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1 Download: 0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근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근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chool Counselors' Work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 Focus o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이혜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chool counselors’ work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t was perform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study.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tinued to increase, the needs and the interests in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gradually increase, and school counselors began to be deployed to special schools. However, school counselo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counsel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es on the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are currently insuffici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to help them adapt to special school work and improve their capabilities,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school counseling system.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al with the work experience of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for the first tim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to observe and reveal phenomena that were not previously studied, and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the vivid experiences of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and to reveal their essence and structure. For the study, the criteria for recruiting study participants were those who worked at a special school for at least one year with a level 1 or 2 certificate of school counselor.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Seven school counselors that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in special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nationwid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research was conducted and data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consequence, 5 categories, 19 main topics, and 51 sub-topic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following through their work experience in special school: ‘Located in the unfamiliar situation of special school counseling without preparation’, ‘Difficulties due to lack of support and system’, ‘Trying to overcome unfamiliar situations and environmental limitations’, ‘Identifying and adapting to the special school system’, ‘Facing challenges that are still difficult to solve’ and ‘Discovering the advantages of special school and developing counseling skil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Discu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From the work experience of special school counselors, the meaning that promoting counseling capabil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rowing as school counselors was derived. In addition,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school counseling system was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ime to reveal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This study is a vivid field experience study and will be able to help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understand and adapt to special school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raining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the role and work of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or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level models.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only for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articipants' previous careers or working areas were not classified.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studies in different area of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and b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addition, research on counseling techniques or metho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can be used by school counselors in special schools will be needed.;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근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들이 특수학교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수교육대상자의 수가 지속해서 늘어남에 따라 장애학생 상담에 관한 필요성과 관심이 점차 증가하였고, 특수학교에도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전문상담교사들은 장애학생 상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현재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연구 또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경험과 의미를 축적하여 교사들의 근무 적응을 돕고 그들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 제도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본 연구에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근무 경험에 관하여 처음으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현상을 관찰하고 드러내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들이 겪는 생생한 경험을 탐색하고 그 본질과 구조를 밝히고자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문상담교사 2급 이상 자격증을 소지하고 특수학교에서 1년 이상 전문상담교사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를 눈덩이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고, 전국의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 중인 전문상담교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1개의 주제, 19개의 주제모음,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특수학교에서의 근무 경험을 통하여 <준비 없이 특수학교 상담이라는 낯선 상황에 놓임>, <지원과 체계 미비로 어려움을 겪음>, <낯선 상황과 환경의 제한점을 극복하려 노력함>, <특수학교 체계를 파악하고 적응해 나감>,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들을 마주함>, <장점을 발견하고 장애학생 상담 역량을 키움>을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충분한 준비 없이 특수학교에서 상담을 시작하게 되어 당황스러움과 장애학생 상담경험 및 지식 부족으로 인한 막막함을 경험했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교육지원청 차원의 지원 부족, 교내 상담 환경과 체계 미비, 인식 부족 등으로 특수학교 근무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스스로 특수교육을 공부하고, 교사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국립특수교육원과 교육지원청의 지원을 활용하며 낯선 상황과 환경의 제한점을 극복하려 노력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특수학교 체계를 파악하고 적응해 나갔다. 특수학교 특성을 반영한 개인 상담체계를 만들고, 다양한 상담 이론과 기법을 응용하고, 학교 특성에 맞춰 집단상담, 행사 및 홍보를 진행했다. 그리고 외부기관 연계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부담임 교사로서 업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제한점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체계를 파악하고 적응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특수학교 근무에 적응해 나갔다. 하지만 상담자로서 고민과 좌절, 특수교육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행정업무로 인한 갈등 등 여전히 어려운 과제들을 마주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특수학교 근무의 장점을 발견하고 장애학생 상담 역량을 키워나갔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논의하였으며,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근무 경험으로부터‘장애학생 상담 역량 증진 및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성장’이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 제도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를 처음으로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생생한 현장 경험 연구로서 전문상담교사들의 특수학교에 관한 이해와 적응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 양성 교육이나 연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업무에 관한 지침이나 국가 수준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참여자의 이전 경력이나 근무 지역을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장애 영역별, 참여자 특성별, 지역별 연구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장애학생 대상 상담 이론이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