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5 Download: 0

사회적경제 참여의 영향요인

Title
사회적경제 참여의 영향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ocial Economy Engagement : Interac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Regional Factors
Authors
홍미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주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ocial capital, the critical resource for social economic engagement, into two major types, such as ‘bonding’ and ‘bridging’. Furthermore, the impact of social economic engagement has bee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ext of two dimensions of regional inequality. Until now, the effectiveness of social economic activities has mostly focused on the integration of labor perspective by creating social jobs for the vulnerable in the community and to solve the problem of welfare blind spots by providing social services to meet welfare demand. It was emphasized that through these social purpose activities of the social economy, it can ultimately enable endogenous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However,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conomy have several limitations. First, most of the existing discussions are focused on the positive effects on social economic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concept that forms social capital, and studies examining the multidimensional properties and fluid aspects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context are relatively insufficient. Second, social capital acts as a structure that limits the allocation and opportunity of resources needed by individuals, and there is a limit to being recognized as a solution-to-all that alleviates social exclusion and structural inequality. Third, social capital can be specifically approached in the context of dynamics with social spaces where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are formed and maintained rather than social structures themselves, but 'regions' have not been a major consideration in research on micro-level social economic activiti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social capital into ‘bonding’ and ‘bridging’, and analyze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ocial capital on social economic engagement.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conom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regional conditions of urban and rural areas, and between the Seoul Capital Area(SCA) and non-Capital Areas(non-SCA), which can be called the typical regional inequality in Korea, was analyzed. The source data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2019 Social Integration Research’ 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Since 2015, the scop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s been defined as social enterprises, social cooperatives, and community companies, and the degree of engagement has been investigated. The 6 independent variable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generalized trust, the particularized trust, the social support , and the association engagement as known as bonding, interest, bridging group. The moderating effect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wo dimensions: urban and rural, SCA and non-SCA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hich the individual resid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active they are in association engagement, the more likely to engage in the social social economy. The possibility of engagement in the social econom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gree of engagement in bridging group. In other words, in order for social capital to act as a mechanism that connects actors and influences the flow of information, access opportunities to open networks composed of heterogeneous associ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respect, involvement in civic groups or volunteer groups can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instrumental usefulness of bridging social capital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engagement in the social economy. Second, it was found that shows the particularized trust based on specific intimacy, such as family rela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economy engagement. Homogeneity-based 'strong' ties can hinder interaction with members of society of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or demographic backgrounds, resulting in a further decrease in the opportunity for information or pathways involved in collective economic activities of community members, such as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hird, the particularied trust, a type of bonding social capital, can act as a condition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of engagement in the social economy in urban or SCA.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or SCA with frequent movements of residence can act as a factor that avoids contact with neighbors or strangers, which can hinder social exchange and social participation. In rural areas, the level of interpersonal trust, such as generalized and particularized trust,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urban areas, but this level of interpersonal trust did not positively affect social economy involvement. This can be explained as a result of showing that trust and norms as local collective assets are not socially capitalized in themselves, but can be expressed as social effects through the capitalization process according to types of social networks. Fourth,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bridging group further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conomy engagement through urban or SCA condition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participation in bridging group such as civic associations and volunteer associations can be understood as further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engagement in the social economy in cities or SCA.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in interest groups had a moderating effect in cities,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Seoul Capital Area. In cities, it can be seen that association engagement can vary depending on loc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vious discussion that individuals of similar classes may prefer associations that pursue their own interests instead of associations with different income levels.