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0 Download: 0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발달 및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Title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발달 및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Other Titles
Parental Contingent Verbal Response According to Infant Vocalization and Vocal Development of Infants with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s
Authors
전예솔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미
Abstract
The parental verbal response has a big influence on infants’ speech-language development. Infants learn new forms of vocalization, reconstruct their vocalization, and acquire new vocabulary through their parental verbal responses(Gros-Louis et al., 2014: Goldstein & Schwade, 2008). Also, parental verbal responses strongly predicted infants’ expressive vocabulary level more than infants’ current communication level(Tamis-LeMonda et al., 2001). Parental verbal response patterns differ according to the infants’ speech-language development. Parents use low-level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for infants with low-level language development, and use high-level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for infants with high-level language development(Ambrose et al., 2015; Lee et al., 2022). Gros-Louis et al.(2006) found that parental verbal responses qualitatively differ depending on infants’ vocalization development. In other words, parental verbal responses influence infants’ speech-language development. Infants’ speech-language level can be known as canonical vocalization, which is an indicator of the speech-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Ha, 2017; Oller et al., 1999).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s (CI) seem to delay vocalization development due to hearing deprivation before the cochlear implant surgery(Välimaa et al., 2019). However, the vocalization development of infants with CI rapidly enhanced after cochlear implant surgery(Ertmer et al.,2013; Välimaa et al., 2019). Previous studies found that infant-parent interaction is different between the CI group and the typical hearing group(Lee & Lee, 2023; Park et al., 2022). It’s necessary to confirm these differences due to whether limited hearing experience in infants with CI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of infants with CI. To this end, it’s necessary to explore including the hearing- age matching and a chronological-age matched infant with typical hearing. Additionally, early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of infants is actively underway(Jeong et al., 2018; Peters et al., 2010). Therefore, it’s necessary to explore about early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of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ocalization development of infants with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s(CI), chronological age-matched(CA), and hearing age-matched(HA), and to examine different ratios of parental verbal responses according to infants’ vocalization type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vocalization development of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s with infants and parental verbal response to help with early speech-language intervention and parental coaching with infants with cochlear implants. In order to explore the vocalization development of infants and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to the infant’s vocalization, the parents-infant interaction task was conducted. The parent-infant interaction task was conducted in a free-play situation in a quiet place with toys. Infant vocalization is classified into non-canonical vocalization and canonical vocalization depending on consonant-vowel syllables (Kim & Ha, 2022). Parental verbal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parental contingent response(PCR), parental non-contingent response(PNCR), and no response(NR) depending on the window time of 2 seconds and whether the parents had joint attention with their infants(Gros-Louis et al., 2014; Lee & Ha, 2021). PCR was classified into language non-expectant responses(LNE) focused on interaction and language-expectant responses(LE) focused on language input (Gros-Louis et al., 2014; Lee & Ha, 202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overall vocalization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subtypes of non-canonical vocalization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frequency of canonical babbling and jarg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frequency of canonical babbling of the CA group was higher than CI and HA groups. The frequency of jargon in the CI group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A and HA groups. The frequency of jargon in the CA group a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A group. That is, the vocalization development of infants with CI was delayed compared to the infants with CA and similar to that of infants with HA Second, the ratio of canonical vocalization of the CA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I and HA group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parental verbal response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ratio of parental verbal responses to non-canonical vocalizations was higher than the ratio of parental verbal responses to canonical vocalizations. The ratio of PCR was higher than the ratio of PNCR and N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parental verbal response pattern of the CI group is similar to that of the CA and HA groups. Fourth, the ratio of PCR to non-canonical vocalizations was higher than that to canonical vocalizations. The ratio of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responses to non-canonical vocalizations was higher than that to canonical vocalizations. The ratio of LE was higher than the ratio of LNE. The three way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HA group, the ratio of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responses to non-canonical vocalizations was higher than that to canonical vocalizations. In the CI and CA groups, the ratio of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to non-canonical vocalizations is similar to that of canonical vocalizations. The two way interaction effect of vocalization type and the ratio of related language development responses was significant in the HA and CA groups. In the HA group, the gap between