가져다주며 자기조절을 경험하게 해주었음>, <꿈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 방법에 자기조절 의지와 희망을 꿈꾸게 됨>의 4개의 상위 범주와 9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ADHD를 진단받은 청소년이 스마트폰 의존 경향으로부터 자기조절 향상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작품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자기 삶을 통제할 수 있는 자원을 얻었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 작업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와 부정적 경험을 수용해보며 실천 방안과 욕구를 조절해나가는 자신만의 기준을 얻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을 스마트폰의 대안 활동으로 활용함으로써, 미술 활동에 대한 참여 의지가 고취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힘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조합해 볼 때 스마트폰 과의존에 잠재적 위험군에 해당하는 ADHD 청소년이 자기조절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부정적 상황을 인식하고 불편한 감정들을 안전하게 표출하였다. 이에 스마트폰 사용의 욕구와 마주하고 이를 충족하고 보상할 다른 대안을 발견해 의존 경향에 대응할 기준으로 자기조절에 대한 의지와 긍정적 자원을 얻었다. 이러한 치료적 경험을 통해 참여자는 미술치료가 활동 그 자체만으로 스마트폰 의존의 대체 활동이 되어줌으로써 앞으로의 스마트폰 생활에 유연하게 적응하고, 이미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된 스마트폰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경험과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s experienced from improving self-regulation through art therapy in an adolescent with ADHD and smartphone dependency tendency.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was a 14-year-old girl in her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She was diagnosed with ADHD during her elementary school years and exhibited a risk tendency for smartphone dependence upon entering middle school. The case was proceeded from March 10th to April 11th 2023 and art therapy was operated 2 times a week, each one for 60 minutes and 10 times for total. The purpose of art therapy for self-regulation improvement in an ADHD adolescent was to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positive experiences that enable flexible adaptation and appropriate use of smartphones, which have become essential in modern socie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recorded files of art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er’s journals, images of the art works, fil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her mother. All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 and her mother. The repeatabl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of an adolescent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it.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initial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o identify categories and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Similar attributes were repeatedly classified under the identified core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As a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four categories and nine sub-catagories were derived. The four categories of art therapy experience were , , ,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regarding the experiences of an adolescent with ADHD and smartphone dependency tendency in the art therapy process for Self-Regul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gained resources to control her own lives by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in her own unique ways. Second, the participant gained her own standards for controlling her practices and desires by accepting her limitation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 art-making process. Third, by utilizing art as an alternative activity to smartphones, the participant not only experienced an increased willingness to engage in art activities but also gained the ability to positively utilize smartphones. Synthetically, the adolescent was able to perceive art in art therapy as a viable alternative activity to smartphone dependency. This allowed the participant to adapt flexibly to future smartphone use and acquire experiences in using smartphones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m as an integral part of her daily lives. The adolescent also obtained self-regulation resources related to smartphone utilization, enabling them to navigate her smartphone usage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