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9 Download: 0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및 임신 결과 비교

Title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및 임신 결과 비교
Other Titles
The Comparison between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Pregnancy Outcomes According to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Authors
김미소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Keywords
임산부, 산모,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임신 결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 정도를 파악하고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및 임신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진행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2년 11월 25일부터 2023년 2월 13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 분만을 위해 입원한 재태기간 37주~42주 초산모 총 103명이 대상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산과적 특성, 임신영양지식, 식습관을 조사하고 병원 의무기록을 통해 임신 결과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산모의 신장(m)과 임신 직전 체중(kg)으로 임신 전 체질량지수(kg/㎡)를 산출한 후 IOTF 기준에 근거하여 저체중군(<18.5), 정상체중군(18.5≤BMI<23), 과체중군(23.0≤BMI<25), 비만군(≥25.0)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임신 중 체중증가는 IOM 기준에 근거하여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라서 저증가군, 적정증가군, 초과증가군으로 분류하였다. 저증가군은 저체중군 12.5kg 미만, 정상체중군 11.5kg 미만, 과체중군 7kg 미만, 비만군 5kg 미만 체중이 증가한 경우, 적정증가군은 저체중군 12.5~18kg, 정상체중군 11.5~16kg, 과체중군 7~11.5kg, 비만군 5~9kg 체중이 증가한 경우, 초과증가군은 저체중군 18kg 이상, 정상체중군 16kg 이상, 과체중군 11.5kg 이상, 비만군 9kg 이상 체중이 증가한 경우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산모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주요 특성들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hoc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인 산모는 총 103명으로 연령은 평균 33.62±3.95세이고, 최종학력은 대졸이 68.0%로 가장 많았다. 직업이 있는 대상자가 68.9%였고, 월평균 소득은 36.9%가 500~7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산 횟수 0회 82.5%로 대상자의 대부분이 유산력 없이 처음 임신한 임산부였다. 산모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정상체중군이 63.1%로 가장 많았고, 임신 중 체중증가는 적정증가군이 38.8%로 가장 많았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저체중군인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는 저증가군이 가장 많았고, 정상체중군인 경우 적정증가군이 가장 많았다. 과체중군인 경우는 저증가군이 가장 많았으며, 비만군인 경우 초과증가군이 가장 많았다. 신생아의 제태연령은 평균 271.87±5.78일이고, 출생체중은 평균 3215.74±403.35gm이었다. 부당경량아(SGA) 미해당인 경우는 91.3%, 부당중량아(LGA) 미해당인 경우는 86.4%,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은 하지 않은 경우가 81.6%였다. 2.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영양지식을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879, p=.040). 식습관 점수가 정상체중군에서 가장 높았고 저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 순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446, p=.036). 식습관 점수가 적정증가군에서 가장 높았고 저증가군, 초과증가군 순으로 나타났다. 4.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임신 결과의 비교에서 수축기 혈압(F=4.939, p=.003), 이완기 혈압(F=5.588, p=.001), 임신성 당뇨(=11.951, p=.008), 부당중량아(LGA)(=9.145, p=.027), 출생 체중(F=2.824, p=.043)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모의 수축기·이완기 혈압, 신생아 출생체중은 비만군에서 가장 높고 과체중군, 정상체중군, 저체중군 순으로 나타났다. 임신성 당뇨가 있는 경우는 과체중군에서 가장 많았고 비만군, 저체중군·정상체중군 순으로 나타났다. 부당중량아(LGA)에 해당하는 경우는 정상체중군에서 가장 많았고 비만군, 과체중군, 저체중군 순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른 임신 결과의 비교에서 신생아 출생체중(F=4.201, p=.018)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생아 출생체중은 초과증가군에서 가장 높고 적정증가군, 저증가군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산부의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에 따라 식습관 및 임신 결과의 차이가 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임신 결과 변수는 수축기·이완기 혈압, 임신성 당뇨, 부당중량아(LGA), 출생 체중이었다. 따라서 간호사는 산모와 신생아의 임신 결과 향상을 위해 가임여성, 임산부의 체중 및 식습관 관리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This research study, which subject is pregnant women, was conducted to identify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and to compare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pregnancy outcomes. The study subjects were pregnant women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characteristics,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s; the pregnancy outcom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edical records of the hospital.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as broken down into underweight, normalweight, overweight, and obese groups grounding on IOTF. In addition, gestational weight gain was classified into under weight gain, recommended weight gain, and over weight gain group per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grounding on the IOM standard. Employing the SPSS WIN 25.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regnant women, who are the study subjects, was 103; the mean age was 33.62±3.95 years;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completed was bachelor’s degree, which accounted for 68.0%. 68.9% were employed; the most common average monthly income was 5 to 7 million won, accounting for 36.9%; the most common number of miscarriage experience was zero, which accounted for 82.5%. Regarding the pregnant women's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63.1%, which is most, fell under the normalweight group; regarding the gestational weight gain, most fell under the recommended weight gain group, which accounted for 38.8%. The mean gestational age of the newborns was 271.87±5.78 days and the mean birth weight was 3215.74±403.35 gm. 91.3% was not classified as SGA; 86.4% was not classified as LGA; 81.6% of the babies were not hospitaliz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2.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per the gestational weight gai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eating habits per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2.879, p=.040.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eating habits per gestational weight gai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3.446, p=.036. 4.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gnancy outcomes per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following: systolic blood pressure (F=4.939, p=.003), diastolic blood pressure (F=5.588, p=.001), gestational diabetes (=11.951, p=.008), LGA (=9.145, p=.027), and birth weight (F=2.824, p=.043).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gnancy outcomes per the gestational weight gai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onatal birth weight (F=4.201, p=.018). Putting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ogether, pregnant women's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led to the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and pregnancy outcome; the variables pertinent to pregnancy outcom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he follow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gestational diabetes, LGA, and birth weight. In this vein, nurses should provide interventions to strengthen the weight and eating habits management skills of women of childbearing potential and pregnant women to improve pregnancy outcomes of pregnant women and newborn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