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8 Download: 0

만 5세 학급 놀이기록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Title
만 5세 학급 놀이기록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to Improve Records on Play at 5-year-old Class
Authors
곽윤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 학급 나눔반 놀이기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아와 교사가 함께 놀이를 기록하는 방안을 실행하고, 실행 과정에 참여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학급 놀이기록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학급 놀이기록 개선방안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한 단설유치원 만 5세 학급 나눔반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나눔반 유아 20명, 연구자인 담임교사 1명이다. 연구 기간은 2021년 8월부터이며 12월까지 실행을 완료한 후,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논문을 작성하였다. Mills(2005)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의 모형에 따라 놀이기록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개선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결과 분석, 2차 실행, 1·2차 실행방안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자는 지난 학기의 놀이기록과 교사 저널을 분석하여 나눔반 놀이기록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유아와 함께 하는 놀이기록을 운영하기 위하여 1차 실행에서는 유아와 함께 놀이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방안을 실시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를 기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기록 방법을 모색하여 실천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관찰, 면담, 녹음, 연구자 저널 작성, 놀이기록 수집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 문제별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실행방안에서는 유아와 함께 놀이를 기록하고 공유하기를 통해 유아의 말을 토대로 놀이를 기록하고, 유아가 직접 놀이를 기록하였으며 이를 일상에서 공유하였다. 1차 실행 결과, 교사가 놀이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유아에게는 놀이를 회상하고 평가하여 다음 놀이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놀이기록 공유가 이루어지면서 유아 간 상호작용이 증가하였고 놀이에 대한 관심, 친구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놀이 장면을 선택하고 놀이를 기록하는 과정이 교사 주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아들이 기록의 어려움과 아쉬움을 토로하여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2차 실행에서는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를 기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 실행하였고 놀이기록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1, 2차 실행 결과,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고 지원할 수 있게 되었고 유아는 자기 주도적으로 놀이를 기록하며 자기 경험과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신장하였으며 놀이기록 공유를 통한 소통 능력이 증진되었다. 둘째, 만 5세 학급 놀이기록 개선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변화 중 유아의 변화는 유아 간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유아의 표현 능력과 소통 능력이 증대되었고, 진정한 놀이 주체자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교사는 유아와 놀이에 대한 이해가 증대되었고, 유아와 친밀감이 형성되었으며,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만 5세 학급의 놀이기록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와 함께 놀이를 기록하는 다양한 방안을 시도해보고 놀이기록의 개선방안을 제시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가 할 수 있는 다양한 놀이기록 방법을 구체화하여 실천함으로써 유아와 함께 하는 놀이기록의 방향을 유아교육현장에 제시하였다는 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이 놀이기록을 운영하는데 활용되어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records on play at the Nanum class for 5-year-olds, this study aims to conduct measures for recording play by both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and examine their changes when participating in a process of action research. Considering the objectives abov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What measures are there to improve the records on play in the class for 5-year-olds? 2. What changes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have in a process to improve the records on play in the class for 5-year-olds? This research was done for the Nanum class for 5-year-olds, an independent kindergarten located at M city, Jeollanam-do.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0 children and a homeroom teacher as a researcher. As for the research period, it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and December, 2021, and the thesis was written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Based on the model of the dialectic spiral-typed action research by Mills(2005), it went through the processes such as recognition of the problems in playing records/seeking measures for improvement, 1st action, analysis on the 1st action results, 2nd action and evaluation of the 1st·2nd action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problems of play records at the Nanum class via the analysis on the play records and the teacher journal in the last semester. For the records on play in which young children took the initiative, at the 1st action, measures for recording and sharing play with children were conducted. In the 2nd action, various kinds of methods for recording play were implemented for children to record play initiatively. For collection of data, observation, interview and recording were conducted, journal was written by the researcher and playing records were collected. In addition, research findings by topic were analyze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plan for recording play with young children in the 1st action, the teacher had time to talk about the play experience with children and recorded their words, and the children themselves recorded their play using pictures and photos, sharing play records between them. As a result of the 1st action, records on play helped the teacher to understand and support play and also helped children to plan the next play by recalling and evaluating play. In addition, it showed that sharing records on play in their daily life allowed them to increase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expand interest in play and friends. However, as the process to select and record a play scene was led by the teacher, children expressed their difficulties in recording with regret so it needed to be improved. In the 2nd action, various measures were taken for children to record play initiatively and playing records could be utilized. As a result of the 1st·2nd actions, children's abilities in expressing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s were increased with the enhanced communication skills. Secondly, as for the changes of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shown from a process to record play by both, changes of the children included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relations among children and increase of their expressive/communicative skills, playing a role of the true player. The teacher was able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play with children and have the intimacy with children, practicing an curriculum created together with childre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took various measures for recording play with young children and suggested plans for improving the records on play. Furthermore, it has the implication in that it presented a direction for recording play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y specifying and practising various ways for young children to record pla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be applied when teachers manage playing records so contribute to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