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7 Download: 0

학령전기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 상호작용 특성에 관한 종단연구

Title
학령전기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 상호작용 특성에 관한 종단연구
Other Titles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 Interaction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in the early school age; syntactic, sementic, and pragmatic aspects
Authors
이송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말더듬은 언어적, 심리적, 생리적, 환경적 요인과 같이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된다(Guitar, 2013; Manning, 2010; Yairi & Ambrose, 2005). 이는 내부적인 요인과 외부적인 요인 모두가 말더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유창성은 학령전기 아동에게서도 좌절과 불안함, 당황 등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하며 단순히 말을 더듬는 것 이상으로 받아들여진다. 말하기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운동능력이 빠르게 발달하는 만 2-6세 시기에 말더듬은 갑자기 시작된다(Shin et al., 2020). 이는 말더듬과 언어발달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Logan & Conture, 1997)하며, 말을 더듬는 아동은 언어능력에 있어서 잠재적인 취약성이 있을 수 있다는 선행연구도 이 주장을 지지한다(Ambrose et al., 2015). 많은 학자들은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서 언어능력과 말더듬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Bernstein, 1997; Brundage & Bernstein Ratner, 2022; Logan & Congure, 1997). 현재까지 그 결과는 일관되지 못하다. 그렇기 때문에 구문·의미·화용영역별로 어떠한 세부적 요인들이 말더듬에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여 말더듬의 시작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나아가서는 이를 임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부모는 아동의 말·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이다(Manning, 2010; Zebrowski, 1997). 선행연구들에서는 부모의 말속도, 아동의 말에 끼어드는 행동, 끼어들기와 같은 요인에서 일반아동 부모와 말더듬아동 부모 간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Kelly & Conture, 1992). 선행 연구 대부분 구문과 의미적인 측면의 상호작용 특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화용적인 측면에서 아동의 발화 개시 빈도에 따른 비 유창상성 변화, 어머니의 발화 개시빈도에 따른 비유창성의 변화, 부모와 아동이 서로 발화차례를 주고받는 빈도에 대한 비유창성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 또한 필요하다. 말더듬은 발달 과정 중에 있는 말더듬아동 뿐 아니라 일반아동 또한 경험하게 된다.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을 정확히 변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비유창성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언어능력은 단순히 배우고 문장을 똑같이 사용한다고 해서 완성되는 것은 아니며 구문, 의미, 화용적인 측면의 발달이 적절하게 이뤄져야 한다. 의미적 측면으로는 아동 스스로 표현하고 싶은 내용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선택해 구문적인 측면에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 형태로 만들 수 있어야 하며 화용적인 측면에서는 상황과 맥락에 맞는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언어능력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발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뿐 아니라 아동의 말더듬에는 아동의 어머니 그리고 아동과의 올바른 상호작용이 영향을 준다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2개월 간격으로 총 3번에 걸쳐 2-5세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 7명과 일반아동 7명, 그리고 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놀이 상황에서 발화를 수집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아동의 구문(MLC-w, 격조사 사용빈도), 의미(NDW), 화용(어머니의 발화개시빈도, 아동의 발화개시빈도, 발화차례 주고받기 빈도)적인 측면에서의 언어능력을 파악하여 아동의 언어능력이 비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종단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ND 빈도는 말더듬아동 집단이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모든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및 일반아동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말더듬아동 집단은 시점에 따라 ND빈도가 유의하게 감소(12개월-24개월, 초기-24개월)가 하였으며 일반아동은 시점에 따른 ND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AD빈도는 초기평가 시 말더듬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12개월과 24개월 시점에는 말더듬아동 집단의 AD빈도가 높았으나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 집단 모두 시점에 따른 AD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구문복잡성은 초기평가, 12개월, 24개월 시점 모두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초기-12개월 시점과 초기-24개월 시점의 말더듬아동 집단에서 구문복잡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모든 시점에서 구문복잡성이 증가하였으나 초기-12개월 시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격조사 사용 빈도는 초기평가, 12개월, 24개월 시점 모두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초기평가와 12개월 시점에서 말더듬아동의 격조사 사용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일반아동은 모든 시점에서 시점에 따른 격조사 사용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어휘다양성은 초기평가, 12개월, 24개월 모든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및 일반아동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말더듬아동 집단은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일반아동 집단은 12개월과 24개월 시점, 초기평가와 24개월 시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섯째, 아동의 발화개시 빈도는 초기평가 시점에서 일반아동 집단이 말더듬 아동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초기평가와 12개월 시점, 12개월과 24개월 시점에서 일반아동 집단과 말더듬아동 집단의 발화개시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일곱 번째, 어머니의 발화개시 빈도는 초기평가에서 말더듬아동 집단 어머니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은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덟 번째, 발화차례 주고받기는 초기평가, 12개월, 24개월 시점 모두 말더듬아동 및 일반아동 집단 간 발화차례 주고받기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점별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홉 번째, 말더듬아동 집단은 초기평가 시점에 어휘다양성과 발화차례 주고받기에서 부적상관을 보였다. 12개월 시점에는 변수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24개월에는 구문복잡성과 어휘다양성, 격조사와 ND빈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아동 발화개시와 발화차례 주고받기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일반아동 집단은 초기평가 시점에 아동의 발화개시와 어머니의 발화개시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12개월 시점에는 어휘다양성과 AD빈도, 아동개시와 격조사 빈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발화차례 주고받기와 AD빈도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24개월 시점에서 어머니 발화개시와 ND빈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발화차례 주고받기와 아동 발화개시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령전기 말더듬아동 집단의 언어능력은 일반아동 집단의 언어능력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반에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는 아동일지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달 속도와 패턴이 비슷해졌다. 그러나 긍정적인 상호작용 패턴을 보였음에서 시점이 지남에 따라 말더듬이 호전되지 않는 아동 즉, 언어능력에 잠재적인 취약함을 가진 아동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아동의 비유창성 뿐 아니라 아동의 언어적인 능력을 전반적으로 검사해야하며 언어적 취약성을 가진 아동에게는 언어능력의 발달을 위한 개별적 치료 또한 이뤄져야 함을 시사한다. 말더듬아동 집단에는 발화개시와 같은 화용적인 측면의 상호작용 특성이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호작용 및 부모 교육 시 아동의 발화개시 빈도를 증가시키고 의미 있는 발화차례 주고받기가 아동 주도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말더듬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을 제시하여 구문, 의미, 화용적인 측면에서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종합적이고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여 임상에서 활용하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Stuttering is caused by complex factors such as linguistic, psychologic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is explained by multidimension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what detailed factors affect stuttering by area to identify the occurrence and cause of stuttering, and further use it in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since ordinary children also experience normal and abnormal non-original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observe and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non-originality for accurate discrimination. Therefore, there is continuous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factors of children and the non-originality of early stuttering children, but no consistent conclusion has been reached so far. A child's language skills are not completed simply by learning and using them equally, and the development of syntax, meaning, and utilization aspects must be properly carried out. In terms of vocabulary, children should be able to choose the appropriate vocabulary for the content they want to express themselves and make it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 form in terms of syntax, and in terms of utilization, they should be able to properly use expressions that fit the situation and context.