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2 Download: 0

아동 어휘발달 통시성 분석 및 멀티 소스 데이터를 활용한 어휘발달 평가 도구 개발

Title
아동 어휘발달 통시성 분석 및 멀티 소스 데이터를 활용한 어휘발달 평가 도구 개발
Other Titles
A Diachronic Study of Child Vocabulary Acquisi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Vocabulary Assessment Tool using Multi-Source Data
Authors
박원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아동의 언어발달은 인지, 사회성, 학업 수행 등 여러 영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언어발달지연 문제는 장단기적으로 아동의 발달 및 성장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때문에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을 이른 시기에 파악하고, 적기에 중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 3세 미만 아동은 언어의 여러 요소 중 어휘를 폭발적으로 발달시키는 시기이므로 이른 시기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을 파악하는 과정에 아동이 습득한 어휘 양은 중요한 지표가 된다. 임상에서는 어린 아동의 언어발달 평가 과정에 주로 부모보고형 평가 방식을 사용하며, 대표적인 검사도구로는 맥아더 베이츠 의사소통 발달 검사(K M-B CDI)가 있다. K M-B CDI의 낱말 영역을 사용하여 641개의 어휘 목록에 대한 아동의 습득 정도를 파악하고, 또래 규준에 근거하여 아동의 언어발달지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어휘 사용 빈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검사 문항 개발 시점과 달리 아동의 어휘 습득 양상이 변화하였을 수 있다. 또한, 교육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아동의 언어발달 수행능력이 과거 규준 개발 시점 아동 집단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즉, K M-B CDI 어휘 문항과 개발에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고려할 때, 검사 문항 및 규준의 신뢰도가 과거에 비해 낮아졌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현 시점 아동에게 노출되는 어휘와 현 시점 아동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규준을 사용하는 경우 어휘발달 평가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8~35개월 아동의 언어발달 수행력에 역동성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아동의 개별 어휘 습득 양상에서 역동성이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아동 어휘발달 평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 검사 문항의 시점 별 난이도와 변별도 변화 양상을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 시점 아동에게 노출되는 어휘를 토대로 만들어진 신규 어휘발달 평가 문항의 변별력을 확인하고, 현 시점 아동에게 노출되는 어휘 목록과 현 시점 아동 규준을 사용하는 평가 방식이 타당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TT, 도서, 자발화 등 멀티 소스 데이터를 활용한 어휘발달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 어휘발달 통시성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시점의 18~35개월 아동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시점 1(2003년 이전)과 시점 2(2016년~2017년)의 데이터는 아동 어휘 데이터베이스인 워드뱅크(wordbank) 내 데이터이며, 시점 3(2003년) 데이터는 본 연구 과정에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집단 간 어휘 습득 수행력이 비교되었으며, 개별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시점 3 집단 아동의 수행력을 토대로 신규 어휘발달 평가 문항의 변별력을 확인하였으며, 신규 어휘발달 평가 방식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 시점 아동을 대상으로 기존 검사도구와 신규 어휘발달 평가 방식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산출 및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세 시점 집단의 K M-B CDI 총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어휘 범주 점수에서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가 유의하였던 범주 중 시점 1 집단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였던 두 개의 범주는 ‘가정 용품’과 ‘옷’에 관련된 어휘 범주였다. 반면, 시점 3 집단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였던 일곱 개의 범주는 중 두 개는 ‘의성어·의태어’, ‘양·정도’ 범주였으며 나머지 다섯 개의 범주는 기능어(어미, 접속사, 대명사, 보조 동사, 조사)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2) K M-B CDI의 641개 문항에 대한 세 시점 아동의 수행력을 토대로 난이도 및 변별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점이 변화함에 따라 문항의 양호도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과거 집단의 아동에 비해 최근 집단 아동 집단에게서 양호도 높은 문항의 개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다수의 문항에서 난이도 및 변별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시점 집단에 따라 개별 문항의 습득 과정에 역동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것이 검사 변별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멀티 소스를 활용한 신규 어휘발달 평가 문항 목록을 사용한 평가 결과, K M-B CDI와 중복되지 않았던 문항 중 대부분이 18~35개월 아동 발달 평가에 높은 변별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마지막으로 신규 어휘발달 평가 문항과 현 시점 아동 규준을 사용한 평가 방식의 공인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표준화 검사도구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도와 특이도 분석 결과에서는 기존 검사 문항에 신규 검사 문항을 포함하는 검사 방식(ExAM + K M-B CDI)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선별 민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규 어휘발달 평가 문항 만을 사용하는 평가 방식의 민감도가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특이도의 경우 기존 검사도구인 K M-B CDI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환경과 사회 문화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18~35개월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이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아동의 개별 어휘 습득 수행에서도 시점에 따른 변화가 나타난다는 점을 밝혀냈다. 또한, 표준화 검사도구인 K M-B CDI는 시점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신뢰도를 가진 검사 도구이지만, 현 시점 아동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 규준과 문항 개정이 이루어질 경우 언어발달지연 아동 선별 정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세 미만 아동의 어휘발달 평가를 위한 어휘 문항 수집 방법에 대해 제언하였으며, 이를 실제 아동 집단에 적용함으로써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아동의 어휘 목록과 규준을 해당 시점의 피검 아동 집단에 최적화할 수 있는 역동적 형태의 어휘발달 평가 체계에 대해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anguage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various areas such as cognition, social skills, and academic performance. Thus, children’s language delay issues can have both short-term and long-term negative effects on a child’s overall development and growth. Therefore, it is crucial to assess a child’s language development level at an early stage and provide proper intervention.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3, which is a period of explosive vocabulary development, vocabulary size is an important indicator in assessing their language development. In clinical settings, parent-report measures are commonly used to assess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One of the representative assessment tools is the Korean version of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The K M-B CDI, specifically the word section is used to assess a child’s level of acquisition for a list of 641 vocabulary items. Based on age-appropriate norms, the CDI helps determine whether a child has language development or not. However, the frequency of vocabulary usage changes over time, indicating that the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patterns may have changed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vocabulary assessment items. Furthermore, due to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 child’s language development performance may differ from the that of reference group established during the previous standardized norm development. Therefore, considering that the time has passed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K M-B CDI,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tems and norms may have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Thus,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m to address the potential decrease in reliability.