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0 Download: 0

태블릿을 활용한 자기조절전략 개발(SRSD) 기반의 이야기 쓰기 교수가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수행률과 이야기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

Title
태블릿을 활용한 자기조절전략 개발(SRSD) 기반의 이야기 쓰기 교수가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 수행률과 이야기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tory Writ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Self-Regulating Strategy Development(SRSD) Using Tablets on Writing Performance Rate and Story Ele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박성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쓰기는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글쓰기는 매우 많은 인지적 작용이 지속적이고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기에 장애 학생들은 글쓰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인지적 활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지적장애 학생들은 글쓰기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들로 인해 지적장애 학생들은 쓰기에 대한 흥미가 낮고, 전반적인 쓰기 과정을 습득하고 사용하는 것, 구성 요소가 모두 포함된 글을 쓰는 것 등에 어려움을 느낀다. 하지만 지적장애 학생들이 갖는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글쓰기 교수와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글쓰기 과정 보다는 쓰기의 결과물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 교수 후 쓰기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글쓰기는 다양한 글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중 이야기는 가장 친숙한 장르이자 정답이 없고, 쓰기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좋은 장르이다. 이러한 이야기 쓰기 교수법 중 하나인 자기조절전략 개발(SRSD)은 Harris와 Graham이 개발한 쓰기 교수 전략으로, 자기조절 전략과 쓰기 전략을 함께 교수하는 교수법이다. 이러한 SRSD의 특징은 학생들이 자기조절 전략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습득한 쓰기 기술의 일반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특성은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문자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SRSD를 통한 글쓰기 교수 연구는 학습장애 등 지적인 어려움이 적은 대상에게, 글쓰기의 과정보다는 쓰여진 글에 대해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렇기에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SRSD를 적용한 글쓰기 교수 및 글쓰기 과정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학생들의 쓰기 환경은 기존의 종이에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 상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새로운 환경에서의 글쓰기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을 활용한 SRSD 기반의 이야기 쓰기 교수가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쓰기 수행률과 이야기 구성 요소 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된 경도 지적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중재를 실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중재 전 학생의 관심사를 반영한 쓰기 주제 선정을 위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중재는 5단계 SRSD를 재구성하여 SRSD 쓰기 교수(도구 모으기, 사용법 익히기, 시범 보이기, 함께 쓰기)와 독립적 쓰기 및 피드백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중재 전 글쓰기를 하여 이때 촬영된 영상, 계획에 사용한 종이, 학생이 작성한 글을 바탕으로 쓰기 수행률과 이야기 구성 요소 수를 측정하였다. 유지는 중재 이후 2주 또는 4주가 지나고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을 활용한 자기조절전략 개발(SRSD) 기반의 이야기 쓰기 교수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쓰기 수행률을 증가시켰으며, 증가한 쓰기 수행률은 중재를 종료하고 2주나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태블릿을 활용한 자기조절전략 개발(SRSD) 기반의 이야기 쓰기 교수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구성 요소 수를 증가시켰으며, 증가한 이야기 구성 요소 수는 중재를 종료하고 2주나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주로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던 SRSD를 통한 글쓰기 교수를 현대사회의 쓰기 환경 변화에 맞춰 태블릿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학생에게 적용한 후, 단순한 결과물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쓰기 과정에서의 학생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 효과를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Writing is one of the essential life skills. Howe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a lot of problems in the writing process. Because in the writing process there are so many continuous and complex cognitive action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experience repeated failures in writing. Due to these experiences, students with ID have low interest in writing. And they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using the writing proces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on writing instruction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refore, we need to study writ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D. Among various genres of writing, the stor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writing in daily life. One of the story writing instruction methods is Self-Regulating Strategy Development(SRSD). SRSD is a writing instruction strategy developed by Harris and Graham. It teaches both self-regulating and writing strategies. Today, students have to write continually in their daily lives. So SRSD can support students to write independently in various times and spaces. Research on writing instruction through SRSD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stead ID and evaluates written stories rather than the writing process. It is needed for more research on writing instruction through SRSD looking at the writing process for students with ID. As the use of smart devices increases, students' writing environment is shifting from paper to online and smart devices. In this respect, writing in a new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RSD's story writing instruction using tablets affects the writing performance rate and the number of story components. For this th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struction program. The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Before the intervention,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o select writing topics reflecting students' interest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6 sessions, which modified 5 sessions SRSD. The six sessions writing instruction stage are as follows: Collect tools, Learn how to use I, Learn how to use 2, Observation, and Write together. After the writing instruction stage, the independent writing and feedback stage was conducted. Maintenance was measured two or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Data were collected before the intervention. The writing performance and the number of story elements were measured based on the video, the paper used in the plan, and the written story by the stu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the SRSD using tablets increased and maintained the writing performance rate of students with ID. Second, the story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the SRSD using tablets increased and maintained the number of story elements of students with ID.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se reasons. First, this study conducted SRSD instruction for story writing to ID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few studie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SRSD instruction for story writing using a tablet and check the result. Third, this study checks the change in the writing process of ID, after SRSD instruction for story wri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