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5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병원 현장실습 및 반응작업을 통한 자기이해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병원 현장실습 및 반응작업을 통한 자기이해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Other Titles
An Autoethnography on Self-understanding Process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about Hospital Field Training and Visual Journal
Authors
김미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병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 반응작업을 통해 자신을 이해해 나가고 통합해 가는 과정의 기록을 담았으며, 그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성찰을 통한 자기 이해의 관점을 반영하는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문화기술지는 한 사람인 연구자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전체 사회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이현진 외, 2020). 이를 토대로 연구자가 경험한 병원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습 현장에서 마주한 어려움과 흔들림의 시기에 자기성찰의 한 방법으로 사용한 반응작업이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의 병원 현장실습에 대한 반응작업 경험은 어떠하며, 병원 현장실습 및 반응작업을 통한 연구자의 자기이해 과정은 어떠하며, 자기이해는 병원 현장실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A시 소재의 정신과 병원에서 2021년 4월부터 12월까지 약 9개월의 낮병동 현장실습과 2022년 1월부터 5월까지의 약 4개월의 입원병동에서의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참관, 관찰자, 보조치료사, 주치료사로 실습에 참여하며 총 13개월의 병원 현장실습의 경험을 연구자의 객관적 기록물과 자기회상 자료 및 자기 성찰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현장실습일지, 현장실습 사례보고서, 병원 제출용 일지, 현장실습 사례에 관한 반응작업 및 대학원 석사과정 동안에 작성한 반응작업과 에세이, 저널, 메모, 일기, 동료 실습생들과의 회의 내용 기록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필요에 따라 석사학위 입학 이전에 기록했던 일기와 그림 자료도 추가로 수집하였다. 연구의 1차 자료 수집은 2022년 5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2차 자료 수집은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문화기술지는 연구자 스스로 기억을 회상하고, 자신의 내러티브 분석과 해석에 참여하며, 나아가 사회, 문화와의 연결을 확인하고 성찰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기에(박순용 외, 2010), 연구 자체가 자기 성찰적이고 반영적이다(김영천, 2013).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 석사 과정생인 연구자가 전문성을 가진 치료사로 성장하는 과정 안에서 성찰적 글쓰기가 포함 되어있는 반응작업을 통해 병원 현장실습의 경험을 재해석하며 전환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런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에 따라 성찰적 글쓰기, 분석과 재해석, 그리고 자료의 재구성 과정을 거쳐 본 연구의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인 나는 병원 현장실습에서 반응작업을 통해 스스로를 점검하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병원 현장실습에서 실습생으로서 내담자와 만나며 느껴지는 반응을 미술작업으로 표현하고 점검하며 반응의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 깊이 탐색할 수 있었으며, 자신을 제대로 알고 수용하는 과정이 타인을 공감하고 이해해야 할 미술치료사로서 정체성과 연관된 중요한 과업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인 나는 병원 현장실습에서 계획대로 되지 않는 실습 상황과 완벽을 추구하는 성향이 충돌하며 어려움을 겪었고, 그 흔들림의 본질을 탐구하던 중, 치료 회기를 잘 진행함으로써 모두에게 인정받고 싶은 개인적인 욕구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반응작업을 통해 회기에서 느꼈던 감정을 재탐색하며 지금까지의 나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런 과정에서 삶 전체를 거시적 맥락에서 이해하며 삶의 분열된 부분을 통합하며 전체의 나로 받아드릴 수 있었다. 셋째, 병원 현장실습에 적응하며 인간이 정신적 문제를 경험하는 이유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빈약한 사회적 및 관계적 자원과 연관되어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담자들의 환경, 가족, 관계 등 그들의 자원에 대해 더 깊이 탐색하면서 사람의 본연의 모습에 접근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넷째, 병원 현장실습 및 반응작업을 통해 나는 조금씩 나에 대한 이해를 해 나가며 내담자를 보는 관점이 확장됨을 느꼈다. 진단명 안에 있는 병명 보다는 지금 여기 실존 하는 한 인간, 이 세상에 한 명밖에 없는 고유한 존재로 인정하며 받아드릴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론이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병원 현장실습 경험을 자기 성찰적 관점을 반영하는 자문화기술지의 방법으로 기술하여 병원 현장실습에 대한 특성과 낮병동과 입원병동, 즉 병원 실습 전체에 대한 경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금 병원 현장실습의 과정 중에 있거나, 병원 현장실습을 준비하고 있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의 학문적 선행연구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따라 연구자의 지난 병원 현장실습을 돌아보며 자기이해와 성찰적 경험을 공유한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자문화기술지는 그 과정 자체가 치료적이라고 했기 때문에, 미술치료 연구 영역에서 자문화기술지의 연구 방법 자체가 치료사의 자기인식을 돕기 위한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현장실습에서 겪는 어려움을 미술 매체를 사용하는 미술치료사로서 반응작업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성장하는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특히 반응작업으로 연구자의 역전이를 다루며 삶을 통합하고 이해하는 도구로 미술을 사용하였다는 것에 이의가 있다.;This study record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grating oneself through visual journal on hospital art therapy field training by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In order to explore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an autoethnography study method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reflection was applied. An autoethnography starts from the idea that the autobiographical story of a researcher contains the story of the entire society (Lee Hyun-jin et al., 2020).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hospital field training experienced by the researcher and explore the meaning of visual journal used as a method of introspection during the difficulties faced at the training field.