the ratio of related language development responses type in non-canonical vocalizations was more than that in canonical vocaliz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 groups, the gap between the ratio of related language development responses type in canonical vocalizations was more than that in non-canonical vocalizations. That 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parents adjust their verbal response according to their infants’ vocalization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vocalization development of infants with early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s and parental verbal responsiveness of infants with early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s. This study confirmed that listening is a crucial factor in the vocalization development of infants with CI and that parents of infants with CI respond quickly and sensitively to the vocalization of infants’ vocalizations. Additio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s of infants with CI adjust their linguistic verbal respon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vocaliz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with CI. This study may provide foundation material to guide early intervention and parent coaching for infants with CI. ;부모의 구어 반응은 영유아의 말-언어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영유아는 부모의 구어 반응을 통해 새로운 발성 형태를 배우고, 자신의 발성을 재구성하고, 어휘를 학습한다(Gros-Louis et al., 2014: Goldstein & Schwade, 2008). 부모의 구어 반응은 영유아가 현재 보여주는 의사소통 모습보다 영유아의 표현어휘 능력을 더 강하게 예측한다(Tamis-LeMonda et al., 2001). 부모의 구어 반응은 영유아의 말-언어발달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부모는 언어발달이 낮은 영유아에게는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을 사용하고, 언어발달이 높은 영유아에게는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을 사용한다(Ambrose et al., 2015; Lee et al., 2022). Gros-Louis et al.(2006)은 부모의 구어 반응이 영유아의 발성 발달에 따라 질적으로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즉, 부모의 구어 반응은 영유아의 말-언어발달 수준에 영향을 받는다. 영유의 말-언어발달 수준은 영유아의 말-언어 발달의 지표인 음절성 발성을 통해 알 수 있다(Ha, 2017; Oller et al., 1999).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는 인공와우이식 전의 청력 박탈(Niparko et al., 2010)로 인하여 음절성 발성 산출에 지연을 보이며, 지연된 발성 발달을 보인다(Välimaa et al., 2019). 그러나, 인공와우이식 수술 후에는 급격한 발성 발달을 보인다(Ertmer et al.,2013; Välimaa et al., 2019). 선행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부모의 상호작용이 건청 영유아-부모의 상호작용과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Lee & Lee, 2023; Park et al., 2022). 이러한 차이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제한된 듣기 경험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으며, 또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특성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특성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부모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듣기연령을 일치한 집단과 생활연령 일치 집단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조기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Jeong et al., 2018; Peters et al., 2010). 이에, 현재 보편적인 유형인 조기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집단, 생활연령 일치 영유아 집단, 듣기연령 일치 영유아 집단의 발성 발달을 살펴보며, 영유아의 발성 유형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 양상에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발달과 부모의 구어 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조기 중재와 부모-영유아 상호작용을 위한 부모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유아의 발성 발달 및 영유아의 발성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모-영유아 상호작용 평가를 진행하였다. 부모-영유아 상호작용 평가는 장난감이 구비된 조용한 장소에서 자유 놀이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영유아 발성은 기본음절 형태 유무에 따라 비음절성 발성과 음절성 발성으로 분류하였다(Kim & Ha, 2022). 부모의 구어 반응은 2초의 시간 기준과 부모가 영유아와의 공동주의가 확립되었는지에 따라, 영유아의 발성에 대응되는 반응, 대응되지 않은 반응, 무반응으로 분류하였다(Gros-Louis et al., 2014; Lee & Ha, 2021). 영유아의 발성에 대응되는 반응은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언어 비예적 반응과 언어 자극에 초점을 둔 언어 예기적 반응으로 분류하였다(Gros-Louis et al., 2014; Lee & Ha, 2021).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발성 빈도와 비음절성 발성의 하위 유형 빈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유형 간 빈도 차이는 생활연령 일치 영유아의 발성 유형 간 빈도 차이 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듣기연령 일치 영유아의 발성 유형 간 빈도 차이와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듣기연령 일치 영유아는 비음절성 발성 빈도가 음절성 발성 빈도 보다 많았지만, 생활연령 일치 영유아는 음절성 발성 빈도가 비음절성 발성 빈도 보다 많았다. 음절성 발성의 하위 유형 빈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활연령 일치 집단의 음절성 옹알이 빈도가 인공와우이식 집단과 듣기연령 일치 집단의 음절성 옹알이 빈도보다 많았다. 반면,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자곤 빈도는 생활연령 일치 집단 및 듣기연령 일치 집단의 자곤 빈도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생활연령 집단의 자곤 산출 빈도는 듣기연령 일치 집단의 자곤 빈도보다 많았다. 즉,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발달은 생활연령 일치 영유아보다 지연되고 듣기연령 일치 영유아와 비슷하였다. 둘째,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음절성 발성 비율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의 음절성 발성 비율보다 적었으며, 듣기연령 일치 집단의 음절성 발성 비율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집단 간 구어 반응 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음절성 발성에 대한 구어 반응 비율이 음절성 발성에 대한 구어 반응 비율보다 높았다. 또한, 영유아의 발성에 대응되는 부모의 구어 반응 비율이 영유아의 발성에 대응되지 않는 부모의 구어 반응 비율과 무반응 비율보다 높았다. 즉, 인공와우이식 집단 부모의 구어 반응 양상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 및 듣기연령 일치 집단 부모의 구어 반응 양상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듣기연령 일치 집단에서 비음절성 발성에 대한 언어발달 관련 반응 비율은 음절성 발성에 대한 언어발달 관련 반응 비율 보다 높았다. 인공와우이식 집단과 생활연령 일치 집단은 발성 유형 간 언어발달 관련 비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유아의 발성에 대한 언어 예기적 반응 비율이 영유아의 발성에 대한 언어 비예기적 반응 비율보다 많았다. 발성 유형, 언어발달 관련 반응 유형, 집단 간의 삼차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집단은 발성 유형에 따른 언어발달 관련 반응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듣기연령 일치 집단은 비음절성 발성에서 언어발달 관련 반응 유형 간의 차이가 음절성 발성에서 언어발달 관련 반응 유형 간의 차이보다 더 컸다. 반면, 생활연령 일치 집단은 음절성 발성에서 언어발달 관련 반응 유형 간의 차이가 비음절성 발성에서 언어발달 관련 반응 유형 간의 차이보다 더 컸다. 즉, 발성 유형에 따른 언어발달 관련 반응 양상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부모는 영유아의 발성 발달에 따라 자신의 구어 반응을 조정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추세인 조기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발달과 조기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구어 반응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인공와우이식 집단 영유아의 발성 발달에는 듣기가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에 대한 부모의 구어 반응은 영유아의 발성에 즉각적이고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부모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및 언어발달 수준에 맞게 자신의 언어적 반응을 조정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조기 중재와 부모-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부모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