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이정자-
dc.creator이정자-
dc.date.accessioned2023-08-23T16:31:38Z-
dc.date.available2023-08-23T16:31:38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OAK-00000020572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0572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579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및 교수효능감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확보된 최종 113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SPSS 28.0 프로그램과 SPSS Macro 3.4를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검정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환경 중에서 직무자체(=.425, p<.001), 인간관계(=.125, p<.05), 기관관계(=.253, p<.001), 사회적 인식(=.236, p<.001)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무환경․지원체계를 제외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로서 재직하는 동안의 직무자체, 인간관계, 기관관계, 사회적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자체, 인간관계, 기관관계, 사회적 인식이 높아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상대적 영향력은 직무자체, 기관관계, 사회적 인식, 인간관계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로부터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 중에서 직무자체 요인이 가장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565, p<.001)은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수효능감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환경 중에서 직무자체, 근무환경․지원체계, 사회적 인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인간관계(=.191, p<.05), 기관관계(=.314, p<.01) 요인은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로서 재직하는 동안의 인간관계, 그리고 기관과의 관계가 원만할수록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타 동료 교사 및 학생들 간의 인간관계, 그리고 기관관계가 원만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상대적 영향력은 기관관계, 인간관계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로부터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 중에서 기관과의 관계가 가장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직무환경 중 근무환경․지원체계, 인간관계는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나머지 직무환경 요인인 직무자체, 기관관계, 사회적 인식은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은 직무자체, 인간관계, 기관관계, 사회적 인식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가운데 직무자체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은 인간관계, 기관관계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가운데 기관과의 관계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and SPSS Macro 3.4 based on the survey data obtained from 113 final responden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the job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among the job environmen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job itself (β=.425,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125, p<.05), institutional relationships (β=.253, p<.001), and social recognition (β=.236,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job it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stituti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meaning that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ese factors need to be high. Meanwhile, in this study, the relative influence was shown in the order of job itself, institutional relationships, social recogni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rom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itself factor is most important in the job environmen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Secondly,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on teaching efficacy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β=.565, p<.001)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eaching efficacy.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the higher the teaching efficacy, and to increase the teach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job satisfaction should be prioritized. Thirdly,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the job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on teaching efficacy showed that among the job environment factors, the job itsel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and social recogni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Howe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191, p<.05) and institutional relationships (β=.314, p<.01)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ing 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moot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he institution while working as a Korean language teacher in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the higher the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efficacy, th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 need to be smooth. In this study, the relative influence appeared in the order of institutional relationship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irming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 is most important in the job environment to improve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Fourthly,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impact of the job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on teaching efficacy, among the job environment factor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ing efficacy through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remaining job environment factors including job itself, instituti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eaching efficacy through job satisfaction. From these main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are the job it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stituti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recognition, among which the job itself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affects teaching efficacy, and the job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teaching efficacy 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stitutional relationships, among which the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6 C. 연구문제 9 Ⅱ. 이론적 배경 10 A. 사회통합프로그램 10 1. 사회통합프로그램 개념 10 2.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 현황 11 3.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육과정 12 4.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자격과 직무 15 B. 직무환경 개념과 영향 요인 16 1. 직무환경의 개념 16 2. 직무환경의 영향 요인 18 C. 직무만족과 교수효능감의 개념과 영향 요인 20 1. 직무만족의 개념 20 2. 직무만족의 영향 요인 22 3. 교수효능감의 개념 23 4. 교수효능감의 영향 요인 25 Ⅲ. 연구 방법 27 A. 조사대상 및 방법 27 B. 연구모형 및 가설 27 1. 연구모형 27 2. 연구가설 28 C. 측정도구 30 D. 분석방법 31 Ⅳ. 연구결과 33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33 B.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40 1. 직무환경 측정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41 2. 직무만족 측정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43 3. 교수효능감 측정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44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의 직무환경, 직무 만족, 교수효능감 차이 검정 45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환경 차이 45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과 교수효능감 차이 48 D.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51 1. 기술통계 51 2. 상관분석 52 E. 연구가설의 검정 53 Ⅴ. 결론 및 제언 62 A. 연구의 요약 및 결론 62 B. 시사점 및 제언 64 참고 문헌 67 부록 1. 직무환경 설문지 73 부록 2. 직무만족 설문지 75 부록 3. 교수효능감 설문지 76 부록 4. 일반적 특성 설문지 77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71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어 교사, 사회통합프로그램, 직무환경, 직무만족, 교수효능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 교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Job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dc.creator.othernameLee, Jeong Ja-
dc.format.pageix,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