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1 Download: 0

학교 음악 경험이 20대 성인의 음악 생활화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사례 연구

Title
학교 음악 경험이 20대 성인의 음악 생활화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사례 연구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chool Music Experiences on the Music Engagement Motivation of Young Adults in their 20s: A Multiple Case Study.
Authors
최치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음악, 음악교육, 음악의 생활화, 정서, 심리적 매개효과, 자기효능감, 자기결정 동기이론,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학교 음악 경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chool music experiences on the values, attitudes, and motivation towards music and its integration into the lives of young adults in their 20s. The study primarily focused on analyzing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elf-efficacy,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music experiences encountered in school music activities. The aim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internalized values towards music lead to the integration of music into daily life and to propose ways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music through school music activities. To achieve thi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group of five participants actively engaged in musical activities (Group A) and another group of five participants less involved in such activities (Group B). The research examined participants' current experiences with music integration into their lives, the main motivations for engaging or not engaging in musical activities, and the perceived impact of school music experiences on their current music integration. Furthermore, by examining case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ense of belonging,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others) experienced during past school music activitie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current motivations for music integration. Results regarding participants' motivations for music engagement and non-engagement revealed that Group A cit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music in their lives as reasons for engaging in musical activities. They specifically mentioned the enjoy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derived from music as primary motivations. In contrast, Group B exhibited a more passive attitude toward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music. Non-engagement motivations included negative music experiences, financial constraints, and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music with other hobbies, reflecting a lower perception of the value of music. Additionally, regarding the perceived impact of school music experiences on current music integration, Group A generally had positive perceptions, while Group B predominantly held negative perceptions. These differences indicated that experiences of autonomy, competence, self-efficacy, sense of belonging, encouragement, and support in school music activities influenced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value of music and motivations for music integration. Particularly, the study revealed that competence and self-efficacy experiences had the most decisive influence on current motivations for music integration. Furthermore, interviews about participants' school music experience revealed that they primarily experienced autonomy, a sense of belonging, and positive relationships through music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However, they reported experiencing autonomy suppression and a decrease in competence during teacher-directed i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s. Group B, in particular, mentioned a decline in competence during performance assessments,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ower perception of the value of music and their decision not to engage in music activit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school music experiences have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current values and integration of music among young adults in their 20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musical autonomy, competence, sense of belonging, and musical self-efficacy played important mediating ro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various aspects in their teaching practices, such as promoting autonomy,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fostering positive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s that enhance mus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Moreover, schools should actively utilize diverse musical opportunities, such as extracurricular music clubs, music festivals, and music competitions, in addition to regular music classes. This indicates the need for joint responsibility and efforts from various sectors of society, including teachers, schools, parents,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It is expected that such efforts will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integration of music into individuals' lives beyond their school years, fostering a positive impact on music integration in daily life.;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음악 경험이 20대 성인의 음악에 대한 가치 및 태도와 음악 생활화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학교 음악 활동에서 경험한 자기결정 동기이론 및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음악에 대한 내면화된 가치 인식이 음악의 생활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해하고, 학교에서의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활발한 음악적 활동을 하는 A그룹 5명과 활발하지 않은 B그룹 5명으로 구성된 참여자들과의 심층적인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참여자들의 현재 음악 생활화 내용, 음악적 활동에 대한 참여와 비참여의 주요 동기, 그리고 학교 음악 경험이 현재 음악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과거 학교 음악 활동에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소속감, 타인으로부터의 격려와 지지 등)을 경험한 사례를 통해 현재의 음악적 생활화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음악 활동에 대한 동기와 비참여 동기를 알아본 결과, A그룹은 음악에 대한 가치 및 삶 속에서의 중요성을 음악 활동의 이유로 들었다. 특히 음악 그 자체의 즐거움과 감정 조절을 주요 동기로 꼽았다. 반면, B그룹은 음악에 대한 가치 및 중요성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음악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동기로는 부정적인 음악 경험, 금전적인 부담, 다른 취미로 대체 가능성 등 음악에 대한 낮은 가치 인식이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의 음악적 경험이 현재 음악 생활화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A그룹은 대부분 긍정적인 반면 B그룹은 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학교 음악 활동에서의 자율성, 유능감, 자기효능감, 소속감, 격려와 지지와 같은 관계성의 경험이 현재 음악에 대한 가치 인식과 음악의 생활화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유능감과 자기효능감의 경험이 음악의 현재 생활화 동기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들의 학교 음악 경험 사례에 대해 면담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주로 교내 음악 활동을 통해 자율성과 소속감, 긍정적인 관계성을 경험하였다. 반면에 교사의 일방적인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수업과 수행평가에서는 자율성 억압과 유능감 하락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특히 B그룹은 수행평가에서의 유능감 하락을 경험하고, 이는 현재 음악에 대한 낮은 가치 인식과 음악 활동을 하지 않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학교 음악 경험이 20대 성인들의 현재 음악에 대한 가치인식과 생활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에는 음악적 자율성, 유능감, 소속감, 음악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적인 요소들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수업 진행에서의 자율성, 개별화된 교육, 긍정적인 상호관계 형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음악적 유능감 및 자기효능감에 관련 깊은 수행평가 활용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학교에서는 정규 음악 수업 외에도 교내 동아리 활동, 음악 축제, 음악 대회와 같은 다양한 음악적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다양한 음악적 경험과 소속감, 협동심, 자부심 등의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인식과 음악의 생활화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학교, 학부모, 교육제도 및 정책 등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공동의 책임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학창 시절 이후의 삶 속에서 음악의 생활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