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using vocabulary items and norms based on the vocabulary exposure and the performance of children at the current time point may result in increased accuracy in the assessment of vocabulary development. Thu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vocabulary assessment tool using multi-source data (ExAM; Expressive vocabulary Assessment using Multi-source data) such as OTT, books, and spontaneous speech, and to validat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ynamics in the language development performance and individual vocabulary acquisition patterns of children aged 18~35 months. Addition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uch dynamics on the vocabulary assessment process,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the K M-B CDI assessment items. Furthermore, the study sought to validate the discriminative power and validity of ExAM.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ree time points of children aged 18 to 35 months. Data from time point 1 (prior to 2003) and time point 2 (2016~2017) were sourced from the child vocabulary database Wordbank, while data from time point 3 (2023)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as part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three time points were used to compare the vocabulary acquisition performance,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dividual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changes over time by each time point group.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time point 3 group of children,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newly collected vocabulary items was examined, and their validity was assessed. Last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onventional assessment tool (K M-B CDI) and the newly developed vocabulary assessment approach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using the data of time point 3 group (current time poin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s of the K M-B CDI among the three time point group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veral vocabulary category scores. Among the categor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wo categories related to “household items” and “clothing” exhibited higher performance in the time point 1 group.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ven categories that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the time point 3 group, two categories were related to “sounds” and “quantity and degree”, while the rest of five categories were functional word categories (ending verbs, conjunctions, pronouns, particles, and helping verbs). 2) An analysis of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time point groups on the 641 items of the K M-B CD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tem characteristics varied as the time changed. Specifically, there was a tendency for a decrease in the number of favorable items in the recent group of children compared to the past group. Moreover, a lot of item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or increasing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indicating that there may be dynamics in the acquisition of individual items depending on the time point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this could have an impact on the item’s discriminative power. 3) The ExAM items that were not duplicated with the K M-B CDI demonstrated high discrimination in assessing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18~35 months. 4) Lastly, the analysis of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ExAM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tandardized language assessment tool (K M-B CDI), indicating a high level of validity. In the analysi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evaluation method that combines the existing test items with the new test items (K M-B CDI + ExAM) demonstrated the highest sensitivity for identifyi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followed by the evaluation method that solely used the ExAM items. However, in terms of specificity, the K M-B CDI showed the highest valu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18~35 months can vary depending on the education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It also revealed that individual vocabulary acquisition of children can change across the time points. Furthermore,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K M-B CDI, demonstrated high reliability despite the changes in time poi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if the standardized norms and vocabulary items are revised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the accuracy of identifying language delay could be further impro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 new method for collecting vocabulary items suitable for assessing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under 3 years of age.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by applying the method to actual groups of children aged 18~35 month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a dynamic vocabulary assessment system that optimizes the child’s vocabulary list and norms according to the specific group of children being assessed at a given time poi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