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4 Download: 0

직장에서 제공하는 상황 맥락 중심의 사회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인의 화용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직장에서 제공하는 상황 맥락 중심의 사회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인의 화용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ituational and Context-based Social Communication Programs in the Workplace on the use of Pragmatic Language among People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Authors
이이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고기능 자폐(High Functioning Autism, HFA)는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의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5, 2013)에서 진단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 의사소통의 지속적인 결함을 보이는 진단 기준을 충족시키면서 평균 이상의 지능을 보여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자폐를 의미한다. 최근의 학문적 동향은 자폐를 ‘자폐적 성향(autistic propensity)’의 연속선으로 이해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범주성 장애의 특성과 관련하여 고기능 자폐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연속선상의 다양한 개인차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고기능 자폐인은 일반 범주 내의 언어 및 지적 기능을 보이는 것이 주요 특징이나, 사회성 기술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화용론적 측면의 결함으로 사회생활의 어려움을 겪거나 대인관계가 적절히 형성되지 않는 경우까지 다양한 형태를 띤다. 이와 같은 사회 의사소통의 질적 결함은 사회적 관계를 맺는 것이 필수적인 일상 및 취업과 관련된 모든 장면에서 나타나는데, 고기능 자폐인의 경우 크게 드러나지 않는 어려움과 상대적으로 주변인들의 높은 기대감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상황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자신의 상태를 잘 조절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여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크고 작은 도전적인 순간들을 마주한 채 살아간다. 직장생활은 사회 의사소통의 고유한 어려움을 지닌 고기능 자폐인에게는 도전 영역인 동시에 가장 가치 있는 사회적 성취이다. 직장생활의 의미 있는 경험은 삶의 만족감을 높여주고, 신체적, 정서적 안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직업을 갖는 것은 그 자체의 의미를 뛰어넘어 성인이 된 자폐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자폐인의 사회 의사소통 특성은 역동적인 환경인 직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다양한 의미의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게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장애인 실직 이유의 최대 90%는 사회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에 기인한다. 특히 사회적 맥락에 맞게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화용언어 능력과 타인의 관점과 감정을 해석하고 동등하고 상호적인 대화를 유지하는 것은 직장에서 필요한 사회 의사소통 기술이자 자폐인의 주요 결함으로 설명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처럼 고기능 자폐인의 사회 의사소통의 질적 결함에 따른 높은 지원의 필요성과 이에 못 미치는 지원 및 연구로 미루어봤을 때, 현장 중심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또한, 자폐인을 위한 교수는 사회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직장 환경은 자연적인 매일의 일과에서 기능적이고 의미 있는 교수목표를 위한 중재를 삽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사회 의사소통 기술을 다른 환경과 사람에게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자폐인의 기술 습득과 실제적인 연습의 기회를 자연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인의 화용언어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같은 직장에 다니는 5명을 대상으로 상황 맥락 중심의 사회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의 직장생활을 관찰하여 직장 맞춤형으로 개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16회기로 완성되었으며, 이를 실시하여 고기능 자폐인의 화용언어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비모수검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여 화용언어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장에서 제공하는 상황 맥락 중심의 사회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기능 자폐인의 화용언어 능력이 향상되었다. 어머니가 실시한 화용언어 능력 체크리스트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4가지 하위영역인 담화관리 능력, 상황에 따른 조절 및 적용 능력,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소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화용언어 능력의 측정을 간접적으로 실시하였다는 것의 제한점이 있으나, 국내외 고기능 자폐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 직장생활을 하는 성인 고기능 자폐인의 특성을 반영한 상황 맥락 중심의 사회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지원하는 현장 연구를 시작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High Functioning Autism (HFA) is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2013).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ans autism that does not accompany intellectual disability by showing above-average intelligence while meeting the diagnostic criteria of persistent deficits in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Recent academic trends have begun to understand autism as a continuum of ‘autistic propensity.’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ategorical disorders, high-functioning autism can be explained by various individual differences along with the continuum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ddition, the main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s that they show a broad spectrum of language and intellectual difficulties. These qualitative difficulties in social communication appear in all situations related to daily life and employment, where social relationships are essential. Most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eem to be adjusting to their condition well and adapting to their environment; however, they do need proper support to address various challenges in leading their lives. For those dealing with inherent difficulties in social communication, the work experience found in gainful employment can be both a challenge and their most valuable social achievement.  This is because meaningful experiences in working lives can increase their life satisfaction, contributing to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having employment experience can go beyond its economic purpose and have significant meaning for autistic individuals who have become adults. However, when their difficulties in social communication become prominent in a dynamic environment like the workplace, it can cause them to experience social isolat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up to 90% of the reasons for job loss for the disabled are due to a lack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terpreting the viewpoints and feelings of others and maintaining equal and reciprocal conversations are necessary communication skills within the workplace. Such pragmatic use of language appropriate to the social context has been described as a significant deficiency in people with autism, but there is a lack of adequate support for this. Given the need for high support due to the qualitative deficits in social communication for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t is time to provide more qualitative support centered on this particular field. Additionally, instruction for autistic people should take place in a natural environment where social context can be understood. The workplace environment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teach functional goals within their daily routine, and it would support the natural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ractical usage. In this study on improving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 situational context-based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five people attending the same workplace. The program was also customized for the workplace by observing the daily work activit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leted in 16 sessions after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s, it was conducted to confirm changes in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these individuals. This study had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and was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non-parametri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high-functioning autism people who participated in a context-based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provided at their place of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pre-and post-examination of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checklist conducted by the mothe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four constructs: discourse management ability, situational control and application ability, communication inten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it measured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directly. A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centered on situational context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living in the workplace despite the lack of domestic and foreign high-functioning autism studie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tarted a field study that implements and supp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