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a child's language abilit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ild's speech in detail. In addition,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the correct interaction between a child's mother and a child affects a child's stuttering. Accordingly, this study collected utterances in natural interactive play situations from eight 2-5-year-old stuttering children, eight genera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ree times every 12 months, and tried to understand children's language skills and affect non-creativity as they age.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speech length and survey in terms of syntax,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n terms of utilization of vocabulary diversity in terms of semantics, and how children's language skills affect children's non-originality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ND was generally high in the group of stuttering childr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stuttering children and the general child at all points. The frequency of ND in the group of stuttering children decreased significantly (12 months to 24 months, early 24 months) depending on the tim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D frequency in general children according to the time. Second, during the initial evaluation, the frequency of 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than in the general children's group, and the frequency of AD in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was high in 12 months and 24 month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ttering children and the general children's group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D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both stuttering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yntax complexity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s groups at the initial evaluation, 12 months, and 24 months, and syntax complex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arly-12 months and early-24 months. In the general children's group, syntax complexity increased at all points, but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initial-12 month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urvey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general child groups at the time of initial evaluation, 12 months, and 24 months. At the initial evaluation and the 12-month point in time, the frequency of use of survey by stuttering childre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use of survey by time in general children at all points in time.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diversity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general child groups at both the initial evaluation, 12 months, and 24 months.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t all points in time, and the general children's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t 12 and 24 months, and at the initial evaluation and 24 months. Sixth, the frequency of children's speech initi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eneral children's group at the time of initial evaluation than in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at the time of initial evaluation, 12 months, and 12 months and 24 months. Seventh, the frequency of mothers' initiation of spee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mothers in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and the general children's group at all points. Eigh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xchange of speech order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s groups at the initial evaluation, 12 months, and 24 month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 points. Ninth,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vocabulary diversity and speech order exchange at the time of initial evaluation. At the time of 12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t 24 month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syntax complexity, vocabulary diversity, classification, and ND frequenc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itiation of children's speech and the exchange of speech sequences. The general children's group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itiation of children's speech and the initiation of mothers' speech at the time of initial evaluation. At the time of 12 month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vocabulary diversity, AD frequency, child initiation, and survey frequenc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change of utterance orders and AD frequency. At the time of 24 month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initiation of mother speech and the frequency of N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change of speech sequences and the initiation of child speech. Taken together, the language ability of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in the early school years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general children's group. Even children who showed differences from ordinary children in the beginning have similar development rates and patterns over time. However, there may be children who show positive interaction patterns and do not improve their stuttering over time, that is, children with potential vulnerability to language skills. Therefore, it suggests that not only the child's non-originality but also the child's linguistic ability should be examined overall, and that individual treatment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kills should also be provided for children with linguistic vulnerab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agmatic aspect such as initiation of speech had an effect on the stuttering children's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frequency of children's initiation of utterance should be increased during interaction and parent education, and meaningful utterance sequence exchange should be led by childre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intended to pres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children to help them use them in clinical practice by providing comprehensive and empirical data on what factors affect early school-age stuttering children in terms of syntax, meaning, and uti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