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1 Download: 0

학령전기 가정 내 학대 피해 아동의 정서어휘 표현력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화용언어능력의 조절효과

Title
학령전기 가정 내 학대 피해 아동의 정서어휘 표현력과 또래 유능성 관계에서 화용언어능력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moderation effect of pragmatic language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and peer competence in preschool-aged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maltreatment
Authors
성시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아동학대는 심각한 사회 문제이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학대 행위자는 아동의 부모인 경우가 가장 많은데 영유아기에는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지므로 학대로 인해 정서 및 언어발달이 더디게 된다. 특히 타인과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에 제한을 보이며 타인과의 관계 안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화용언어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아동이 성장하는 동안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에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대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고 정상적인 발달을 돕기 위해서는 학대 피해 아동들의 발달 특성과 결함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이 발달하고 또래 관계가 시작되는 만 5~6세 학령전기 가정 내 학대 피해 아동 27명(남아 11명, 여아 16명)과 학대 피해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언어발달지연 아동 26명(남아 14명, 여아 12명), 정상적인 언어발달을 보이는 일반 아동 71명(남아 31명, 여아 40명) 총 124명을 대상으로 얼굴 표정에서 정서를 인식하여 적절한 정서어휘로 표현하는 과제를 통해 집단 간 정서어휘 표현력, 화용언어능력, 또래 유능성의 특성을 알아보고 정서어휘 표현력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화용언어능력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학대 피해 아동은 언어발달지연 아동, 정상 발달 아동보다 정서어휘 표현력이 유의하게 낮았다(p<.001). 둘째, 정서 범주 별로 살펴보면 ‘기쁨/행복, 화, 무표정’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슬픔(p<.05, p<.01)’, ‘놀람/두려움(p<.001)’에서 학대 피해 아동이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슬픔, 놀람/두려움’에서는 성차도 나타났는데 남아는 여아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p<.05). 셋째, 정서어휘 표현의 오류 유형은 학대 피해 아동의 겨우 ‘놀람/두려움’에서 기타 오반응이 언어발달지연 아동(p<.01)과 정상 발달 아동(p<.001)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슬픔’의 기타(p<.01), ‘화’의 기타(p<.05) 오반응은 학대 피해 아동이 정상 발달 아동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넷째, 학대 피해 아동은 정상 발달 아동보다 화용언어능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나(p<.001) 언어발달지연 아동과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또래 유능성에서는 세 집단 간, 성별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학대 피해 남자 아동과 언어발달지연 남자 아동은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는데 화용언어능력이 좋은 집단에서 화용언어능력이 또래 유능성에 대한 정서어휘 표현력의 영향을 정적으로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령전기 가정 내 학대 피해 아동의 정서어휘 표현력과 화용언어능력의 발달 특성이 언어발달지연 아동이나 정상 발달 아동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대 피해 남자 아동과 언어발달지연 남자 아동은 화용언어능력이 좋은 경우에만 정서어휘 표현력과 화용언어능력의 상호작용 효과로 정서어휘 표현력이 또래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것은 또래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서어휘와 화용언어능력을 함께 촉진시켜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대 피해 아동의 조기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에 유용한 자료로 임상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ild maltreatment is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is increasing annually. Most child maltreatment perpetrators are parents who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s development occurs through interactions with parents during early childhood, child maltreatment can delay emotional and language development. It is known that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child maltreatment exhibit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ir own and others' emotions, as well as difficulties in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using language in social interactions. These issues continue to harm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duri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To minimize the impact of maltreatment on child development and facilitate normal development, there is a need for clinic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impairments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maltreatment.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124 participants, including 27 preschool-aged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maltreatment (11 boys, 16 girls) in the maltreated group, 26 language-delayed children (14 boys, 12 girls) matched for age with the maltreated group, and 7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31 boys, 40 girls). Through a task that involved recognizing emotions from facial expressions and expressing them using appropriate emotional vocabulary,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peer competence among the groups.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moderation effect of pragmatic language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and peer competence.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ly, maltreated children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compared to both the group of language-delayed children and the group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001). Secondly, when examining emotional categor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erms of 'joy/happiness', 'anger', and 'neutral' expression. However, maltreat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both groups in the categories of 'sadness' (p<.05, p<.01) and 'surprise/fear' (p<.001). In terms of 'sadness' and 'surprise/fear', a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with boys showing lower performance than girls (p<.05). Third, maltreated children exhibited significantly more errors in the category of irrelevant response in 'surprise/fear' compared to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p<.01)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001). Maltreated children also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s in the category of irrelevant response in 'sadness' (p<.01) and 'anger' (p<.05)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ourth, maltreat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agmatic language ability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agmatic language ability between maltreat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Fif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er competence among the three groups and between genders.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for maltreated boys and boy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indicating that in the group with high pragmatic language ability,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y positively moderates the impact of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on peer compet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firm the distinc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preschool-aged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maltreatment, which differ from those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urthermore, it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on peer competence was observed only in maltreated boys and boy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when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y was high.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promoting both emotional vocabulary development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to enhance peer competence. These finding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clinical support of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maltreat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