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아동학대의 처벌 및 처리절차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Title
아동학대의 처벌 및 처리절차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Other Titl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Child Abuse Punishment and Treatment Procedures
Authors
곽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동범
Abstract
아동학대에 의해 피해아동이 참혹하게 희생당한 사건들의 공론화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처벌법제는 여러 차례 변화과정을 거쳐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사례의 숫자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고, 매년 40명에 가까운 아동이 아동학대에 의해 사망하고 있다. 아동학대에 대한 엄벌과 예방을 목적으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에서 ‘아동학대처벌법’)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처벌법제는 아동복지법을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고, 대부분의 아동학대사건의 형사처벌에 아동복지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아동복지법은 애초부터 형사처벌을 주된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이 아니라 아동의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행정적인 법률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구성요건의 지나친 포괄성이나 불명확성이라는, 처벌근거규정으로서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처벌법제는 그때그때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된 아동학대사건에 대응하기 위한 임시방편적인 내용이 개별 법률들에 분산되어 있는 관계로, 실제로 아동학대사건이 발생했을 때 어떤 기준으로 사건을 구별하여 어떤 법률을 적용하여야 하는지조차 불명확한 상태이다. 아동학대의 처벌과 처리절차를 부분적으로 규율하는 규정들이 아동복지법, 아동학대처벌법,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영유아보육법,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 다수의 개별 법률들에 산재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처벌법제는 수사기관과 법원 등 법적용자로 하여금 아동학대사건을 처리함에 있어서 일관성이 결여되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처벌법제의 정비를 위해서는 아동학대와 관련된 개별 규정들의 내용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동학대를 특별히 규율하기 위해 제정된 아동학대처벌법으로 아동학대와 관련된 모든 규정을 집중시키는 방향으로 아동학대 처벌법제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아동학대사건이 발생한 경우 아동학대처벌법만으로 신속하고도 완벽한 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건처리의 일관성과 적절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학대의 구성요건 규정인 아동복지법 제17조와 처벌규정인 아동복지법 제71조 제1항을 포함하여 아동학대의 처벌과 관련된 규정들은 전부 아동학대의 처벌을 목적으로 특별히 제정된 아동학대처벌법으로 옮겨와야 한다. 즉각분리제도, 친권상실제도, 아동학대관련범죄를 저지른 자에 대한 법원의 취업제한명령 등 아동학대와 관련된 아동복지법의 모든 규정을 아동학대처벌법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의 구성요건 규정인 아동복지법 제17조는 주체를 ‘누구든지’라고 규정하여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고 있는 반면, 아동학대처벌법은 그 적용대상인 아동학대범죄의 주체를 ‘보호자’로만 한정하고 있다. 아동학대의 본질은 ‘보호자’가 자신이 보호·감독하는 아동을 학대하는 것이므로, ‘보호자 아닌 자’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아동학대에 포함된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주체를 ‘누구든지’라고 규정하고 있는 아동복지법 제17조의 주체를 ‘보호자’로 한정하는 내용으로 변경한 후 아동학대처벌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용대상을 보호자로 제한하고 있는 아동학대처벌법의 체계와 일치시켜야 할 것이다. 그 결과 ‘보호자’에 의한 아동학대는 아동학대처벌법이 적용되고, ‘보호자 아닌 자’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아동학대가 아니라 일반적인 범죄로 취급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특별법인 아동학대처벌법이 아니라 형법 등이 적용되게 된다. 아동학대의 구성요건을 규정하고 있는 아동복지법 제17조의 금지행위(성적 학대행위, 신체적 학대행위, 정서적 학대행위, 유기·방임행위, 아동이용행위)는 구성요건이 불명확하고 지나치게 광범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구성요건의 포괄성과 불명확성이 심각한 정서적 학대행위와 유기·방임행위에 관해서는 법률에서 유형을 가능한 한 상세하게 명시하고, 하위법령을 활용해서라도 최대한 구성요건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아동학대의 처벌규정인 아동복지법 제71조 제1항이 신체적 학대행위, 정서적 학대행위, 유기·방임행위, 공중에 관람시키는 행위, 구걸시키는 행위를 일괄하여 동일한 법정형으로 처벌하고 있는 부분은 행위유형별로 불법성에 상응하여 법정형을 세분화할 필요성이 있다. 그밖에도 아동학대와 관련하여 적용되는 개별 법률들의 세부적 내용들은 아동학대를 적정하게 처벌하고 아동학대로부터 아동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미흡한 부분이 여럿 존재한다. 본 논문은 아동복지법을 포함하여, 아동학대처벌법,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영유아보육법 등 아동학대의 처벌과 처리절차에 있어서 적용되는 개별 규정들의 문제점을 고찰한 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In the wake of the public discussion of cases in which children have been brutally victimized by child abuse, the legislation to punish child abuse in Korea has undergone several changes in the legal system for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Nevertheless, the number of child abuse cases continues to increase, and nearly 40 children are killed each year by child abuse. Despite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for the purpose of strict punishment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the child abuse punishment legislation in Korea still operates mainly on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Child Welfare Act is involved in the criminal punishment of most child abuse cases. However, since the Child Welfare Act is not a law enacted with the main purpose of criminal punishment in the first place, but an administrative law aimed at realizing the welfare of children, there is a serious problem as a punishment ground provision due to excessive comprehensiveness or unclarity of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Currently, Korea's