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 Download: 0

Socio-Interactional Factors on the Task Complexity of L2 English Oral Pragmatic Tasks

Title
Socio-Interactional Factors on the Task Complexity of L2 English Oral Pragmatic Tasks
Other Titles
L2 구술 화용과업 복잡성에 대한 사회 상호 작용 요인
Authors
김현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미진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relate the manipulation of pragmatic task complexity to social and interactional features, guided by a theoretical framework proposed by González-Lloret and Ortega (2018).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how socio-interactional features can be addressed in the design of oral pragmatic task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wo variables – imposition and (dis)preference – drawn from L2 pragmatics and Conversation Analysis (CA) research. It also develops four role-play tasks centered around a pragmatic action of requesting, motivated by it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selected variables. Afterward, it validates the presumed levels of task complexity for the four tasks (simple, less simple, complex, and high-complex) via measures of participants’ perceptions of difficulty, mental effort, stress, and estimated dur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the factors that made the tasks more or less complex by identifying emerging themes and coding categories in participants’ open-ended responses. It then investigates the effect of task complexity on participants’ oral pragmatic performance with a focus on interactional moves, using CA as the analytical approach. The present study set up an experiment that involved L1 English speakers, Korean L2 speak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intermediate and high), and an L1 English speaker as an interlocuto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our measures demonstrated that the L1 and L2 speakers found the simple task the least challenging, while the highly complex task was viewed as the most difficult; the complex task was perceived as more challenging than the less simple task. That is, tasks involving a higher level of imposition and more dispreferred responses (refusals) posed greater challenges than those with a lower imposition and fewer dispreferred responses (acceptance).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proposed framework, affirming that socio-interactional variables can create varying degrees of pragmatic task complexity. Subsequently, this study explored participants’ open-ended responses to identify the sources of their difficulty when performing the designed task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ask difficulty was exclusively influenced by the two design features: imposition and dispreference, which were evident in the request size, the responsibility attributed to a problem, and the extent of persuasion prompted by refusals. As such, these findings support the proposed framework by reaffirming that the manipulated variables in the task design are indeed related to participants' task difficulty. Furthermore, these factors had linguistic implications for the L2 speakers, leading to additional challenges; the intermediate-level speakers grappled with searching for appropriate words, structuring sentences, and understanding the interlocutor, which appeared to tie to their limited general English proficiency. In comparison, the high-level speakers had difficulties using pragmalinguistic forms for politeness and mitigation when dealing with high imposition and refusals. This study examined how task complexity affects participants' task performance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task complexity led to more moves being used by all groups, confirming the hypothesis that high degrees of imposition and more refusals increase task complexity by requiring additional interactional moves. The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L2 speakers’ limited proficiency potentially influenced their tendency to prioritize apologetic moves over proposals and elaboration while attempting to fulfill the given requests in the complex tasks. On the qualitative sid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mposition variable primarily challenged the intermediate-level speakers. They were observed to provide high imposition topics prematurely or to make requests with minimal moves in an opening sequence, suggesting their lesser orientation to imposition elements embedded in task design. The dispreference (refusals) posed difficulties for both proficiency groups. The intermediate speakers were found to produce simplified turns characterized by basic and simple actions due to limited linguistic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obtaining acceptance from the interlocutor. The high-level speakers made the final request without any interactional moves, even when they needed to elicit acceptance from the interlocutor to realize a given request in the highly complex task. This suggests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difficulty spontaneously generating ideas and formulating coherent messages in response to successive refusals from the interlocutor during online interactions. In addition, throughout making multiple requests, the L2 speakers, regardless of proficiency, resorted to a series of explicit requests rather than offering accounts or solutions that implied requests. This signifies difficulty framing a request turn considering the interlocutor’s perspective. The difficulties identified in this study underlin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ask complexity, as defined by social interaction variables – imposition and dispreference, in developing language learning tasks to enhance second language learners' pragmatic competence.