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 Download: 0

사회적경제 참여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Title
사회적경제 참여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 Focusing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Sense of Community, and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uthors
박윤세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Keywords
시민 참여, 사회적경제 참여, 사회적경제 인식,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In modern society, we often refer to the collapse of social capital and the dissolution of the community as one of the crises we face. However, civic engagement is rather increasing. This study started with two questions: Does this social phenomenon include something that can amplify the role of social values, beyond social capital or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understood as factors that affect civic engagement? Can it be explained by a new form of civic engagement? The Social Economy has attracted growing interest as one of the citizen-centered social problem-solving mechanism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itizens' perceptions and behaviors in micro-daily life because Social Economy exists as a cultural practice that emphasizes social values and solidarity such as community and cooperation rather than economic values. However, prior literature has exclusively discussed organization-focused perspectives, especially with social enterprise, both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capital,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of Seoul citizens. It was conducted with an exploratory process of repeating theoretical and statistical verification with sequentiality in exploring the final model.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is the center of discussion in the current study, which is a new form of participation that emerged recently with a new pattern of citizens' social participation behavior.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whether individual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income, education level, etc.), social capital,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affect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Research Question 1). In this proces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context variable in explaining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and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social capital,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was identified through statistical and theoretical verification (Research Question 2). By applying the derived conceptual model,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capital,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on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were examined(Research Question 3). The sample was derived from Research on Measuring Public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in Seoul City (2020). SPSS 25.0, AMOS 26.0, and Hayes' PROCESS macro 4.0 programs were utilized to perform analys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increased with higher social capital and a sense of community. Also, social capital,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were factors that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Lastly, the direct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a sense of community on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was changed to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overall, organizational. and current perception fully or partially mediated each path, but in the case of future expect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provide a clue to the questions about civic engagement and ha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ocial economy. In other words, citizens’ perceptions of a new civic-centered social problem-solving mechanism of the social economy suggest the possibility of bringing important changes in improving the atypic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ngagement. This study recognizes the virtuous cycl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but does not claim that perception necessarily precedes participation. However,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itizens' perceptions which become an essential factor for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to be an advanced form of engag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process and example in that there are not enough prior studies to explain social economy participation.;현대사회의 사회적자본 붕괴, 공동체의 해체는 우리가 맞이하는 또 하나의 위기로 거론되곤 한다. 반면, 시민의 사회참여는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대하여, 전통적으로 시민의 사회적인 참여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이해되던 사회자본이나 공동체의식 너머에, 혹은 이러한 사회적 가치의 역할을 증폭시켜줄 수 있는 무언가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새로운 형태의 시민 참여로 설명되지는 않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며 시작되었다. 사회적경제는 시민 중심의 사회문제 해결 기제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경제적 가치보다 공동체, 협력 등 사회적인 삶의 가치를 중시하는 하나의 문화적 실천 행위이자, 개인들 간 연대의 정신을 강조하는 가치관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시적 일상생활에서 시민들의 인식과 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사회적경제 생태계는 정책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조직 중심, 특히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의 사회적 참여 행동의 양상이 변화하고 있는 현상에 대하여 새로운 참여 형태로서 사회적경제 참여를 논의의 중심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서울시민들의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 사회적경제 인식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및 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설명하기 위한 최종 모형을 탐색해가는 과정에서 순차성(sequentiality)을 가지고 이론적, 통계적 검증을 반복해나가는 탐색적인(exploratory)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세 개의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사회적경제 참여 영향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나이, 소득, 교육수준 등),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과 사회적경제 인식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문제 1>).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적경제 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이 나타나며 사회적경제 참여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맥락(context)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보다 사회적경제 참여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 사회적경제 인식 간의 관계 구조를 통계적, 이론적 검증을 거쳐 확인한 후, 모형 적합도 지수 및 간접 경로의 유의성 검정을 통해 도출된 모형을 평가하였다(<연구문제 2>). 도출된 개념적 모형을 적용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 사회적경제 인식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연구문제 3>).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민 1,002명으로, 2020년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수행한 「서울시 사회적경제 시민체감도 측정연구」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으며, SPSS 25.0, AMOS 26.0 및 Hayes의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사회적경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자본, 공동체의식, 사회적경제 인식은 모두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러나, 사회적자본과 공동체의식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사회적경제 인식을 통해 간접효과로 바뀌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경제 인식의 하위요소 중 전반적인지, 조직인지, 현재인식은 각각의 경로를 완전매개 혹은 부분매개하고 있었으나, 미래기대의 경우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의 문제제기에 대한 실마리이자 사회적경제 영역에 정책적 함의를 주고 있다. 즉, 사회적자본 저하와 참여의 비정형적(atypical)인 관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 사회적경제라는 새로운 시민 중심 사회문제 해결 기제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중요한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식과 참여의 선순환적인 관계를 인정하고 있으며, 인식이 반드시 참여에 선행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사회적경제 참여(participation)가 참여(engagement)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시민의 인식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사회적경제 참여를 설명할 수 있는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하나의 과정이자 사례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