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1 Download: 0

Associations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and Sleep Duration with Obesity of Korean adults

Title
Associations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and Sleep Duration with Obesity of Korean adults
Other Titles
한국 성인의 식생활평가지수(KHEI)에 따른 비만과 수면시간의 연관성 : 제 7기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Authors
남궁영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오란
Abstract
최근 비만의 위험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으로 인한 다양한 건강의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다. 비만과 수면시간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많은 연구에서 수면시간의 감소가 비만 비율 증가와 관련 있다고 보고 하고 있다. 최근 몇몇 연구들은 수면상태와 비만 사이의 연관성에 있어 잠재적인 수정 요인으로 식사 요인, 특히 전반적인 식사의 질이 관련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비만 사이의 연관성에 있어 식사의 질 지표인 한국식생활평가지수(KHEI)를 함께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의 만 19-64세 성인 10,967명을 대상으로 한국 성인의 식생활식생활평가지수(KHEI)와 수면시간 및 비만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비만은 대상자의 신체계측을 통해 체질량지수(BMI) ≥ 25kg/m2으로 선정하였으며, 수면시간은 건강설문조사에서 자가보고한 지난 한달 간의 수면 시간에 대한 설문자료를 이용하였다. 식사의 질 평가는 24시간 회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출한 식생활평가지수(KHEI)를 사용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KHEI 중앙값(남자 60.4점, 여자 63.8점)에 따른 수면시간과 비만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교란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경우, 여성 중 낮은 식사의 질 (KHEI≤ Median) 그룹에서 수면시간이 짧은 (sleep duration < 7 h/day) 여성이 적정 수면시간을 수면한 (sleep duration ≥ 7 h/day) 여성에 비하여 비만위험이 높았다 (OR = 1.349 , 95% CI = 1.134–1.605). 교란변수로 나이,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직업유무, 흡연상태, 음주빈도, 유산소신체활동여부, 보충제복용여부, 여성의 경우 폐경여부를 보정한 결과에서도 여성 중 KHEI가 중앙값보다 낮은 여성에서 짧은 수면을 하는 여성이 적정 수면시간인 여성에 비하여 비만의 위험이 높았다 (OR = 1.270, 95% CI = 1.058–1.525). 반면 KHEI가 중앙값보다 높은 여성은 보정 전, 후 모델에서 수면시간과 비만사이의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남성의 경우도 KHEI 중앙값에 따른 수면시간과 비만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보정되지 않은 모델과 보정된 모델에서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성인 여성에서 불충분한 수면과 비만의 높은 위험 사이의 연관성이 식사의 질에 따라 다르게, 즉 KHEI가 낮은 사람에서만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여성의 식사의 질이 높을 경우 불충분한 수면 시간과 비만 위험 사이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향후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해 전향적 코호트 연구나 중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hort sleep dur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obesity. Growing evidence points to dietary factor, especially overall diet quality, as a potential effect modifier in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status and obesit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et quality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status and obesity in adults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Korea.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0,967 adults (4,623 men and 6,344 women), aged 19 – 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Sleep duration as divided into ≥ 7 h (adequate) and < 7 h (insufficient). Diet quality was evaluated by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ranging from 0 to 100, based on 14 dietary components. Obes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rates of insufficient sleep in women, but not in men.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the risk of obesity in women with insufficient sleep was about 1.3 times higher than women with adequate sleep [OR (95% CI) = 1.270 (1.058–1.525)]; this association observed only in the group with KHEI ≤ median score. In conclusion, a better diet quality might act as an effect modifier in the association between insufficient sleep and a high risk of obesity in women. These results provide the potential for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the risk of obesity to shift partly due to a change of dietary quality in adult women. Future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nd a prospective or interventional design are needed to further improve our knowledge about the association of diet quality or dietary patterns and sleep duration with obes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