child abuse punishment legislation is dispersed among individual laws as a stopgap measure to respond to child abuse cases that have become highly controversial in society, and it is unclear on what basis cases should be distinguished and which laws should be applied when actual child abuse cases occur. The Korean child abuse punishment legislation, which is interspersed with a number of individual laws, such as the Child Welfare Act,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the Act on the Sexual Prote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and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Crimes, has caused inconsistencies and confusion in the handling of child abuse cases by law applicitors such as investigative agencies and cour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 abuse punishment law, it is important not only to improve the contents of individual regulations related to child abuse, but also to focus all regulations related to child abuse as a special law on child abuse. Through this, in the event of a child abuse case, it will be possible to quickly and completely resolve the case only with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thereby promoting consistency and appropriateness in handling cases. All provisions relating to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including Article 17 of the Child Welfare Act, which provides for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child abuse, and Article 71 (1) of the Child Welfare Act, which provides for punishment,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rimes of Child Abuse, which is specifically enacted for the purpose of punishing child abuse. It is desirable to move all provisions of the Child Welfare Act relating to child abuse, such as the system of immediate separation, the system of loss of parental rights, and the court's order of restriction of employment against persons who commit crimes related to child abuse, to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rimes of child abuse. Article 17 of the Child Welfare Act, which stipulates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child abuse under the Child Welfare Act, defines the subject as "anyone" and does not impose any special restrictions, while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limits the subject of the crime of child abuse to "guardians" only. Since the essence of child abuse is that a "guardian" abuses a child under his or her care and supervision,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crimes against children by a "non-guardian" are included in child abuse. Therefore, the contents of Article 17 of the Child Welfare Act, which defined the subject as "anyone," should be changed to limit the subject to "guardian" and then moved to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rimes of Child Abuse, in line with the system of the Special Law on the Punishment of Crimes of Child Abuse, which restricts the subject to guardians. As a result,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by "Guardians" applies, and crimes against children by "non-Guardians" are treated as general crimes, not child abuse. The prohibition of Article 17 of the Child Welfare Act, which defines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child abuse (sexual abuse,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bandonment or neglect, and child use), has the problem that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are unclear and too extensive.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emotional abuse, abandonment, and neglect, where the inclusiveness and uncertainty of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are serious,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types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in the law, and to specify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by using sub-laws. Where Article 71 (1) of the Child Welfare Act, which provides for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punishes acts of physical abuse, acts of emotional abuse, acts of abandonment or neglect, acts of public viewing, and begging collectively with the same statutory penalties,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statutory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illegality by type of act. In addition, the details of individual laws applied in relation to child abuse have several deficiencies in properly punishing child abuse and protecting children from child abuse.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of individual regulations applicable to the punishment and treatment of child abuse, including the Child Welfare Act,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the Act on the Sexual Prote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