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capital of women, young people, the elderly, and unemployed, which can be seen as vulnerable groups in the labor market, is generally in a situation of vulnerable social capital that negatively affects social economic engagement. Not only the structure of regional inequality, but also the demographic background such as gender and age reflect the social structure tha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conomic engagement. In particular, women in their 20s, 30s, and 60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possibility of engagement in the social economy, which means a practical task of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social capital for the vulnerable class excluded from the labor marke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by empiricall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conomy engagement by using empirical data from Korea. This means that in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community, not only the quantitative but also the qualitative aspects of social relation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it was found that regional inequality can ultimately affect social capital and act as a condition to control the impact on social capital and social economic engagement. The unequal social structure represented by regions is not only an economic problem, but can also affect individual social relationships. Thir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society were reflected by dividing various types of association such as bonding, interest and bridging groups. Finally, it can be added that basic data on the demographic background of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social economic activities were provided.;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 활동에 유용한 자원으로 볼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을 결속형⋅교량형 사회적 자본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경제 참여의 관계를 도시와 농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2가지 차원의 지역 불평등의 사회적 맥락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그간 사회적경제의 효용성은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통한 노동 통합적인 측면과 복지 수요 충족을 위한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측면이 주목받았다. 이러한 사회적경제의 사회적 목적 활동을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내생적 경제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거나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경제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를 갖는다. 첫째, 기존 논의는 대부분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구성 개념에 따라 사회적경제 활동에 미치는 순기능적인 효과에 집중되어 있으며, 사회적 자본의 다차원적인 속성과 상황적 맥락에 따른 유동적 측면을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개인이 필요로 하는 자원의 배분과 기회를 제한하는 구조로 작용하여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재생산할 수 있는 개념이나, 사회적 배제와 구조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해결책처럼 인식되는 한계가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구조 그 자체라기보다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되는 사회적 공간과의 역동성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나, 그간 미시적 차원의 사회적경제 활동에 관한 연구에서 ‘지역’은 주요한 고려 대상이 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유형을 결속형과 교량형으로 구분하였고, 상이한 유형의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지역 불평등의 전형으로 불 수 있는 도시와 농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경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행정연구원의 2019년『사회통합연구』자료이며, 2015년부터 사회적경제 조직의 범위를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마을기업으로 정의하고 그 참여 정도를 조사하고 있다. 독립변수는 대인 신뢰를 일반적 신뢰와 특정 신뢰로 구분하고, 사회적 지지 정도와 결속형, 이익형, 교량형 단체 등 참여하는 결사체의 유형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조절변수는 개인이 거주하는 지역 특성에 따라 도시와 농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2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조절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건부 효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속형, 이익형, 교량형 등 다양한 유형의 결사체에 소속되어 적극적으로 활동할수록 사회적경제 참여에는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경제 참여 가능성은 교량형 단체 참여 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자본이 행위자들을 연결하고 정보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기제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이질적인 결사체로 구성된 열린 연결망에 대한 접근 기회가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시민단체나 자원봉사 단체 참여는 교량적 사회적 자본의 도구적 유용성을 증가시키며, 사회적경제 참여 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가족관계와 같이 특정한 친밀 관계에 기반한 신뢰를 보여주는 결속형 사회적 자본의 유형은 사회적경제 참여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질성을 기반으로 하는‘강한’유대는 특정 집단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는 유리하지만, 다른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사회구성원들과의 교류를 방해하고 배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회적경제 조직과 같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집합적 경제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 경로의 기회 가능성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를 통해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고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위해서는 교량형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는 사회적경제의 실천 전략이 중요하다. 셋째, 결속형 사회적 자본 유형인 특정 신뢰는 도시 또는 수도권 지역에서 사회적경제 참여 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회적 이동이 빈번한 도시와 수도권의 지역 특성상 이웃이나 잘 모르는 사람과의 접촉을 회피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인 교류와 사회참여를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농촌의 경우 일반적 신뢰나 특정 신뢰 등 대인 간 신뢰수준이 도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대인 신뢰수준이 사회적경제 참여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이는 지역사회의 집단적 자산으로서의 신뢰와 규범은 그 자체로 사회 자본화 되는 것은 아니며, 사회적 연결망의 접근 기회와 연결망의 유형에 따른 사회 자본화 과정을 통해 사회적인 효과로 발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넷째, 교량형 단체 참여는 도시나 수도권 지역 조건을 통해서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경제 참여에 미치는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나 자원봉사 단체 등 교량형 단체 참여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은 도시나 수도권에서 사회적경제 참여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익형 단체 참여는 도시에서는 조절효과가 있었지만, 수도권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지역요인 별로 이익형 단체의 참여 수준의 평균 차이는 유의미했지만, 수도권보다 도시에서 이익형 단체 참여를 통한 사회적경제 참여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도시에서는 소득 수준이 다른 계층들로 구성된 결사체 대신 비슷한 계층의 개인끼리 그들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결사체를 선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특성에 따라 결사체 참여의 유형은 다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시장 내의 취약계층으로 볼 수 있는 여성, 청년, 노인, 미취업자 집단의 사회적 자본은 대체로 사회적경제 참여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취약한 사회적 자본의 상황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 불평등의 구조뿐만 아니라 성별과 연령 등 인구사회적 배경 역시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경제 참여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구조를 반영할 수 있다. 특히, 20대, 30대, 60대 이상의 여성은 사회적경제 참여 가능성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노동시장으로부터 배제된 취약계층의 사회적 자본의 접근 가능성을 제고하는 사회적경제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경험자료를 활용하여 유형별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경제 참여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여 사회적경제 역할에 대한 실천적⋅전략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회적경제에 참여하는 것은 시민사회 결사체에 근거한 사회권을 확대하는 사회참여 방식으로서도 충분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지역 불평등이 궁극적으로 사회적 자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경제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지역으로 표상되는 불평등한 사회구조는 단지 경제적인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결사체 참여의 유형을 동창회, 향우회와 같은 결속형 단체, 노동조합이나 사업자 단체, 직업 조합과 같은 이익형 단체, 시민단체와 자원봉사 단체 등 교량형 단체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한국사회 다양한 결사체 유형과 특성을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들의 인구사회적 배경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미를 더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