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 Download: 0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개인정보 노출의 방식이 사회적 낙인에 미치는 영향

Title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개인정보 노출의 방식이 사회적 낙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n social stigma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and perceived reliability
Authors
LIU, ZIJING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정보 공개의 주체와 채널의 다양화, 그리고 정보 공개의 범위에 대한 불완전한 규정으로 인해, 중국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의 신분정보의 노출이 빈번하며, 이런 개인정보 노출로 인해 확진자들이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정보 노출이 코로나 확진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법학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출처와 정보 유형에 따라 개인정보 노출을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과 코로나19 기간 중국에서 발생한 실제 사례를 접목하여 개인정보 노출의 유형과 노출 정도를 독립변인로 설정하였다. 개인정보 노출의 유형은 공식, 비공식으로 구분하였으며, 개인정보 노출의 범위는 확진자의 개인 신분정보 노출과 위치정보 노출로 분류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와 최근 사례를 분석한 결과, 공중들은 이름, 전화번호, 사진 등 민감한 개인 신분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해 쉽게 감성적인 대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로나19 기간 동안, 중국 관영 매체의 공신력이 떨어지면서 중국 사람들은 관영 매체의 언론 보도보다 비공식적인 채널로 유포되는 사적인 개인정보 노출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 (공식vs비공식)x 2(신분정보가 있음vs 신분정보가 없음)의 4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연구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인 2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4개의 실험 자극물 중 한 개에 무작위로 할당하여, 분산분석(ANCOVA)과 매개효과 분석(Process)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개인정보 노출의 유형은 부정적 감정(분노와 두려움)과 사회적 낙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지만, 개인정보 노출의 정도가 부정적 감정인 분노와 사회적 낙인에 정(+)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정보가 노출된 경우에는 노출의 유형(공식과 비공식)보다 노출의 정도가 제일 중요한 영향요인이다. 즉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확진자의 신분정보의 노출이 확진자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개인정보 노출의 유형은 지각된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만 개인정보 노출의 정도가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참여자는 비공식인 소셜미디어보다 공식인 기사 보도를 더 신뢰하지만, 확진자의 신분정보가 포함 여부가 지각된 신뢰성에 의미가 없는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노출의 정도는 사회적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가 있는 동시에 개인정보 노출의 유형은 사회적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지각된 신뢰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case of COVID-19 pandemic,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ubjects and channels, as well as the imperfect provisions on the scope of information disclosur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identity information exposures of patients diagnosed with COVID-19 in China. These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s put the diagnosed patients under psychological pressure.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fluence factors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on the social stigma of COVID-19 diagnosed patients. Moreove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law,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types according to the source and type of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bines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and the actual cases of COVID-19 in China, and sets the type and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can be divided into formal and informal, and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can be divided into identified patient's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exposure and location information exposure. As a result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recent cases, it shows that the public is prone to make emotional responses to sensitive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such as names, phones, photos, etc. During the period of COVID-19, with the decline of the credibility of China's official media, Chinese people paid more attention to the exposure of private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informal channels than the media reports of the official media.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form 4 groups of 2 (formal vs informal) x2 (with identity information vs without identity information) to conduct experiments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In addition, 200 Chinese people were set as subjects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stimuli to conduct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negative emotions (anger and fear) and social stigma, but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s a positive (+) impact on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d social stigma. Specifically, when personal information is exposed, the degree of exposure is more important than the type of exposure (formal and informal). In other words, whether formal or informal, the exposure of the identified patient's identity information has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diagnosed patients. Second, the type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reliability, but the impact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trust the official report more than the unofficial social media, but it has no significance to the credibility of the perceived identity information of diagnosed patients. Finally, it is found that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s a negative emotional media effect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social stigma, while the type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s a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reliability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social stigm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