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6 Download: 0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의한 한국 성인 여성의 질병비용 및 건강결과

Title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의한 한국 성인 여성의 질병비용 및 건강결과
Other Titles
Projecting Lifetime Health Outcomes and Costs Associated with the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Exposure among Adult Women in Korea
Authors
최계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제약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배승진
Abstract
본 연구는 초미세먼지(입자 크기 <2.5 µg, PM2.5)에 노출된 한국 성인 여성의 질병비용을 추정하고 질병으로 인한 건강결과를 질 보정 생존연수(QALY, quality a life year)로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미세먼지 노출은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며 조기사망의 원인이 된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초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관측을 시작한 시점은 2015년으로 관리와 규제의 대상이 된 기간은 길지 않다. 하지만 초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한 일상생활에서 그 노출을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우며, 일생 중에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일생 중 초미세먼지에 노출되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장기적인 질병비용과 건강결과를 예측하여 향후 초미세먼지 농도를 관리하는 정책의 수립에 기초자료로서 활용가능성을 열어 두고자 한다. 분석대상을 한국 성인 여성으로 한 이유는 초미세먼지와 질병발생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많은 선행연구 중 다수가 여성을 대상으로 대규모 코호트 분석을 했기 때문이다. 한편 초미세먼지로 인한 심혈관계에 영향이 여성에서 더 강력하다고 알려진 바 있으며, 초미세먼지 노출은 여성에서 호흡기질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일수에서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도 있었기 때문에 분석대상을 한국 성인 여성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일생 간 15 µg/m3 또는 25 µg/m3의 초미세먼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고 가정하였으며, 초미세먼지로 그 발생률과 사망률이 증가하는 4개의 질환(폐암, 심근경색, 뇌졸중, 만성폐쇄성폐질환)을 포함하는 마콥 모델을 구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때 각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의 상대위험비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수치를 선정하였고, 건강상태 간의 전이확률과 각 건강상태에서의 질병 비용을 모형에 적용하였다. 질병비용은 직접의료비만을 포함했으며, 매년 5%의 할인율을 적용하였다. 건강결과는 질 보정 생존연수로 나타냈다.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원 민감도분석 및 확률적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고, 모형의 타당성은 외적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10 µg/m3만큼 증가했을 때, 일생 동안의 질병비용은 9,309 미국 달러였으며, 이는 그렇지 않을 때와 비교하면 11.3% 증가한 수치였다. 높은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한국 여성의 질 보정 생존연수는 14.34 QALY로, 그렇지 않은 대상의 14.61 QALY와 비교해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질병비용의 증가와 질 보정 생존연수의 감소는 다양한 민감도 분석에서도 일관적으로 확인되었다. 초미세먼지의 악영향은 질 보정 생존연수보다 질병비용 측면에서 더 컸으며, 노출 기간이 증가될수록 노출농도 분석대상군의 결과는 벌어지는 양상이었다. 이는 초기의 초미세먼지 노출의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했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존의 역학 연구 결과와 비교하는 외적 타당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은 다소 보수적인 결과를 도출하긴 했으나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imate the lifetime healthcare costs and outcomes associated with the exposure to the escalated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particle size < 2.5 µm, PM2.5) among adult Korean women. We adapted a previously developed Markov model, and a hypothetical cohort composed of Korean women was exposed to either a standard (15 µg/m3) or increased (25 µg/m3) concentration of PM2.5. The time horizon of the analysis was 60 years, and the cycle length was 1 year. The outcomes were presented as direct healthcare costs and quality-adjusted life years (QALYs), and costs were discounted annually at 5%.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odel estimated that when the exposur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10 µg/m3, the lifetime healthcare cost increased by USD 9309, which is an 11.3% increase compared to the standard concentration group. Women exposed to a higher concentration of PM2.5 were predicted to live 14.34 QALYs, compared to 14.61 QALYs for women who were exposed to the standard concentration of PM2.5. The tendency of a higher cost and shorter QALYs at increased exposure was consistent across a broad range of sensitivity analyses. The negative impact of PM2.5 was higher on cost than on QALYs and accelerated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