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1 Download: 0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비판적 읽기 활동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Title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비판적 읽기 활동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uthors
정경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Keywords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분석, 비판적 읽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비판적 읽기 텍스트와 비판적 읽기 활동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업 수행에 기여하는 데 있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읽기는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 기술이자, 동시에 어렵다고 느끼는 언어 기술이므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읽기 텍스트와 읽기 활동이 필수적이다. 학문 목적 학습자는 과제와 논문을 비롯해 수많은 텍스트를 읽어야 하는 학문 상황에 놓여있다. 다양한 학문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일상적 읽기가 아닌 학문 목적 읽기가 요구된다. 텍스트에 드러난 정보를 학습하는 것에 더 나아가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면서 새로운 연구물을 창출하는 데까지 이르러야 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읽기는 기본적인 사실적 읽기에서 시작해 추론적 읽기, 비판적 읽기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비판적 읽기는 사실적 이해를 넘어서는 비판적 이해로 나아가는 것으로써, 텍스트에 드러난 내용뿐만 아니라 텍스트에 감추어진 글쓴이의 의도나 텍스트의 가치 등을 끄집어내어 판단하고 평가하는 읽기이다. 텍스트를 다각도로 바라보면서 비판적으로 읽는 것은 단 한번에 수행될 수 없다. ‘사실적 읽기-추론적 읽기-비판적 읽기’로 이어지며 사실적 읽기는 추론적 읽기의 바탕이 되고, 사실적 읽기와 추론적 읽기는 비판적 읽기의 밑거름이 된다. 모든 읽기 활동은 중요하지만 어느 한 읽기 활동에 치중된다면 궁극적으로 비판적 읽기로 나아갈 수 없다. 또한 양질의 비판적 읽기 텍스트와 비판적 읽기 활동이 없다면 학문 목적 읽기가 성공적으로 달성되기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가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문적 읽기를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을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최근 출간 교재를 선정하여 비판적 읽기 텍스트의 종류와 ‘사실적 읽기 활동-추론적 읽기 활동-비판적 읽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최근 출간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학문적 읽기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비판적 읽기 활동이 부족함을 밝히고 있었다. 그러나 ‘사실적 읽기-추론적 읽기-비판적 읽기’로 이어지는 학문적 읽기 활동을 분석한 연구가 적었고, 대다수의 연구가 비판적 읽기 활동의 바탕이 되고 근간이 되는 사실적 읽기 활동과 추론적 읽기 활동의 중요성은 간과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텍스트 유형에 초점을 두고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어 비판적 읽기 텍스트 종류를 좀 더 세분화하여 들여다볼 필요성이 있었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읽기 교육을 위한 읽기 활동과 텍스트, 비판적 읽기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공되어야 할 비판적 읽기 텍스트의 종류와 읽기 단계별 ‘사실적 읽기 활동-추론적 읽기 활동-비판적 읽기 활동’을 들여다보고 교재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분석 기준과 분석 방법을 세웠다. 학문 목적 읽기 교재 5종, 총 9권을 대상으로 비판적 읽기 텍스트의 비율과 종류, ‘사실적 읽기 활동-추론적 읽기 활동-비판적 읽기 활동’의 비율, 비판적 읽기 활동의 다양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비판적 읽기를 위한 텍스트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았다. 또 사실적 읽기 활동은 과도하게 많은 반면 비판적 읽기 활동은 미미한 수에 그쳤으며 비판적 읽기 활동이 다양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비판적 읽기 텍스트를 다양화하고 비판적 읽기 활동의 비율을 높임과 동시에 다양화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비판적 읽기 텍스트 구성방안과 비판적 읽기 활동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비판적 읽기 텍스트의 경우, 텍스트 종류를 세분화하여 다양하게 제시할 것과, 학습자가 텍스트를 여러 관점으로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담은 텍스트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피처 기사(feature article) 하나를 인용 및 재구성하여 비판적 읽기 텍스트의 적극적인 예를 보였다. 둘째, 비판적 읽기 활동의 경우, 추론적 읽기 활동과 비판적 읽기 활동을 연계할 것과, 비판적 읽기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비판적 읽기 활동을 단계적으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읽기 활동 개선 방안을 분석 대상 교재에 직접 적용하여 적극적인 예시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의 부족한 비판적 읽기 텍스트와 읽기 활동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문적 읽기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두 명의 평정자를 두어 교재 분석 기준의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선 방안을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지 못한 점은 한계점으로 남는다. 그러나 비판적 읽기 텍스트의 예시와 비판적 읽기 활동을 교재에 적용한 실례를 보임으로써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적극적인 개선 방안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어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읽기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academic performance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y suggesting ways to improve critical reading texts an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reading materials for academic purposes. Reading is the most frequently used language skill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ut it is also perceived as challenging. Therefore, reading texts and reading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re essential.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find themselves in academic situations where they need to read a variety of texts, including assignments and papers. In order to prepare for diverse academic situations,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is required rather than everyday reading.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a text, the learners have to critically analyze and evaluate the text, ultimately leading to the creation of new research.