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was set to be “what is the visual journal experience to hospital field training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and how did the researcher's self-understanding process through the field training and visual journal affect the hospital field 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researcher’s objective records, self-recovery data, and self-reflection data based on 13 months of hospital field training as an observer, assistant therapist, focusing on 9 months of day ward field training from April to December 2021 and 4 months of closed ward field training from January to May 2022 at a psychiatric hospital in A City. In the data collection stage, data such as, field training journals, field training case reports, hospital submission journals, visual journals on field training cases, as well as, essays, memos, diaries, meeting records with fellow trainees, and visual journals that were written during graduate school were collected. When necessary, additional diary entries and picture data previously recorded were also collected. The firs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May to August 2022. The seco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22. Autoethnography allows the researcher to recall their memories, participate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ir own narrative, and furthermore confirm the connection with society and culture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reflection (Park Soon-yong et al., 2010), therefore the study itself is introspective and reflective (Young-cheon Kim, 2013).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was able to reinterpret the experiences of hospital field training and have a transformative experience through visual journals that include reflective writing in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professional therapist. Based on the study method of autoethnography,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ve writing, analysis, reinterpretation, and reconstruction of dat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I was able to check myself through visual journals in hospital field training and broaden my understanding of myself. As a trainee at the hospital, I was able to express and check the reactions felt with the clients through art work and explore more deeply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reaction. I realized that the process of properly knowing and accepting oneself is an important task related to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who needs to empathize with and understand others. Second, as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I had a hard time dealing with situations that did not go according to the plan conflicting with my desire to pursue perfection. As I explored the nature of this conflict, I discovered a personal desire to be recognized by everyone for doing well in my therapy sessions. Through the visual journals, I tried to understand myself so far by re-exploring the emotions I felt during the session. In this process, I was able to understand my entire life in a macroscopic context, integrate the divided parts of my life, and accept myself as a whole. Third, while adapting to the hospital field training, I realized that the reason why humans experience mental problems is related to the poor social and relational resources that the clients have. As I explored more deeply the resources of the clients, such as their environments, families, and relationships, I realized that efforts were needed to approach the true nature of a person. Fourth, through hospital field training and visual journal, I felt that my perspective of seeing my clients expanded as I gradually understood myself. Rather than a name of a disease in the diagnosis, I was able to acknowledge and accept the client as one of a kind unique being, a human who exists here and now.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provid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cribes the hospital field training experience as an autoethnography method that reflects the self-reflection point of view. It can provide experienc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field training, and on the day ward and closed ward, which is the entire hospital training. Furthermore, it can have value as an academic precedent study fo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are currently in the process of hospital field training or are preparing for hospital field training. Seco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on sharing self-understanding and reflective experiences by looking back on the researcher's past hospital field training according to the autoethnography study method. Since the process of autoethnography itself is said to be therapeutic, there is a suggestion that autoethnography study method can be used in the art therapy study field as a method to help therapists’ self-awareness. Lastly, there is significance that through this study, the difficulties the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in field training were shared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reflecting on themselves and growing through visual journals as art therapists using art media. In particular, it is objectionable that art was used as a tool to integrate and understand life by dealing with the countertransference of the researcher as a visual journ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