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7 Download: 0

청소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 그릿, 학업열의 사이의 종단적 관계

Title
청소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 그릿, 학업열의 사이의 종단적 관계
Other Title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that affects adolescents’ happiness
Authors
양수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청소년 행복감, 긍정심리, 잠재성장모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행복은 인간의 궁극적 목적이며 행복 추구는 인간의 당연한 권리이다. 하지만 OECD 22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아동 및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최하위를 기록하였다(염유식, 성기호, 2021). 이처럼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의 낮은 행복감에 대해서는 과열된 성적 및 입시 경쟁과 결과주의를 큰 특징으로 하는 한국의 교육문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 청소년들은 좋은 성적을 얻고 좋은 학교에 진학해야만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에서는 늘 상위권을 유지하면서도 행복지수는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청소년들이 사회에서 인정하는 학업성취와 결과를 위해 행복을 유예하거나 희생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이 현상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긍정심리학은 특정 문제에 집중하기 보다는 후천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개인의 강점에 집중한다. 이에, 긍정심리학 기반의 개입은 개인의 강점 계발을 통해 행복감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부정적 정서 혹은 부적응적 행동의 발현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감이 한국의 독특한 교육문화로 인한 학업스트레스와 관련이 깊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업적 변인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관련되며 청소년의 행복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그릿과 학업열의를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의 행복감은 개인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하므로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청소년의 주요 발달환경인 부모의 양육태도에 주목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그릿과 학업열의, 행복감 각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각각 청소년 행복감과 영향요인에 서로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로 그 성격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한편, 청소년의 발달은 학년에 따라 개인차가 크다. 뿐만 아니라, 생태체계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발달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의 영향을 받는데, 이때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실제로 청소년 행복감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또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 양상 및 관련성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사실은 청소년 행복감과 영향요인에 대하여 종단적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상을 종합하여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영향요인의 종단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그릿, 학업열의, 그리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의 구조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청소년 행복감의 발달궤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그릿, 학업열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 행복감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청소년 행복감과 그릿, 학업열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청소년 행복감과 그릿, 학업열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까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 패널 중에서 4차년도까지 모두 응답한 학생 총 2,160명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9.0과 AMOS 26.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절차로는 먼저,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이들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구조관계에 대한 시간의 흐름의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문제 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 무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청소년 행복감 수준의 변화궤적을 확인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부터 고등학교 1학년 시기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청소년의 행복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성장 조건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 그릿, 그리고 학업열의는 청소년 행복감의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 그릿, 그리고 학업열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종단적 분석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행복감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 그릿, 학업열의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그릿과 학업열의, 행복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반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그릿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그릿은 학업열의와 행복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학업열의는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청소년 행복감에 대한 그릿의 횡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그릿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하여 그릿은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넷째, 청소년 행복감과 부모의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 그릿, 그리고 학업열의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종단적 관계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경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초기값은 그릿 초기값과 학업열의 초기값, 그리고 청소년 행복감 초기값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변화율은 그릿 변화율과 학업열의 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초기값은 그릿 초기값, 학업열의 초기값, 그리고 행복감 초기값 및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변화율은 그릿 변화율, 학업열의 변화율, 그리고 청소년 행복감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릿과 학업열의의 경우, 그릿 초기값은 학업열의 초기값 및 변화율과 행복감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릿 변화율은 학업열의 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학업열의 변화율은 청소년 행복감 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청소년 행복감에 대한 그릿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초기값이 행복감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그릿 초기값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초기값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하여 그릿 초기값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청소년 행복감에 대한 학업열의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변화율이 행복감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학업열의 변화율은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 청소년의 보다 긍정적인 정서 발달과 건강한 학업을 도울 수 있는 실증적 결과를 제공하였다. 특히,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학업 관련 변인을 활용하여 그릿과 학업열의와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이와 더불어, 종단적 분석을 통해 청소년 행복감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의 기회를 마련했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실천되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청소년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교육적 개입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Happiness is man's ultimate purpose, and pursuing happiness is man's natural right. However, according to a survey of 22 OECD member countries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 ranked the lowest (Yoo & Seong, 2021). For this phenomenon, Korea's educational culture, characterized by overheated competition for good grades and entrance exams and consequentialism, is often pointed out as the main reason. Korean teenagers think they are happy only when they get good grades and attend good schools. In comparative studies on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Korean adolescents maintain the top while their happiness index is always at the bottom. This result shows that Korean teenagers are delaying or sacrificing their happines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results recognized by society. In respon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is phenomenon from a positiv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Positive psychology focuses on individual strengths that can be developed and acquired rather than on specific problems. Accordingly, positive psychology-based intervention promotes happi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strength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negative emotions or maladaptive behaviors. Considering that the happiness of Korean adolescents is deeply related to academic stress caused by Korea's unique educational culture, it is essential to confirm the effect of academic-related variables on adolescents' happiness. Therefore, in this study,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which were related to successful academic achievement and were known to predict adolescents' happiness, were set as the main variables. Moreover, since both individual inter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rucially affect adolescents' happiness, they must be considered together.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parenting attitude, which is adolescents' primary development environment, regarding th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is well-known as an environmental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happiness. Furthermor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have different effects on adolescents' happines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respectively. Therefore, in this study, parenting attitudes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lso, it is vital to note that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grade. According to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which affects individual development, can change over time. Adolescents' happiness is known to have an increasing or decreasing tendency in a particular direction as the grade increases. Moreover, the interaction patterns and relevance between happiness and its affecting factors may change over time. This fact suggests that a longitudinal analysis of adolescents' happines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s needed. Thus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happines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Specifically, it longitudinall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happiness,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esign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happiness as the grade increases? Research Question 2. Do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affect the trajectory of adolescents' happiness?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happiness,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happiness,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change as the grade goes up?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first to fourth years of the first-graded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among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the first to fourth years of the first grader of middle school of 2,160 students who responded continuously until the fourth year. SPSS 29.0 and AMOS 26.0 statistical packag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detailed analysis procedure,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tent growth model,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confirmed to affect the trajectory of happiness over tim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inally, the impact of time on structural relationships was explo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e main results of each research proble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jectory of the adolescents' happiness over time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the unconditional latent growth model. It was identified that adolescents' happiness continued to decrease as the grade went up from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nditional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grits, and academic engage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significantly impacted both the intercept and the slope of adolescents' happiness.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on the trajectory of adolescents' happiness over time was found, and the validity of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firmed through this. Third, from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predicted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happiness. On the other h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grit. In addition, grit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engagement and happiness, but the academic engage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happin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ross-sectional mediating effect of grit on adolescents' happiness, grit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to happiness. Also, grit had a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happiness.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happines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grits, and academic engagement, the results of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intercep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rcept of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adolescents' happines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lop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lope of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The initial value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rcept of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the intercept and slope of happiness. Furthermore, the slope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impacted the slope of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happiness. In the case of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the intercept of grit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rcept and slope of academic engagement and the intercept of happiness. The slope of gri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lope of academic engagement, and also, the slope of academic engageme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lope of happin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grit on adolescents' happiness, the intercept of grit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tercep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In addition, the intercept of grit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tercep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affected happin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adolescents' happiness, the slope of academic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slope of happiness. The current study provided empirical results for Korean adolescents to help them develop positively.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and Korean adolescents' happiness was highlighted using academic variables from a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additio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happiness was provided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It is also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omote adolescents' happiness by specifically discussing matters to be practiced in the education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