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9 Download: 0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본 과학관 및 박물관의 천문 패널 분석

Title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본 과학관 및 박물관의 천문 패널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Astronomy Panel in Science Center and Museums: Educational perspectives
Authors
문희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동희
Abstract
과학관 및 박물관은 비형식 교육 현장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시공간의 제약으로 학교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학습 자료를 제공한다. 과학관 해설 매체 중 하나인 전시 패널은 전시물을 설명하기 위하여 텍스트와 그래픽이 주어지는 것으로써 전시의 교육적 기능을 한다. 대부분의 관람객은 설명 패널에 의지하여 전시물을 이해하는 경향이 있으며, 과학 전시에서 패널은 전시물만으로는 성취할 수 없는 과학 탐구 활동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천문학 학습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패널 평가틀을 개발하여 국내 과학관 및 박물관 천문 패널의 동향을 밝히고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효과적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실질적 지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패널의 해설 능력과 관람객의 읽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패널의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학교육 및 천문학 교육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천문 패널을 분석하는 데 있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였으며, 분석 대상 과학관 및 박물관 여덟 곳의 천문 패널 214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패널과 과학관 유형별로 형식, 내용, 천문학 특성의 측면에서 특징을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후에 각 천문학 주제별 특징과 사례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개념의 수는 평균 1~2.65개 범위로 나타나 작업 기억의 용량인 4개를 초과하지 않아 비교적 이상적이다. 면적 대비 단어의 수는 2.26~3등급 범위로 나타나 이상적 등급인 2등급을 초과하는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관람객의 읽는 행동을 감소시키므로 내용을 선택적으로 제시하거나 압축할 필요가 있다. 글자체의 수, 글자 크기의 수, 글자 꾸밈의 수의 값은 평균 3개 이하를 만족한다. 면적 비율 등급은 그래픽: 글: 여백의 값이 각각 1.86등급, 2.47등급, 1.52등급으로 그래픽 면적의 비율은 비교적 양호하나 글의 면적은 줄이고 여백은 늘릴 필요가 있다. 형식 요소의 이상적 기준을 만족하는 패널의 비율을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핵심 개념의 수, 글자체의 수, 글자 크기의 수, 글자 꾸밈의 수를 만족하는 패널은 모두 72% 이상으로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었으나 단어수를 만족하는 패널은 36%, 그래픽·글·여백의 면적 비율을 만족하는 패널은 43~68%로 잘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 항목 분석 결과, 스토리텔링이 있는 패널보다 없는 패널이 많고 일인칭 시점보다 전지적 시점을 주로 사용했다. 과정적 지식보다는 결과적 지식을 제공하며, 일상적 상황보다는 과학적 상황을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의 수준은 전체 평균이 3.11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수의 패널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용이나 교육과정 외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천문학 특성 분석 결과 19%의 패널이 공간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그래픽을 갖고 있었고 18%의 패널이 은유를 사용하여 천문학 이론을 도입하였다. 9%의 패널이 모형이나 영상, 체험물 등의 매체를 융합하여 시공간 개념의 이해를 도왔다. 마지막으로 과학관에서 천문 패널의 교육과정 연계성과 교육적 해설 매체로서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패널이 담고 있는 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8개의 주제를 귀납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주제별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천문학사와 우주탐사 주제는 스토리텔링을 많이 사용한다. 우주론 주제는 스토리텔링과 일인칭 시점을 사용하고 매체를 많이 융합한다. 태양계, 빛, 자전과 공전, 별과 은하, 상대성 이론 주제는 시공간 인포그래픽과 천문 은유를 많이 사용한다. 본 연구는 여덟 개 기관 분석을 통해 과학관 천문 패널의 경향을 파악하고 과학 교육 해설 매체로서 패널의 역할에 대해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과학관 현장에서 전시 기획자 및 교육 기획자가 이와 같은 분석틀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관람객 행동 연구도 함께 진행하여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analysis framework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astronomy learning to reveal trends in domestic science center and museum astronomy panels and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producing effective panels in terms of educational use.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by extracting elements of the panel that affect the panel's commentary ability and the visitor's reading behavior. In addition, prior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and astronomy education was investigated to derive factors that can be significantly used to analyze Astronomy panels, and 214 Astronomy panels were analyzed at eight science center and museums. The characteristic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in terms of format, content, and Astronomy characteristics for each panel and science center typ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each Astronomy topic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re concepts is in the range of 1 to 2.65 on average, and it is relatively ideal because it does not exceed the capacity of working memory, which is 4. The number of words relative to the area was in the range of 2.26~3, showing a high value exceeding the ideal grade of Grade 2, which reduces the reading behavior of visitors, so it is necessary to selectively present or compress the content. The average number of typefaces, the number of typefaces embellishments, and the number of typefaces sizes satisfies an average of three or less. The area ratio rating is comparatively appropriate, with the values of the graphic: text: space being 1.86, 2.47 and 1.52, respectively. But the area of the text needs to be reduced and the space needs to be increa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ortion of panels that satisfy the ideal criteria of formal elements, panels that satisfy the number of core concepts, the number of typefaces, the number of typefaces embellishments, and the number of typefaces sizes were relatively well maintained at more than 72%, but panels that satisfy the number of words were 36%, and panels that satisfy the area ratio of graphics, texts, and spaces were 43-68%. Second, as a result of content item analysis, there are more panels that do not have than panels with storytelling, and the omniscient viewpoint was mainly used than the first-person viewpoint. It was found that it provides consequential knowledge rather than process knowledge and presents scientific situations rather than daily situations. The overall average of the level of information was 3.11 poi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number of panels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or other contents of the curriculum. Third, the analysis of Astronomy properties showed that 19% of panels had graphics to help understand spatial concepts, and 18% of panels used metaphors to introduce Astronomy theories. 9% of the panels fused exhibition mediums such as models, videos, and experience materials to help understand the concept of space-time. Finally, in order to analyze the connection of the Astronomy panel to the curriculum at the science center, the topics contained in the panel were analyzed. As a result, a total of 18 topics were inductively derived, and case analysis for each topic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tronomy history’ and ‘space exploration’ topics use a lot of storytelling. The ‘cosmological theme’ uses storytelling and first-person perspectives and fuses a lot of medium. The themes of the ‘solar system, light, rotation, stars, galaxies, and relativity’ use a lot of time-space infographics and Astronomy metaph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trend of the science center Astronomy panel through analysis of eight institutions and analyzed in-depth the role of panels as a media for commentary on science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visitors' behavioral studies should also be conducted and supplemented so that exhibition planners and educational planners can actively utilize such an analysis framework at the science center si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