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 Download: 0

프리랜서협동조합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프리랜서협동조합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Freelancer Cooperatives : focusing on the self-protection of society
Authors
박경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Keywords
프리랜서협동조합, 프리랜서, 불안정노동, 사회의 자기보호 운동, 결사체, 호혜성, 협동조합, 참여경험, 근거이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주희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number of irregular workers such as freelancers increases and precarious work is increasing. In this reality, freelancers began to establish organizations such as freelancer cooperatives as an alternative to protecting themselves. In Korea, freelancer cooperatives are on the rise due to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Jang, 2019;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21), but little has been revealed in detail. Under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nationwide freelancer cooperative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freelancer coopera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to carry out the above research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e situation of nationwide freelancer cooperatives was analyzed, and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the second stag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sequential way. Basic data on 107 freelancer cooperativ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study. In the qualitative study, 17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freelancer cooperatives. Finally, this study was able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by organically linking the first-stage study and the second-stag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work production and linkage” wa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the freelancer cooperatives in South Korea.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freelancer cooperatives need to be understo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elance work, and that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m through a framework suitable for freelancer cooperatives. Thir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freelancer cooperatives, they satisfie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solved various difficulties as freelancers through cooperatives. Fourth, through the freelancer cooperatives, a network of reciprocal relationships was formed and self-protection of society was realized. Fifth, the freelancer cooperative not only confirmed the strengthening of reciprocal associations as a self-protection of society, but also partially confirmed the potential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Based on these finding,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at the ‘cooperative level' and ‘policy level'. At the ‘cooperative level’, it is necessary for freelancer cooperatives to consider business growth, and to achieve this, the formation of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cooperative federations based 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among cooperatives is suggested.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o strengthen member education within freelancer cooperatives and make continuous efforts to cultivate talents who embody the cooperative's reciprocal philosophy. Additionally, active solidarity and discussions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advantages of the cooperative as a collective based on its business entity, and to connect it to institutional improvements as a ‘self-protection of society’ through solidarity with internal members and the external world. The ‘policy level’ suggested that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 faced by precarious workers such as freelancer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value’ of freelancer cooperatives and actively pay attention to policy. Supporting the network among freelancer cooperatives is suggested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associations or further discussions at the federation level.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growing trend of freelancer cooperatives, establish criteria for them, and consistently monitor and reflect them in policies for statistical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fined freelancer cooperatives, prepared classification standards, extracted and classified freelancer cooperatives,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overall situation of freelancer cooperatives at the nationwide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In addition, it is of major significance that through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freelancers participating in freelancer cooperatives, practical theories were derived by analyzing freelancer cooperatives focusing on self-protection of society from a reciprocal association perspective.;급속한 기술의 발전에 따른 노동환경의 변화로 프리랜서와 같은 비정기적 노동자들이 늘어나며 노동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프리랜서들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대안으로 프리랜서협동조합과 같은 조직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도 노동환경의 변화에 따라 프리랜서협동조합이 증가 추세에 있지만(장종익, 2019; 기획재정부, 2021),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국내 프리랜서협동조합의 현황을 파악하고, 프리랜서협동조합의 참여경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국내 프리랜서협동조합의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2단계 질적연구를 수행하는 순차적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현황연구를 통해 107개 서울, 경기 및 6대 광역시 프리랜서협동조합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현황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17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프리랜서협동조합 참여경험에 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1단계 현황연구와 2단계 질적연구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연구의 결과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 프리랜서협동조합은 ‘일감 생산 및 연계’ 가 가장 기본적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프리랜서협동조합은 프리랜서 일의 특성을 기반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프리랜서협동조합에 부합한 틀을 통해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 되었다. 셋째, 프리랜서협동조합의 참여경험의 과정에서 참여 동기를 충족하며 프리랜서로서의 각종 어려움을 협동조합 결사체를 통해 해결하고 있었다. 넷째, 프리랜서협동조합 결사체를 통해 호혜의 관계망을 형성하며 사회의 자기보호를 실현하고 있었다. 다섯째, 프리랜서협동조합을 통해 사회의 자기보호 운동으로서 호혜적 결사체가 강화되는 측면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도 개선의 씨앗들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협동조합 차원’과 ‘정책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협동조합 차원’ 에서는 프리랜서협동조합도 경영적 성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협동조합 간의 연대와 협력으로 비즈니스를 고도화 할 수 있는 동종 및 이종협동조합연합회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리랜서협동조합 조합원 교육을 강화하고 협동조합의 호혜적인 철학을 탑재한 인재를 길러내는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다른 프리랜서 조직과의 연대를 통해 협동조합의 사업체를 기반으로 하는 결사체로서의 장점을 발현하고, 내부 조합원 및 외부 세계와 연대하여 ‘사회의 자기보호 운동’으로서의 제도적 개선 차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연대와 논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정책적 차원’ 에서는 프리랜서와 같은 불안정 노동자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프리랜서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에 주목하고 정책적으로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며, 프리랜서협동조합간의 네트워크를 지원하여 향후 연합회 차원의 결성이나 논의로 나아갈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증가 추세에 있는 프리랜서협동조합의 현황을 파악하고 통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프리랜서협동조합에 대한 기준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정책에 반영해 나가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내 프리랜서협동조합을 정의하여 분류기준을 마련하고 프리랜서협동조합을 추출하여 분류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전국 차원의 프리랜서협동조합의 전반적인 현황 분석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프리랜서협동조합에 참여하고 있는 프리랜서들의 참여경험을 통해 호혜적 결사체 관점에서의 사회의 자기보호 운동을 중심으로 프리랜서협동조합을 분석하여 실천적 이론을 도출하였다는데 주요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