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1 Download: 0

프리셉터 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임상적 추론, 환자안전관리 인식이 임상교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프리셉터 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임상적 추론, 환자안전관리 인식이 임상교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receptor nurses' critical reflection, clinical reasoning,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on clinical teaching behavior
Authors
김경혜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 특히 신규간호사의 실무 적응에 어려움과 높은 임상 이탈률은 간호계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며, 교육전담간호사 지원 사업과 신규간호사 교육관리체계 가이드라인 제정 등 신규간호사가 임상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많은 자원이 투입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프리셉터 간호사도 지식 전달에 초점을 둔 기존의 교육행동을 넘어 학습촉진자로의 역량을 갖추고, 공감과 존중 등 감정적인 교류를 통해 신규간호사의 학습과 적응을 돕는 임상교육행동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리셉터 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역량, 임상적 추론 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이 임상교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 증진을 위한 교육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프리셉터 역할을 1회 이상 수행한 간호사 216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24일부터 3월 29일까지 자가 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Scale for Clinical Nurses의 한국어판 비판적 성찰 역량 척도, Nurse Clinical Reasoning Scale(NCRS)의 한국어판 간호사 임상적 추론 역량 척도,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척도,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CTBI-23)의 한국어판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 평가도구(K-CTBI)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교육 관련 특성, 직무 관련 특성, 비판적 성찰 역량, 임상적 추론 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교육 관련 특성,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교육행동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é’s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비판적 성찰 역량, 임상적 추론 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임상교육행동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임상교육행동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성찰 역량은 95점 만점에 평균 78.22(±7.31)점, 평균 평점 4.12(±0.38)이었고, 임상적 추론 역량은 75점 만점에 평균 61.87(±7.12)점, 평균 평점 4.12(±0.47)이었다.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105점 만점에 평균 87.49(±10.59)점, 평균 평점 4.17(±0.50)이었고, 하위 영역의 평균 평점은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지 4.33(±0.54)점,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관심 4.15(±0.54)점,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의지 4.15(±0.58)점,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자신감 4.07(±0.59)점 순이었다. 임상교육행동은 110점 만점에 평균 91.44(±9.67)점, 평균 평점 4.15(±0.44)이었으며, 하위 영역 평균 평점은 교육에의 전념 4.21(±0.47)점, 피드백과 평가 4.19(±0.57)점, 적절한 교수법 활용 4.18(±0.50)점, 의사소통 지도 4.13(±0.58)점, 관심과 지원 4.13(±0.55)점, 학습분위기 조성 4.11(±0.50)점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교육 관련 특성,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은 프리셉터 경험 횟수, 근무일치 비율, 업무경감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셉터 경험은 4회 이상의 그룹이 1회 그룹, 2-3회 그룹보다 임상교육행동의 정도가 높았고(F=11.320, p<.001), 70% 이상 근무일치 비율을 보이는 그룹이 70% 미만의 그룹보다 임상교육행동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2.001, p=.047), 업무경감이 있는 그룹이 업무경감이 없는 그룹보다 임상교육행동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525, p<.001). 3. 본 연구에서 프리셉터 간호사의 임상교육행동은 비판적 성찰 역량(r=.680, p<.001), 임상적 추론 역량(r=.739, p<.001),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r=.73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중 임상교육행동의 유의한 변인을 투입한 1단계의 설명력은 14.1%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6.894, p<.001).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던 비판적 성찰 역량, 임상적 추론 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을 투입한 2단계에서 설명력은 66.7%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48.812, p<.001). 분석 결과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351, p<.001), 임상적 추론 역량(=.343, p<.001), 비판적 성찰 역량(=.168, p=.007), 업무경감이 있는 집단(=.115, p=.005), 근무일치 비율(=.085, p=.042)이 임상교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 프리셉터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임상적 추론 역량, 비판적 성찰 역량이 높고, 프리셉터 간호사의 업무 경감이 있고, 프리셉터와 프리셉티의 근무 일치 비율이 높으면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프리셉터 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역량, 임상적 추론 역량 및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향상을 위하여 프리셉터 교육전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뿐만 아니라, 제도적으로 프리셉터 간호사에게 가중되는 업무량을 줄여주고, 프리셉터-프리셉티 간호사의 근무 일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현 상황에서 프리셉터-프리셉티 간호사의 근무 일치 비율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근무 일치 비율에 대한 가이드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inical teaching behavior exhibited by preceptor nurses on their critical reflection, clinical reasoning,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participant group consisted of 216 nurses who had served as preceptors within the last 5 years. Data collection took place between March 24th and 29th, 2023.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ed several scales: the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Scale for Clinical Nurses, the Nurse Clinical Reasoning Scales (NCR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s, and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23). Online surveys were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9.0 program.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The participants' mean scores were as follows: 78.22±7.31 for critical reflection (out of 95 points), 61.87±7.12 for clinical reasoning (out of 75 points), 87.49±10.59 for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out of 105 points), and 91.44±9.67 for clinical teaching behavior (out of 110 points). 2. In this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linical teaching behavio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a nurse has served as a preceptor (F=11.320, p<.001), the percentage of schedule alignment between preceptor nurses and preceptee nurses in shift rotations (t=-2.001, p=.047), and the workload reduction of preceptor nurses (t=3.525, p<.001). 3. Clinical teaching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r=.680, p<.001),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r=.739, p<.001), and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r=.731, p<.001). 4. The results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cluded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β=.351, p<.001), competence in clinical reasoning (β=.343, p<.001), competence in critical reflection (β=.168, p=.007), the workload reduction of preceptor nurses (β=.115, p=.005), and the percentage of schedule alignment between preceptor nurses and preceptee nurses in shift rotations (β=.085, p=.042). These factors accounted for 66.7% of the variance in clinical teaching behavior (F=48.812, p<.001).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of preceptors. It confirms tha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e, the workload reduction of preceptor nurses, and the percentage of schedule alignment between preceptor nurses and preceptee nurses in shift rotations are significant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nurses preparing for precepting to enhance their critical reflection capacity, competence in clinical reasoning, and perception of the signific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dditionally, creating an organizational plan to alleviate the burden on preceptor nurses and establishing standardized protocols for the preceptorship program is recomm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