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3 Download: 0

여성의 출생, 진학, 취업 그리고 결혼 결정에 있어 교육의 역할과 효과

Title
여성의 출생, 진학, 취업 그리고 결혼 결정에 있어 교육의 역할과 효과
Authors
양봄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민식
Abstract
지난 수십 년간 우리나라 국민의 교육 수준은 크게 상승했다. 특히 2005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 여성의 대학교 진학률은 남성의 대학교 진학률을 역전했고 현재까지도 격차가 이어져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학과, 취업, 그리고 결혼과 같은 여성의 생애 주기의 여러 가지 중요한 선택에 있어 교육의 영향과 효과에 대하여 세 개의 에세이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에세이에서는 여성의 대학교 진학률이 남성을 역전한 현상으로부터 사교육비 투자에서도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자녀 성별에 따라 부모의 투자가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을 규명한 과거 많은 연구들에서는 딸에 비해 아들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는 현상을 아들에 대한 부모의 선호로 해석하였으며, 이로부터 본 논문에서는 딸에게 교육비 투자가 더 많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2000년대 초반을 전후로 우리나라의 자녀 성별에 대한 선호도 함께 변화했기 때문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딸에 대한 사교육비 투자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여학생의 대학교 진학률이 더 높아졌음에도 출산 단계에서는 여전히 부모가 아들에 대한 선호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째 에세이에서는 인적자본이론에 기초하여 여성의 대학교 진학률이 역전된 이후 노동시장에서 성별 교육투자수익률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남성의 절대적인 임금이 더 높은 상황에서 여학생에 대한 사교육비 투자가 더 많이 이루지는 것이 성별 선호 때문이 아니라면,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진 현상이 노동시장 내 다른 여건 차이로부터 기인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성별 교육투자수익률을 살펴보았다. 성별, 세대별, 직종별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여성에게 노동시장에 있어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최근 여성의 급격한 교육 수준 증가 현상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세 번째 에세이에서는 교육과 결혼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출산율의 급격한 하락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초혼연령 및 감소하는 조혼인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여성의 결혼 선택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성의 학력 상승은 노동시장에서의 잠재임금을 상승시키고 결혼의 기회비용을 높여 결혼 선택의 확률을 낮추고 진학을 더욱 증가시키며, 이는 동시에 동일한 학력 수준의 남성과의 결혼, 즉 동질혼의 경향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Education has been playing major role in empowerment of women in their social, career, economic and family lives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This dissertation, comprised of three empirical essays, explores the effects of education in women’s lifetime choices such as college enrollment,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marriage. The first essay analyzes whether the recent reversal pattern of women's college enrollment rate is also observed in their private education investment. In particular, I estimate Tobit regressions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by child’s sex using a number of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examine if and to what extent the determinants of educational expenditures differ by gender. Various studies have documented intra-household differences in educational expenditure by gender and many interpreted them as son-biased behavior. Therefor I then examine whether preference for son has changed in South Korea around the early 2000s. The results presents although parents’ are more likely to invest in girls’ education, they still show son-biased fertility stopping behavior.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the second essay investigates whether there has been a change in economic returns to schooling by gender since 2005 when women outpaced men in college enrollment. Given the fact that there still exists a huge gender wage gap, there may be some other factors that effects women's enrollment in Korean labor market. The estimated returns to education by gender, generation, and occupation show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women in the labor market, and explains the rapid increase in women's education level in Korea. In the third essay,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marriage. An increase in women's educational attainment raises potential wa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opportunity cost of marriage, thereby reduces probability of choosing marriage and further increases college enrollment even m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is relationship because the rapid decline in the birth rate,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one of the biggest problem in South Korea, is closely related to delayed marriage and declined marriage rat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