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L2 pragmatics task complexi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four measures, open-ended responses, and task performance provided substantive evidence for a framework that argues for integrating social interaction features into pragmatic task design. Thus, it broadens the theoretical scope of the task complexity literature, which has emphasized the manipulation of task complexity predominantly within a cognitive perspectiv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A is a viable approach for L2 pragmatics research that investigates pragmatic competence in interaction by using CA findings to design tasks and using it to analyz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has pedagogical implications; by explaining how to design pragmatic tasks using socio-interactional variables, this study can guide instructors and material developers to create tasks with varying levels of complexity. Moreover, it highlights L2 speakers' difficulties by showing performance variations between L1, high-level, and intermediate-level speakers. This, in turn, can inform instructors on how to implement L2 pragmatic instruction for learner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본 연구는 González-Lloret와 Ortega (2018)가 제안한 이론적 모델을 바탕으로 화용과업(pragmatic task) 복잡성(complexity)과 사회 및 상호작용 특성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구두 화용과업 설계 과정에 사회-상호작용적 특성(socio-interactional features)을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L2 화용론 (L2 pragmatics)과 대화 분석 연구 (Conversation Analysis: CA) 에서 도출된 두가지 변수인 "부과(imposition)"와 "(비)선호((dis)preference)"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해당 변수들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네 가지 과업을 개발하였다. 이후, 참가자들의 난이도, 정신적 노력, 스트레스 및 과업수행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도구로 하여 과업의 복잡도 수준(simple-less simple-complex-highly complex)을 검증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의 개방형 응답에서 나타나는 주제와 코딩 범주를 분석하여 과업을 더 복잡하거나 또는 덜 복잡하게 만든 요인들도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화 분석을 사용하여 과업 복잡도가 참가자들의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작용 동작(interactional moves)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L1(영어)화자, L2(한국어) 화자 (중위 및 상위 숙련도)를 참여자로, 그리고 L1 화자를 대담자로 선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가지 측정도구의 결과에 의하면, L1 및 L2 참여자 모두 simple과업을 가장 쉽고, highly complex과업을 가장 어렵게, 그리고, complex과업을 less simple과업보다 더 어렵게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과수준 (imposition)이 높고 비선호 응답 (dispreferred response/거절)이 많은 과업이 부과수준이 낮고 선호응답 (preferred response/수락)이 있는 과업보다 더 큰 어려움을 제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회상호작용 변수가 다양한 수준의 과업 복잡도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개방형 응답을 분석하여 그들이 과업수행시 느꼈던 어려움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과업의 난이도는 주로 부과와 비선호 (거절)라는 두 가지 과업 설계 변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들은 요청의 규모, 발생된 문제에 대한 책임, 그리고 과업에서 요구된 설득의 수준에서 명백히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업설계에 활용된 변수가 참여자들이 느낀 과업난이도와 실제로 관련이 있음을 재확인함으로써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뒷받침한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은 두 숙련도 그룹 모두에게 언어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을 추가적으로 야기한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상위 숙련도 참여자는 높은 부과와 거절에 대응할 때, 공손함과 발언의 완화를 위한 화용언어사용 (pragmalinguistic forms)에 어려움을 겪었고, 반면 중급 능숙도 참여자는 단어선택, 문장구성, 대화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제한된 영어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과업 복잡도가 참여자들의 과업수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 및 정성적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과업 복잡도의 증가는 모든 그룹에서 더 많은 상호작용 움직임(moves)을 유발하였다. 이는 높은 부담과 거절이 추가적인 상호작용 움직임을 필요로 함으로써 과업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이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한된 숙련도로 인하여 L2 참여자들은 어려운 과업 (highly complex)에서 주어진 요청을 수행하려고 할 때 해결방안 제안 또는 세부사항 설명 보다는 사과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성적 측면에서 상호작용 동작을 살펴보면, 부과 변수는 주로 중위 숙련도 참여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은 대화 시작 단계에서 높은 부과를 가진 주제를 제시하거나 최소한의 상호동작만을 활용하여 요청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과제 설계에 포함된 부과변수에 대한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시사한다. 비선호 변수 (거절)는 두 숙련도 그룹 모두의 어려움을 야기시켰는데, 중급 능숙도 참여자의 경우, 제한된 영어능력으로 인하여 기본적이고 단순한 상호작용 동작으로 턴을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거절을 하는 대화상대방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야 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한 패턴을 나타냈다. 상위 숙련도 참여자의 경우 highly-complex과업에서 주어진 요청을 실현하기 위하여 대담자로부터 선호응답 (수락)을 이끌어 내야 할 때에도 일련의 상호동작의 노력없이 간단하게 최종 요청을 하였는데, 이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서 대담자의 연이은 거절에 대응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동시에 메시지를 생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다수의 요청을 하는 과정에서, L2참여자들은 숙련도에 상관없이 암시적인 요청을 담은 이유나 해결책을 제안하기 보다 일련의 명시적인 요청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담자의 관점을 고려한 턴을 구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어려움들은 제2언어 학습자의 화용역량(pragmatic competence) 강화를 목표로 하는 언어 학습 과업을 개발할 때, 사회 상호작용 변수를 활용한 과업 복잡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화용과업 복잡도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사회 상호작용적 특징을 과업 설계에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프레임워크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를 인지측정 도구, 개방형 응답, 과업수행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주로 인지적 차원에서의 과제 복잡성 조작을 강조해 온 L2 화용 과제 복잡성 문헌의 이론적 범위를 확장해준다. 이 연구는 또한 CA 연구 결과를 과업 설계에 활용하고 과업수행분석에 이를 사용함으로써, CA가 L2 화자의 실용적인 역량을 상호작용 측면에서 연구하는 L2 화용학 연구에 실용적인 접근 방식임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사회 상호 작용 변수를 사용하여 화용과업을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강사와 자료 개발자가 다양한 수준의 복잡성을 가진 과업을 실질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는 중위, 고위 및 L1 화자들 간 과업 수행의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L2 화자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교수자는 다양한 숙련도 수준의 학습자를 위해 L2 실용화 교육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