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needs to start with basic factual reading, progress to inferential reading, and then to critical reading. Critical reading goes beyond factual understanding to critical understanding. It is a reading that brings out, judges, and evaluates not only the content revealed in a text but also the intention of the writer hidden in the text or the value of the text. Reading a text critically while looking at it from multiple angles cannot be done all at once. It leads to 'factual reading - inferential reading - critical reading', where factual reading provides the basis for inferential reading and factual reading and inferential reading serve as the foundation for critical reading. While all reading activities are important, if one reading activity is emphasized to the exclusion of others, it will ultimately hinder progress toward critical reading. In addition, without high-quality critical reading texts an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t is difficult to read successfully for academic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whether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re designed for learners' successful academic reading and, if not, in what direction they can be improved. First, recently published textbooks from university-affiliated Korean language institutes were selected, and the kinds of critical reading texts and 'factual reading activities - inferential reading activities -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recently published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tate of academic reading education and proposing improvement measures. In Chapter 1,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Previous studies consistently pointed out the lack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However, few studies have analyzed academic reading activities that lead to 'factual reading - inferential reading - critical reading', and most studies have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factual reading activities and inferential reading activities, which are the basis and foundation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Furthermore, since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 on types of texts and analyze them, there was a need to look into the kinds of critical reading texts in more detail. Chapter 2 examin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activities, texts, and critical reading to teach reading to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kinds of critical reading texts to be provided to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factual reading activities - inferential reading activities - critical reading activities’ at each stage of reading were reviewed, an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nalysis of textbooks was prepared. In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established in Chapter 2, the analysis criteria and methods were established. The ratio and kinds of critical reading texts, the ratio of 'factual reading activities - inferential reading activities - critical reading activities’, and the diversity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a total of 9 books of 5 types of read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ed a lack of diversity in the kinds of critical reading texts. Moreover, while factual reading activities were overly abundant,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insignificant, an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not presented in various ways. It turns out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critical reading texts, increase the ratio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and diversify them at the same time.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from Chapter 3, improvement measures for critical reading texts an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First, regarding texts for critical reading, it was proposed to diversify the kinds of texts and present them in various ways and to provide texts encompassing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various perspectives so that learners can judge and evaluate texts from multiple angles. A positive example of a text for critical reading was shown by citing and reconstructing one feature article. Second, for critical reading activities, it was recommended to integrate inferential reading activities with critical reading activities and to present critical reading activities gradually, step by step, as necessary steps to reach critical reading. A proactive example was demonstrated by directly applying the measures for improving critical reading activities to the textboo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osely examines the shortcomings of critical reading texts and read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for successful academic reading.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textbook analysis criteria were enhanced by having two evaluators. The fact that the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were not applied in actual classroom settings remains a limitation. However, the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by providing examples of critical reading texts and activities incorporated into the textbook. It is hoped that the proactive improvement measures of this study will be reflected i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in the future, thus contributing to teaching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